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03:39:23

신조선족

1. 개요2. 긍정적인 의미3. 부정적인 의미

1. 개요

중국에 장기적으로 거주하면서 살아가는 중년 한국인이나 글로벌한 조선족들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한국인을 지칭하는 용어가 아니다.

2000년대2010년대까지 잠깐 쓰였으며 한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는 아니다.

2. 긍정적인 의미

아래의 부정적인 의미와 달리 중국에 잘 정착한 한국인을 가리키기도 한다. 중국조선족 매체에서 긍정적으로 쓰는 말이다. 중국 조선족 사회에서 적응을 잘 하는 한국인을 가리켜 쓰는 경우가 있다. 즉, 돈 벌러 중국 가서 한탕 치고 돌아가려는 한국인이 아니라 현지 풍토에 잘 적응하고 도움도 되는 한국인을 의미한다. 연변에 뿌리박고싶은《신조선족》 기사 참고.

새로이 중국에 진출한 한국인에 대한 비유적 표현이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200여만 조선족의 국제적 영향력을 칭찬할 때 쓰기도 한다. 한겨레신문 2007년 기사에 의하면 무역업을 하는 조선족 기업가들이 베이징에 따로 사무실을 낼 정도로 힘을 기르고 있다. 조선족이 지역에서 중국으로, 이어 세계로 뻗어가는 단계를 밟고 있으며 2006년까지 해외로 나간 조선족은 모두 35만~45만명에 이른다. 전체 조선족의 20%에 해당하는 숫자이며, 최근엔 아프리카와 중동, 남미에까지 진출하고 있다. 중국의 어느 소수민족도 이처럼 급속하고 거대한 해외 유출을 경험하지 못했다고 한다.

3. 부정적인 의미

한국에서 태어났고 국적도 한국이지만 유년시절부터 중국에 살아서 한국보다 중국이 익숙한 한국인을 의미하기도 한다. 중국어한국어를 섞어 쓰는 경향이 강하며 식습관 같은 문화 양식이 한국보다는 중국에 더 가깝고 중국을 마음의 고향으로 여겨 한국에서 사는 것이 오히려 더 불편하게 느껴진다.

한겨레신문에 의하면 이용욱 재중국창춘한국인회 사무국장은 중국으로 건너와 10년 이상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사람들은 국적만 대한민국으로 되어 있을 뿐 삶의 모든 터전이 중국에 있어 한국으로 돌아가기 보다는 중국에서 계속 살기를 원한다고 한다. 이러한 것 때문에 그들을 우스개소리로 스스로를 ‘신조선족’이라고 부른다.

한국 공휴일은 몰라도 중국 공휴일은 알고, 김구 같은 인물은 몰라도 마오쩌둥이나 덩샤오핑은 아는 반(半) 중국인이다. 한국인들과 자주 어울린 아이는 그래도 덜하지만 부모가 현지에 적응시키려고 바로 현지학교에 집어넣은 아이는 심각한 혼란을 겪는다.

성인이 된 후에 중국에 왔으나 사업 실패 등으로 인해 중국 길바닥을 전전하여 중국인화(化) 된 사람 내지는 중국몽을 꾸는 친중파들을 칭하기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