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22:47:18

시베리아족제비

시베리아족제비(대륙족제비, 조선족제비, 한국족제비)
Siberian Weasel, Kolonok
파일:ㅅㅂㄹㅇㅈㅈㅂ.jpg
학명 Mustela sibirica
(Pallas, 1773)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족제비과(Mustelidae)
족제비속(Mustela)
시베리아족제비(M. sibirica)
아종
  • 시베리아족제비(M. s. sibirica)
  • 티베트족제비(M. s. canigula)
  • 만주족제비(M. s. charbinensis)
  • 한국족제비(M. s. coreanus)
  • 대만족제비(M. s. davidiana)
  • 북중국족제비(M. s. fontanierii)
  • 호지슨족제비(M. s. hodgsoni)
  • 극동족제비(M. s. manchurica)
  • 버마족제비(M. s. moupinensis)
  • 제주족제비(M. s. quelpartis)
  • 히말라야족제비(M. s. subhemachalana)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개요

1. 개요

족제비의 일종.

2. 개요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 미얀마 북부, 태국 북부, 라오스, 러시아, 대만, 중국, 한반도까지 분포한다. 일본혼슈, 시코쿠, 규슈에 도입된 개체들이 서식한다.

수컷은 몸길이 28~39cm, 꼬리길이 15.5~21cm, 체중 650~820g이고, 암컷은 몸길이 25~30.5cm, 꼬리길이 13.3~16.4cm, 체중 360~430g이다. 몸 전체가 황토색 털로 되어 있고 눈 부근은 마치 복면을 쓴 것처럼 갈색 무늬가 있다.

주로 다람쥐, 청설모, 물밭쥐 등의 설치류와 우는토끼 등을 먹이 삼고, 이따금 같은 가축도 공격한다. 아주 가끔은 소형 파충류, 어류, , 다래 열매 등도 먹는다. 매일 약 100~120g의 먹이를 섭취한다.

항문의 양쪽에는 악취를 내는 항문선이 1쌍 있으며 적을 물리칠 때 사용한다.

주천적은 붉은여우, 노란목도리담비처럼 자기보다 큰 식육목 동물들과 검독수리, 수리부엉이, 참매 등의 맹금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