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2025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2000년 ~ 2024년을 통틀어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빌보드 핫 100과 빌보드 200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테일러 스위프트 | 드레이크 | 리한나 | 포스트 말론 | 에미넴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위켄드 | 비욘세 | 저스틴 비버 | 브루노 마스 | 어셔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마룬 5 | 아델 | 모건 월렌 | 에드 시런 | 케이티 페리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레이디 가가 | P!nk | 크리스 브라운 | 아리아나 그란데 | 칸예 웨스트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마일리 사이러스 | 앨리샤 키스 | 블랙 아이드 피스 | 저스틴 팀버레이크 | 넬리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니켈백 | 켈리 클락슨 | 머라이어 캐리 | JAY-Z | 릴 웨인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50 센트 | 켄드릭 라마 | 캐리 언더우드 | 브리트니 스피어스 | 빌리 아일리시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니키 미나즈 | 린킨 파크 | 이매진 드래곤스 | 루다크리스 | 루크 콤즈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Destiny's Child | 케니 체스니 | Future | Juice WRLD | T.I.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SZA | 에이브릴 라빈 | 래스컬 플래츠 |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 올리비아 로드리고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트래비스 스캇 | 릴 베이비 | 콜드플레이 | 제니퍼 로페즈 | 배드 버니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플로 라이다 | Akon | 루크 브라이언 | 토비 키스 | 팀 맥그로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제이슨 알딘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해리 스타일스 | 레이디 에이 | 도자 캣 | |||||
<rowcolor=#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Creed | 마이클 부블레 | 두아 리파 | 샘 스미스 | 니요 | |||||
<rowcolor=#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아웃캐스트 | 케샤 | 카디 비 | R. 켈리 | 퍼기 | |||||
<rowcolor=#fff>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3 Doors Down | 원디렉션 | 아샨티 | 셀레나 고메즈 | 블레이크 쉘튼 | |||||
<rowcolor=#fff>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Ja Rule | Pitbull | Kid Rock | 트웬티 원 파일럿츠 | 제이 콜 | |||||
<rowcolor=#fff>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 | 칼리드 | 션 폴 | Daughtry | *NSYNC | |||||
<rowcolor=#fff>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숀 멘데스 | 키스 어번 | 제이슨 데룰로 | 노라 존스 | 티페인 | |||||
<rowcolor=#fff>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조쉬 그로반 | 그웬 스테파니 | 산타나 | 앨런 잭슨 | Fall Out Boy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션 폴 Sean Paul | |
| |
본명 | Sean Paul Belanger Ryan Francis Henriques (션 폴 벨랑저 라이언 프란시스 헨리케스) |
출생 | 1973년 1월 9일 ([age(1973-01-09)]세) |
자메이카 킹스턴 | |
국적 |
|
직업 | 래퍼, 가수, 싱어송라이터 |
활동 | 1994년 ~ 현재 |
장르 | 댄스홀, 댄스홀 팝, 레게 퓨전, 힙합 |
링크 |
1. 개요
Sean Paul(션 폴)은 자메이카의 댄스홀 래퍼이다.2. 활동
2.1. 전성기
2002년의 "Gimme the Light"으로 댄스홀 음악 전성 시대를 불러왔다. 2000년대 음악계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자메이카 출신인 션 폴은 그의 유창한 자메이카식 영어[1]를 이용하여 이국적인 느낌이 드는 댄스홀 음악을 미국에 퍼트렸다.
2002년의 "Gimme the Light"은 단지 댄스홀 음악 열풍의 단초로, 션 폴은 절대로 원 히트 원더로 전락하지 않고 2003년부터 본격적인 대스타가 되었다.
2003년 그는 Get Busy라는 곡으로 미국에 댄스홀 음악 열풍을 넘어, 대중화를 불러왔다. 2000년대 미국 음악을 논할 때 컨템퍼러리 R&B, 힙합, 포스트 그런지와 함께 빼놓을 수 없는 장르가 바로 이 댄스홀인데 션 폴 혼자서 대중화를 시킨 것이다.
Get Busy는 빌보드 핫 100에서 3주 연속 1위를 기록한 데다가, 200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3위, 빌보드 핫 100 2000년대 총결산 차트 50위에 오르는 등 초대형 히트를 거둔다.
이 "Gimme the Light"과 "Get Busy"로 인해 얻은 션 폴은 대스타가 되고 댄스홀 음악은 미국의 주류 음악이 된다. 이 때 션 폴 신드롬이 어느 정도였냐면 비욘세가 션 폴과 함께 작업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그냥 음반 작업을 같이 한 정도가 아니라, 션 폴을 피쳐링시켜 아예 댄스홀 음악을 만들어 버렸는데 그게 바로 Baby Boy. 이 곡은 빌보드 핫 100에서 9주 연속 1위를 하는 등 비욘세와 션 폴 모두에게 제일 큰 히트곡이 되었다.
2.2. 계속된 전성기 (2003 ~ 2005)
그는 히트곡을 계속 발매하였는데 2003년의 "Like Glue"는 핫 100에서 13위까지 올랐고 2003년의 "I'm Still in Love with You"는 14위까지 올랐다. 2005년의 <We Be Burnin'>은 6위까지 올랐다.2.3. 션 폴의 최전성기, 2006년
그러던 도중 2006년에 Get Busy보다 더 큰 히트곡을 내놓게 된다. 바로 Temperature인데, 이 곡은 빌보드 핫 100에서 1주 1위를 차지했다. 별거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2006년 미국에서 이 노래의 인기는 대단해서 탑 텐에 17주 연속 올랐고, 결국 연말 차트 2위에 오르고야 만다.같은 해 발표한 싱글 "(When You Gonna) Give It Up to Me" 역시 핫 100에서 3위까지 오르는 등 대히트한다. Keyshia Cole이 피쳐링했다.
같은 해 리한나의 노래 Break It Off에 피쳐링하여 핫 100 9위에 올린다.
2.4. 2006년 이후, 피쳐링
2006년 이후 션 폴은 피쳐링으로 많은 히트곡을 기록하게 된다.2009년에 팝 가수 Jay Sean(제이 션)의 "Do You Remember"에 Lil Jon과 함께 피쳐링하여 곡을 핫 100 10위까지 올린다.
2014년에는 엔리케 이글리시아스의 히트곡 "Bailando"의 영어 버전을 피쳐링하여 곡을 핫 100 14위까지 올린다.
그리고 2016년에는 10년 만에 1위 곡을 얻게 되는데 시아의 곡 "Cheap Thrills"에 피쳐링하여 곡을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린다. 이는 션 폴의 4번째 핫 100 1위 곡이 되었다.
2017년에는 Clean Bandit의 "Rockabye"란 곡에 피쳐링하여 곡을 핫 100 9위까지 올랐다.
2021년, 이나와 UP을 발매하며 히트를 친다. 2025년에는 이나와 다시 콜라보하여 Let It Talk To Me를 발매했다.
3. 여담
- 션 폴이 인기를 누리던 시절에, 미국인들은 션 폴의 노래 가사의 일부분을 못 알아 들었다.[2] 말 그대로 음악 그 자체로 인기를 끌었던 아티스트이다.
[1] 캐나다 레게 뮤지션 Snow와 같은, 가짜 자메이카식 영어와는 차원이 다르다. 하지만 Snow도 그런 것과 상관 없이 음악이 인기를 끈 것은 맞다.[2] 정통 자메이카식 영어라 미국 영어와는 쓰는 단어, 문법, 발음 등이 아예 다르다. 자메이카식 영어라고 하지만 사실상 다른 언어로 봐도 될 정도이다. 처음에 들을 때는 다른 언어인줄 알았다가 나중에 알고 보니 영어라는 사실을 듣고 적잖은 충격(?)을 받은 사람들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