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8 16:38:41

쇠물닭

쇠물닭
Common moorhen
파일:DSCN4395.jpg
학명 Gallinula chloropus
Linnaeus, 175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두루미목(Gruiformes)
뜸부기과(Rallidae)
쇠물닭속(Gallinula)
쇠물닭(G. chlorop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생김새3. 생태
3.1. 번식
4. 식용

[clearfix]

1. 개요

뜸부기과 쇠물닭속에 속하는 조류. 흔한 여름철새로 한국에 도래한다.[1] 물닭과 닮았으나 크기가 더 작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2]

2. 생김새

몸길이 약 32cm이다. 몸 전체가 검은빛을 띄며, 부리가 붉은 색이며 부리 끝은 노란색이다. 물닭과 달리 부리의 색이 붉은 편이고, 헤엄칠때 꼬리 끝이 물 위로 올라오며, 발가락에 판족[3]이 없다. 대신 발가락이 무척 길어 물풀 위를 잘 걸어다닐 수 있다. 다리는 연한 녹색을 띈 노란색이다. 울음소리는 이렇다.

잠수성이라 때때로 잠수를 할 때도 있다. 걸어다닐 때는 꼬리를 주로 까딱거리는 편이라 물닭과 비교된다. 물닭에 비해서는 잠수를 자주 하지는 않는 편이고, 조금 겁이 많은 편이라 조금 거리가 있는 곳에서 수영하고 노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래꼬리덮깃에는 2개의 큰 흰색 반점이 있다. 또한 옆구리에 흰 점이 길게 늘어져 있다.

어린새는 물닭의 어린새와 매우 유사하게 생겼으나, 1회 겨울깃의 어린새의 경우 몸전체가 연한 갈색이다. 나머지는 쇠물닭 성조와 거의 비슷하다.

3. 생태

서식범위는 굉장히 넓어 유라시아, 아프리카, 남미, 태평양 섬에 분포한다. 기아종은 유럽, 아프리카 북부, 아조레스 제도, 카나리 제도에서 동쪽으로 중국, 한국, 일본까지, 남쪽으로 스리랑카, 동남아시아 대륙까지 분포한다. 사할린, 태국 및 보텔토바고(번식), 팔라우 섬에서도 기록되어 있다.[4]

한국에서는 4월 경 도래해서 번식하고 10월 경 떠나는 흔한 여름철새이며 드물게 월동하기도 한다. 식물이 풍부한 습지, 연못, 하천, 논 등에서 서식한다. 잡식성으로, 열매, 곤충, 물고기, 갑각류, 연체동물, 식물의 씨앗 등 매우 다양하게 먹는다.

3.1. 번식

한배 산란수는 5~15개이다. 알을 낳는 시기는 5월부터 8월까지로 폭넓다. 암수가 함께 19~22일 포란한다. 가시연, 부들, 갈대 등이 많은 곳에서 흔히 번식한다. 둥지는 풀을 쌓아 올려 만들거나 다발을 만들기도 한다. 2차번식[5]까지 가능하며, 이 경우 먼저 태어난 새끼들이 동생들을 돕기도 한다.

조성성이라 이소가 빠르고 태어나자마자 어느 정도 활동이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조성성 조류들처럼 생존률이 그리 높지 못하다.
파일:DSCN4638.jpg
쇠물닭 매우 어린 새의 사진이다. 성조보다 얼룩덜룩하고 훨씬 작다.
파일:DSCN4410.jpg
육추 장면이다.

4. 식용

일본 에도시대에는 식용으로 흔히 쓰이기도 했다. 심지어 5대 진미 중 하나였다고 한다.

한때 뜸부기가 약으로 흔히 사용되었다. 그러나 농약 사용 등 여러 요인들이 작용하여 뜸부기가 멸종위기종이 되어가고, 개체수가 줄기 시작했다. 게다가 뜸부기는 키우기도 힘들었다. 이때 쇠물닭을 사육해서 뜸부기로 속이고 팔기도 했다.


[1] 4월 정도에 오고 9~10월쯤에 간다. 5~8월이 번식기간이다.[2] 영명 Moorhen은 습원의 암탉이라는 뜻이고, 쇠물닭의 속명 Gallinula는 '녹색발을 가진'이라는 뜻이다.[3] 발가락에 달린 막 같은 것으로 물 위에 떠서 헤엄치는데 도움을 준다.[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86741&cid=46681&categoryId=46681[5] 한해에 두번 번식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