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07 22:38:40

시외버스 풍각-용계

파일:남부풍각.jpg
대구남부까지 운행하던 시절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운임4.2. 시간표

1. 개요

풍각정류장에서 헐티재를 넘어 가창면 용계리를 잇는 노선.

2. 노선 정보

시외버스 풍각-용계
기점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풍각버스정류장)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가창농협)
종점행 첫차 08:30 기점행 첫차 09:30
막차 17:00 막차 18:00
운수사명 인터시티경산 운행횟수 1일 3회
노선 풍각버스정류장 - 삼평2리.율정 - 삼평1리.방지 - 각북(남산리) - 덕산(덕촌) - 오산 - 용천사 - 정대 - 오동 - 용계(가창농협)

3. 역사

  • 2020년에 코로나19로 1일 2회로 줄었다가, 현재는 다시 1일 3회로 늘려서 운행한다.

4. 특징

시내버스 및 농어촌버스 정류장에도 서는 시외완행으로 운행한다. 따라서 서술되어 있지 않은 정류장에 내릴 경우 버스 기사에게 세워달라고 요청하거나, 승객이 내릴 준비를 한다면 서술되어 있지 않은 정류장에도 세워준다. 다만 지하철과 연계는 되지 않는다.[2] 과거 남부정류장 출발시에는 수성구청, 수성시장, 수성구보건소 등 각 정류장에서 승차가 가능했었다.

대구 구간에서는 가창2번의 정대 노선이 14회로 자주 운행해서 수요가 별로 없지만, 청도 구간에서는 농촌 특성상 농어촌버스(풍각순환 풍각-오산(6회))가 자주 다니지 않기 때문에, 청도 구간에서의 수요가 있다.

매표소가 없는 장소에서 승차할 경우에 한해 교통카드 사용[3]이 가능하다.

안그래도 용계까지 갈 때는 운임이 비싸고 소요시간이 오래 걸려서 0번을 타는 것이 이득인데, 주말 가창댐 정체까지 합치면 소요시간 만큼은 굉장히 오래걸린다.[4]정대도 시간이 안 맞으면 0번을 탄 다음 용계에서 내려 가창2번 정대행을 타는 것이 합리적이다.

최근 경산에서 출발하여 중앙병원, 남천, 남성현, 투우장, 무등, 청도, 청도군청, 칠성리, 화양, 각남을 거쳐 풍각으로 온 뒤에, 이 노선을 따라 용계로 가는 노선이 생겼다.[5]

4.1. 운임

  • 풍각 기준: 삼평~각북 1,500, 오산 1,900, 용천사 2,300, 정대 3,400, 오동 4,100, 용계 4,800

4.2. 시간표

풍각 ↔ 용계 운행시간표
횟수 풍각 용계
1 08:10 09:20
2 13:05 14:00
3 16:50 18:00

[1] 풍각에서 이서경유 용계행을 타고 싶으면 이 노선보다 운행횟수가 훨씬 더 많은 0번을 타면 된다.[2] 이 노선의 행선지인 용계는 용계역과 용계정류소가 있는 동구 용계동이 아닌, 달성군 용계리를 의미한다.[3] 선불카드인 대경, 탑패스, 원패스, 티머니와 10개 카드사의 후불카드[4] 1시간 넘게 걸리기도.[5] 경산-용계간 전구간 승차는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