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2:34:48

신뎬선


파일:대만 국기.svg타이완의 일반철도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고속 타이완 고속철도
간선 서부간선 종관선 · 타이중선 · 핑둥선
동부간선 이란선 · 북회선 · 타이둥선
남회선
지선 네이완선 · 류자선 · 지지선 · 사룬선 · 핑시선 · 선아오선 · 타이중임항선 · 청주이선 · 화롄임항선 · 아리산 삼림철도
폐선 신뎬선 · 단수이선 · 신베이터우선 · 린커우선 · 타이완당업철로 · 쑹산공항선· 뤄둥삼림철로· 타이핑산삼림철로
}}}}}}}}} ||

新店線 / Xindian Line

1. 개요2. 타이완 철로 관리국 시절 역 목록3.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 시절 역 목록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aipei_County_Map_1947.png

일본 강점 시대 타이베이 인근의 철도를 표시한 지도. 굵은선은 일반철도고 가는선은 인차철도이다.

1. 개요

대만타이완 철로관리국에서 운영했던 종관선의 지선이었고, 타이베이 시내와 신베이신뎬 지역을 연결했던 철도노선. 현재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의 전신격 노선이다.

노선은 종관선의 완화역에서 분기되어서 현재의 신뎬역에 위치한 군역소앞역(郡役所前車站)[1]에서 종착했다.

원래 대만일치시기에 타이베이 남쪽에서 채굴되었던 석탄을 운송하기 위해 대북철도회사(台北鉄道会社)에서 건설한 철도이다. 따라서 처음에는 화물 위주의 노선이였다. 탄광에서 신뎬역까지는 인차철도로 석탄을 날랐다고 한다. 나중에 대북제국대학이 현 궁관역 인근에 세워지고 우라이(烏來) 지역이 관광지로 개발되면서 여객노선이 되었다. 일본이 2차대전에서 패배하고 대만에서 물러나면서 타이완 철로관리국의 노선이 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자동차와 도로가 발달하면서 단선 비전철 노선인 신뎬선은 급격하게 쇠퇴했고 결국 적자누적으로 1965년 3월 24일에 폐선되었다. 기존 철도 부지는 전부 도로로 전환되어 완룽역 이북은 팅저우로(汀州路)가 되었고 이남은 신베이로(北新路)가 되었다.

기존 지상 철도 폐선 직후 그 부지에 바로 첩운을 설치하고 기존 철도역 자리에 첩운역을 설치한 단수이선과 달리,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과 구. 신뎬선은 폐선 후 첩운 건설 사이의 기간도 30년이 지났고 선형도 다른데다가 역 위치도 일치하지 않아 기존 신뎬선을 계승한 노선은 아니다. 단, 완룽역 이남은 기존 노선의 선형과 동일하고 기존 역의 이름을 가져온 역들이 있어서 첩운이 신뎬선을 계승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기존 철도 부지 중 타이베이시 구간은 왕복 2차선 도로로 매우 협소해서 복선 표준궤를 부설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하다. 그래서 현재 첩운 쑹산신뎬선의 타이베이시 구간은 기존 철도 노선과 달리 넓은 간선로인 루스벨트로(羅斯福路) 지하를 경유하게 되었다.

현재는 건물이 남아 고급식당 및 카페로 영업 중인 수이위안디역 정도를 빼면 신뎬선의 흔적이 대부분 사라진 상태다. 다만 선로 자체는 통째로 도로로 전환되었기에 옛 선형 자체는 완벽하게 남아있다.

현재의 노선과 예전의 노선은 여기에서 비교 가능하다.

한편 신뎬선 폐선 이후 화물기능은 현재의 난스자오역에 중허역을 세우고 반차오역~중허역 간을 있는 화물 전용선인 중허선으로 대체했다가 화물 수요가 감소하면서 1990년에 폐선되었다. 여담으로 이 노선 선형과 타이베이 첩운 환상선과 상당히 겹치는데, 반차오역(현.푸중역)-반신역-차오허역을 경유 후 직선으로 남하하여 바로 난스자오역에 도착하는 형태였다. 이 노선은 화물 노선이었기에 중간역이 없었고 전 구간이 간선 도로로 전환된 상태라 흔적 자체가 아예 없다.

2. 타이완 철로 관리국 시절 역 목록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의 몇 몇 역 이름은 이 노선의 역에서 따왔으나 위치가 일치하는 역은 단 한 곳도 없어 이 당시 역과는 별도의 역으로 본다. 예를 들어 다핑린역의 경우에는 현재 기준으로 아예 치장역 위치에 있었다. 그나마 완룽역징메이역 정도가 위치가 거의 비슷한 지점에 있다. 일부 역은 중화민국이 타이완을 접수한 직후인 1945년 10월 31일자로 일괄 폐역되었다.

폐선 당시에는 원산구가 타이베이시에 편입되기 직전으로 행정구역은 당시 기준으로 서술한다.
역명 영업
거리
비고 소재지
완 화
萬華
0.0종관선과 환승 타이베이시
쿠 장
堀江
0.5(화물 전용역)
허 핑
和平
1.1
잉차오
螢橋
1.9
구 팅
古亭
2.6
셴궁먀오
仙公廟
3.4대만일치시기 종식 직후 폐역
수이위안디
水源地
3.9역 건물 현존
궁 관
公館
4.5
완 룽
萬隆
5.8 타이베이현
제련회사앞역
製罈會社前
6.5대만일치시기 종식 직후 폐역
징메이
景美
6.8
얼스장
二十張
7.6대만일치시기 종식 직후 폐역
공학교앞
公學校前
8.0대만일치시기 종식 직후 폐역
다핑린
大坪林
8.5
치 장
七張
9.0
신 뎬
新店
10.4
군역소앞
郡役所前
10.7대만일치시기 종식 직후 폐역

3.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 시절 역 목록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의 신뎬선은 중정기념당역~신뎬역 구간이다. 자세한건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 항목으로.

1994년 타이베이 시장 천수이볜 에 의해 우라이구까지 연장 제안이 있었으나, 타이베이시타이완성간 협의가 되지 않은 상태의 제안으로 무산되었다.[2]
[1] 군역소는 군청의 일본식 표현(시정촌 항목 참조)으로 현 타이베이시 원산(文山)구가 군이였던 시절에는 신뎬 지역이 군청이 있었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2] 우라이가 관광지라고 해도 중전철을 굴릴 정도의 수요는 아니었고, 중간 수요도 없거니와 철도를 건설하기에 부적합한 지형이다. 현재 신베이 첩운이 생기고도 우라이는 경전철 제안조차도 나오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