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y(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Есе́нин,ruby=Sergei Alexandrovich Yesenin)] | |
국적 | 러시아 제국 > 소련 |
직업 | 시인 |
생년 | 1895년 10월 3일 |
몰년 | 1925년 12월 28일 |
1. 개요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시인.2. 생애
랴잔 출신이며 1910년대 시인으로 등단했고, 러시아 혁명 이후에도 계속 활동하던 도중에 소련 정부의 초청으로 방문해 무용을 가르치던 이사도라 덩컨과 교제한 뒤 1922년에 결혼했다. 푸가초프의 난을 배경으로 다룬 시를 1921년에 쓰기도 했고 주로 자연을 주제로 다룬 시를 썼다.이 때 예세닌은 25세였고 덩컨은 44세로 나이 차이가 많이 났다. 하지만 결혼 생활은 잘 풀리지 않았는데, 평소에 우울증을 앓던 예세닌은 우울증을 술로 풀려다가 알코올 중독까지 겹쳤고 덩컨도 원래 결혼에는 관심이 없다가 소련에서 예세닌에게 반해서 결혼한 터라 연애할 때도 자주 다퉜다.[1]
결혼 후에도 상황이 바뀌진 않았고, 덩컨이 미국 순회 공연을 떠날 때 예세닌도 따라갔으나 거기서도 알코올 중독 문제를 일으켰으며 소련인과 결혼하고 공산주의자가 되었다는 의심을 받던 덩컨도 공산주의자로 몰렸다. 소련에서도 스탈린이 집권할 무렵이라 당에서도 예세닌을 좋게 보지 않았으며[2], 결국 순회공연을 마치고 돌아온 부부는 별거했다. 덩컨은 잠시 소련을 찾은 뒤 쭉 프랑스에서 머물렀고, 예세닌은 소련으로 돌아가서 요양하다가 레프 톨스토이의 손녀인 소피야 안드레예브나 톨스타야(1900~1955)[3]와 재혼했으나 얼마 뒤 레닌그라드에서 자살했다.[4]
3. 참고자료
- <나의 삶 My Life>: 덩컨의 자서전은 소련행 직전까지만 다루지만, 한국판에서 부록으로 예세닌 관련 내용을 포함한 덩컨의 말년도 다룬다.
- <불멸의 여인들>: 김후. 청아출판사(2009년) 중에서 덩컨 관련 내용.
- <자작나무>: 박형규. 써네스트(2011년). 국내에 번역된 예세닌 서정시 선집 및 포함된 연표.
[1] 예세닌과 덩컨은 소련에서 만나기 전까지 저마다 연애 경험이 있었지만 모두 헤어졌고, 덩컨은 감독 고든 크레이그, 재벌가 패리스 싱어 사이에서 낳은 딸 데어도르, 아들 패트릭도 있었으나 소련으로 오기 전에 프랑스 파리 세느 강에서 자동차 추락사고로 잃었다.[2] 예세닌의 출신 성분은 빈농이라 나쁘지 않았으나, 당에서는 그의 창작 성향이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맞지 않는다고 보았다.[3] 톨스토이의 9번째 자녀인 안드레이 르보비치(1877–1916)의 딸.[4] 덩컨과 정식으로 이혼하진 않았으므로 법적으로 예세닌은 사망 시점까지 덩컨과 부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