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수원뮤지컬컴퍼니 제작
<colbgcolor=#000><colcolor=#fff> | |
| |
제작 | <colbgcolor=#fff,#1c1d1f>과수원 뮤지컬 컴퍼니 |
작·연출 | 추정화 |
작곡·음악감독 | 허수현 |
안무 | 김병진 |
공연장 | 초연: 예스24 스테이지 2관 |
공연 기간 | 초연: 2024.12.10~2025.03.02 |
관람 시간 | 100분 |
공식 계정 |
[clearfix]
1. 개요
창작 뮤지컬. 제18회 DIMF 창작뮤지컬상 수상작. 극중극 형식으로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소설)을 뮤지컬화했다.2. 시놉시스
팬데믹, 세계 전쟁으로 황폐해진 어느 미래의 세상, 여기저기 아직 남아있는 폭탄이 간간히 터지는 세상에 네 명의 배우들이 마치 짠 듯이 모여든다. 어느 한때는 신전으로, 어느 한때는 극장으로 쓰인, 하지만 지금은 버려진 어느 장소로 그들은 모든 게 멈춰버린 세상에서 시지프스를 떠올리며 다시 한번 돌을 굴려보자고 얘기한다. 배우인 그들에게 '돌'은 곧 '이야기'를 의미한다. 어디선가 카뮈의 이방인을 주워드는 포엣. 그렇게 그들은 합심하여 다시 돌을 굴리기 시작한다. 스쳐가면 끝나는 예술! 찰나에 모든 걸 걸지만, 찰나가 지나면 모든 게 사라져 버리는 무대 위의 연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는 모든 걸 불사른다. 태양 아래 울린 다섯 발의 총성 그리고 단두대 아래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목숨을 부여잡고서야 뜨거워지기 시작하는 삶에 대한 욕망, 에너지! 모두 죽음을 두려워한다. 피할 수 있다면 피하고 싶다. 하지만 우리 모두 안다. 절대 피할 수 없다는 것을! 그렇다면 정말 출구는 없는 것인가? |
3. 등장인물
- 언노운
고뇌를 수행하는 자
- 포엣
시를 노래하는 자
- 클라운
슬픔을 승화하는 자
- 아스트로
별을 바라보는 자
4. 넘버
1. 스테이지 __ by.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2. 이방인 __ by.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
3. 눈물 한 방울 없는 죽음 __ by.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
4. No way out __ by.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
5. Why so serious __ by.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
6. 레몽 __ by.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
7. Sunday __ by.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
8. MBTI __ by.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
9. 마리 __ by. 언노운, 포엣
10. Best friend __ by. 클라운
11. 일그러진 나 __ by. 언노운
12. 이방인 rep __ by.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
13. 아뉴스데이 __ by. 언노운
14. 시지프스 __ by. 언노운, 포엣, 클라운, 아스트로
5. 캐스팅
5.1. 2024년 초연
프로필 사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letter-spacing:-.2px;font-size:.9em" | |||
언노운 役: 이형훈 | 언노운 役: 송유택 | 언노운 役: 조환지 | |
포엣 役: 정다희 | 포엣 役 박선영 | 포엣 役: 윤지우 | |
클라운 役: 정민 | 클라운 役: 임강성 | 클라운 役: 김대곤 | |
아스트로 役: 이후림 | 아스트로 役: 김태오 | 아스트로 役: 이선우 | }}}}}}}}} |
6. 기타
- 극중극이라는 형식 덕에 메타발언, 젠더프리 연기 등이 자유롭게 들어간 편. <이방인>에 담긴 철학적 메시지를 한결 명료하게 드러내 몰입도를 높인다. 청년 배우들이 연극으로 ‘이방인’을 펼쳐내는 과정을 통해 ‘출구가 없는 부조리한 세상을 살아가려면 묵묵히 현실을 받아들이고 앞길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조한다. 작·연출가인 추정화는 “이해하기 어려운 소설로 여겨지는 ‘이방인’을 뮤지컬 어법으로 쉽게 풀어내 관객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6.1. 재관람 혜택
||<-4><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 초연 '𝐓𝐡𝐞 𝐒𝐓𝐑𝐀𝐍𝐆𝐄𝐑 𝐂𝐀𝐑𝐃' ||
4회 관람 시 | 8회 관람 시 |
40% 할인권 | 미니실황 OST |
7. 둘러보기
추정화 작/각색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rowcolor=#fff> 연도 | 작품 |
2013 | 달을 품은 슈퍼맨 | |
2016 | 은밀하게 위대하게 | |
인터뷰 | ||
2017 | 스모크 | |
원스어폰어타임 인 해운대 | ||
2018 | 루드윅: 베토벤 더 피아노 | |
2019 | 블루레인 | |
2022 | 프리다 | |
2024 | 4월은 너의 거짓말 | |
시지프스 |
허수현 작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rowcolor=#fff> 연도 | 작품 |
2010 | 태양의 노래 | |
2013 | 달을 품은 슈퍼맨 | |
아가사 | ||
2016 | 은밀하게 위대하게 | |
인터뷰 | ||
스모크 | ||
로미오와 줄리엣 | ||
2017 | 원스어폰어타임 인 해운대 | |
2018 | 돌아서서 떠나라 | |
루드윅: 베토벤 더 피아노 | ||
2019 | 더 캐슬 | |
블루레인 | ||
2020 | 또! 오해영 | |
2021 | 칠칠 | |
2022 | 프리다 | |
2023 | 보이체크 인 더 다크 | |
포쉬 | ||
2024 | 시지프스 | |
카포네 밀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