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17:58:52

선댄스 영화제



파일:북아메리카 아이콘.png 북미 영화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토론토 국제 영화제 로고.svg파일:토론토 국제 영화제 로고 화이트.svg 파일:sundance-logo.png 파일:nyff-logo.png
선댄스 영화제 뉴욕 영화제 }}}}}}}}}

<colbgcolor=#000><colcolor=#fff> Sundance Film Festival
선댄스 영화제
<nopad> 파일:sundance-ff-logo.png
설립 1978년 ([age(1978-01-01)]주년)
위원장 존 쿠퍼 (John Cooper)
시기 매년 1월
개최지 미국 유타 주 선댄스 리조트
링크 파일:선댄스 영화제 아이콘.pn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38회 선댄스영화제 포스터.jpg
제38회 포스터

1. 개요2. 역사3. 수상 기록
3.1. 심사위원 대상 (미국 극영화)


1. 개요

미국의 영화제. 매년 1월 20일 유타 주의 파크시티에서 열린다.

'선댄스'라는 이름은 영화제의 창시자인 미국의 배우 로버트 레드포드가 <내일을 향해 쏴라>에서 맡았던 배역이자 실존인물인 '선댄스 키드'에서 따왔다.[1]

다양성을 중시하는 영화제로, 저예산 독립영화다큐멘터리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무엇보다 신진 영화감독들과 배우들에게 중요한 등용문이 되는데, 대형 영화사들이 이 영화제를 매의 눈으로 지켜보다가, 여기서 인정받는 감독과 배우들을 데려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계 영화계에서 빼놓을수 없는 비중을 차지하는 영화제이며, 할리우드의 인재풀로도 여겨진다.

한국에서는 오멸 감독의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이 국제 극영화 부문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2. 역사

선댄스 재단이 1985년 미국 영화제라는 소규모의 영화제를 흡수하면서 출발하였다. '자유롭게 사고하며 인디 영화들을 장려 육성한다'는 목적을 고수하면서 신중하게 작품들을 선별해내고 있으며, 잘 나가는 상업영화제가 되는 것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선댄스 재단의 랩(Lab)에 시나리오가 채택될 경우 제작비 보조와 다음 해의 선댄스 영화제에 자동 출품, 그리고 제작사와 배급사가 붙게 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선댄스 영화제에 초청받고난 뒤 베를린 영화제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으로 넘어가 국제적인 주목을 받는 경우도 많다.

3. 수상 기록

3.1. 심사위원 대상 (미국 극영화)

회차 연도 제목
11985[2]블러드 심플[3]
21986커니의 성인식
31987다이안
웨이팅 포 더 문
41988히트 앤 선라이트
51989신부는 왼손잡이
61990카멜레온 스트리트
71991포이즌
81992인 더 스프
91993퍼블릭 액세스
루비 인 파라다이스
101994왓 해펀드 워스
프리덤 온 마이 마인드
111995맥밀런가의 형제들
121996인형의 집으로 오세요
131997선데이
141998슬램
151999쓰리 시즌
162000걸파이트
유 캔 카운트 온 미[4]
172001빌리버
182002퍼스널 벨로시티
192003아메리칸 스플렌더
202004프리머
212005로라
222006달콤한 열여섯
232007아버지
242008프로즌 리버
252009프레셔스
262010윈터스 본[5]
272011라이크 크레이지
282012비스트
292013오스카 그랜트의 어떤 하루
302014위플래쉬
312015나와 얼 그리고 죽어가는 소녀
322016국가의 탄생
332017루스에게 생긴 일[6]
342018카메론 포스트의 잘못된 교육
352019클레멘시
362020미나리
372021코다
382022내니
392023어 사우전드 앤드 원
402024인 더 서머스


[1] 사실 실존인물 '선댄스 키드'가 은행 강도라서 이를 안 좋게 여길수도 있지만, 그 인물이 아닌 영화 상의 캐릭터로 보는 분위기이다.[2] 제 1회 선댄스 영화제[3] 코엔 형제의 데뷔작[4] 이 작품으로 마크 러팔로가 영화계에서도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5] 이 작품으로 제니퍼 로렌스가 주목을 받게 되었다.[6] 국내에서는 넷플릭스를 통해 본 제목으로 공개되었다. 원제는 I don't feel at home in this world any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