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4:09:54

신호등/일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신호등

파일:attachment/일본에서 운전하기/kousaten.jpg

1. 구조2. 신호등 의미
2.1. 적색신호2.2. 청색신호2.3. 화살표신호
3. 시차식신호기4. 신호주기
4.1. 보행 신호등4.2. 점멸등
4.2.1. 황색 점멸4.2.2. 적색 점멸
4.3. 특이 점멸신호
4.3.1. 보행자작동식(押ボタン式)4.3.2. 황-적 점멸 교대식4.3.3. 예고신호4.3.4. 적색점멸-적색
5. 3색등
5.1. 기본
6. 4색등
6.1. 기본6.2. 시차식
6.2.1. 후발식 16.2.2. 후발식 26.2.3. 후발식 36.2.4. 후발식 46.2.5. 선발6.2.6. 우회전차 분리

1. 구조

좌측통행인 일본은 대한민국과 신호등 등화배치 순서가 반대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적색-황색-(화살표)-녹색 순이지만, 일본에서는 청색-황색-적색 순이며 화살표는 적색신호 아래에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또 세로로 배치되는 종형 신호등도 우리나라보다는 쉽게 볼 수 있다. 또 2기 이상 설치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은 한국과 달리 1기만 설치하는 경우가 더 많다.

신호등 박스는 밝은 회색으로 되어있다. 등갓이 한국보다 길고 큰 편이다.

2. 신호등 의미

일본에서 말하는 '경차량(軽車両)'이란 자전거, 인력거, 손수레, 소, 말, 소달구지, 마차, 썰매 등 원동기 장치가 없어 손이나 동물을 이용해 움직여야 하는 차량을 말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소형차라는 의미의 '경차'는 '경자동차(軽自動車)'라고 따로 지칭하므로 오해하지 않아야한다.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로교통 신호의 의미
종류 등화 의미(도로교통법 조문)
자동차 청색 파일:trafficG.svg 하나. 보행자는 진행할 수 있다.
둘, 자동차, 원동기부착자전거, 트롤리버스 및 노면전차는 직진하거나 좌회전하거나 우회전 할 수 있다.
셋, 다통행(多通行) 대도로 등 원동기부착자전거 및 경차량은 직진(우회전하려다가 우회전하는 지점까지 직진하고, 그 지점에서 우회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파란색 등불의 화살표 항을 제외하고 이 하 이조에서 같다.)을 하거나 좌회전 할 수 있다.
황색 파일:trafficY.svg 적색으로 변하기 직전.
하나, 보행자는 도로의 횡단을 시작해서는 안되고 도로를 횡단하고 있는 보행자는 신속하게 그 횡단을 끝내거나 횡단을 멈추고 되돌아가야한다.
둘, 차량 및 노면전차(이하 차량 등)은 정지위치를 넘어 진행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황색 등불 신호가 표시되었을 때 정지위치가 너무 가까워서 안전하게 정지할 수 없을 경우는 제외한다.
적색 파일:trafficR.svg 하나, 보행자는 도로를 횡단해서는 아니된다.
둘, 차량 등은 정지위치를 넘어 진행하여서는 아니된다.
셋, 교차로에 이미 좌회전하고 있는 차량 등은 그대로 진행할 수 있다.
넷, 교차로에서 이미 우회전하고 있는 차량 등(다통행 대도로 등 원동기부착자전거 및 경차량을 제외한다.)은 그대로 진행할 수 있으나 청색 등화로 인해 진행하고 있는 차량 등을 방해해서는 아니된다.
다섯, 교차로에서 이미 우회전하고 있는 다통행 대도로 등 원동기부착자전거 및 경차량은 그 우회전하고 있는 지점에서 정지하여야한다.
화살표 청색 파일:trafficGL.svg 차량은 황색 등화, 적색 등화의 신호에 관계없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다통행 대도로 등 원동기부착자전거 및 경차량은 직진하는 다통행 대도로 등 원동기부착자전거 및 경차량으로 본다.
파일:trafficGR.svg
파일:trafficG10.svg
파일:trafficG2.svg
파일:trafficG12.svg
황색 점멸 파일:trafficYBlk.svg 보행자 및 차량 등은 다른 교통에 주의하여 진행할 수 있다.
적색 점멸 파일:trafficRBlk.svg 하나, 보행자는 다른 교통에 주의해서 진행할 수 있다.
둘, 차량 등은 정지 위치에 일시정지하여야 한다.
보행자 청색 파일:trafficGP.png 하나, 보행자는 진행할 수 있다.
둘, 보통의 자전거는 횡단보도에서 직진하거나 좌회전 할 수 있다.
청색 점멸 파일:trafficGPblk.gif 하나, 보행자는 도로의 횡단을 시작해서는 아니 되며 또 도로를 횡단하고 있는 보행자는 신속하게 그 횡단을 끝내거나 횡단을 멈추고 되돌아가야한다.
둘, 횡단보도를 진행하려는 보통의 자전거는 도로의 횡단을 시작하여서는 아니된다.
적색 파일:trafficRP.png 하나, 보행자는 도로를 횡단하여서는 아니된다.
둘, 횡단보도를 진행하려는 보통의 자전거는 도로의 횡단을 시작하여서는 아니된다.
셋, 교차로에서 이미 좌회전하고 있는 자전거는 그대로 진행할 수 있다.
넷, 교차로에서 이미 우회전하고 있는 자전거는 그 우회전하는 지점에서 멈추어야 한다.
노면전차 화살표 황색 파일:trafficY12.svg 노면전차는 황색 등화 또는 적색 등화의 신호에 관계없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파일:trafficYL.svg
파일:trafficYR.svg
X표 적색 파일:trafficRX.svg 노면전차는 청색 등화에 관계없이 정지하여야 한다.
이 표에서 '정지위치'란 다음에 제시하는 위치(도로 표지등에 의한 정지선이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그 정지선의 직전)를 말한다.
하나, 교차로(교차로 바로 옆에 횡단보도 등이 있는 경우에는, 그 횡단보도 등의 바깥쪽까지의 도로 부분을 포함한다. 이하 이 표에서 같다.)에서는 그 교차로의 직전.
둘, 교차로 이외의 장소에서 횡단보도 등 건널목이 있는 장소에서는 횡단보도 등 건널목 직전.
셋, 교차로 이외의 장소에서 횡단보도, 자전거 횡단도 및 건널목이 없는 장소에서는, 신호기 직전.

2.1. 적색신호

적색신호에는 어떤 방향으로도 진행할 수 없다.[1] 중앙분리대가 있어 정지선을 넘어 U턴해야 하는 경우라면 U턴도 금지다.

교차로와 정지선이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좁은 도로에서 버스나 트럭이 회전할 여유 공간이거나 좌측에 차량 진출입로가 있는 경우이므로 다른 차량의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주의하자.

파일:attachment/일본에서 운전하기/s5.jpg

교통량이 적은 곳에서는 차량감지식 신호등이 설치된 경우가 많은데 노면 표시가 있는 곳에서 대기하면 신호가 바뀐다.

파일:attachment/일본에서 운전하기/teijisen.jpg
이 표지판은 정지선 안내 표지판이다. 홋카이도 등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정지선이 눈에 묻혀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정지선 위치에 이와 같은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파일:적색시좌회전가능.png
위 표지판은 적색등에도 좌회전이 가능하다는 표지판으로, 신호등 아래에 좌회전표시가 있으면 빨간 불에도 조심해서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차량의 진행을 방해하여서는 안된다. 한국에서 으레 가능한 적신호 우회전(속칭 비보호우회전)은 일본에서는 이 표지판이 있어야만 좌회전이 가능하다.

2.2. 청색신호

적색신호와 반대로 청색신호에는 금지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U턴 포함)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 직진을 제외한 모든 진행은 비보호다. 한국의 비보호 좌회전이 일본에서는 이미 청색신호에 내포되어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일본 도로교통법상 청색신호의 의미는 지시가 아닌 허용이다.

청색신호 시 좌우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도 같이 들어오므로 좌, 우회전 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와 자전거에 주의해야 한다. 한국과 다르게 T자형 교차로에도 청색신호가 표시되는데 이때에도 좌우 횡단보도에는 보행신호가 들어온다. 신호등에 보차분리식(歩車分離式) 표지판이 있는 경우 청색신호에도 좌우 횡단보도에 보행신호가 들어오지 않지만 자전거는 차량 신호로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교차로에서 청색신호 시 우선순위는 직진>좌회전>우회전[2]이다. 우회전 하려는 경우 우회전 대기차선(위 사진에서 노란버스가 정지해 있는 차선)에서 대기하다가 직진, 좌회전 차량이 모두 지나간 후 우회전해야 한다. 웬만한 교차로에는 우회전 신호가 따로 있으므로 무리하게 청색신호에 우회전 하지 않아도 된다. 직진 차량이 상향등을 번쩍이며 달려오는 경우가 있는데 한국에서는 끼어들면 박아버리겠다는 의미지만 양보하겠다는 의미이므로 이때는 안심하고 우회전 하면 된다.

대부분의 청색신호는 녹색이지만 관습적으로 청색이라 불리는데, LED로 바뀌기 전 전구식 신호등을 사용할 때는 실제로 청색(정확히는 시안색) 조명을 사용하였다. 옛날 사람들은 녹색도 청색이라 불렀기에 청색신호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전후 신세대들이 이에 의문을 제기하자 신호를 파랗게 만든 것. 지도에 표시되는 신호등 픽토그램도 그 흔적으로 빨강-노랑-시안으로 표시되어 있다.

2.3. 화살표신호

파일:YBTUGfc.jpg

보통 적색신호와 함께 표시되며 청색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다. 교차로 모양에 따라 화살표의 방향, 신호등 배치가 다른 경우가 많다. 홋카이도 등에서는 신호등이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화살표신호는 본 신호등 우측에 설치되며 위에서부터 우회전, 직진, 좌회전 순이다. 모든 신호가 화살표로만 표시돼 청색신호가 아예 들어오지 않는 신호기가 있는가 하면, 청색신호 위치에 직진이나 좌회전 신호가 달려있는 특이한 경우도 있다.

도심 주요 도로에는 교차로마다 교통량 측정 장치가 설치돼 있는 경우가 많은데 교통량에 따라 신호체계가 바뀌는 일이 잦다. 교통량이 많을 때는 비보호 우회전 시 사고위험이 높으므로 좌회전+직진 신호를 표시해 우회전 차량을 분리하고 교통량이 적을 때는 청색신호를 표시해 비보호 우회전을 허용하는 게 대표적인 예다.

화살표가 표시되는 방향으로는 다른 방향의 도로 신호와 교차하지 않지만 왼쪽 사진과 같이 좌회전+직진 화살표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높은 확률로 좌측 횡단보도가 보행신호이므로 좌회전 시 주의해야 한다.

청색신호인 경우 직진, 좌회전, 우회전이 모두 가능하다. 다만 위의 왼쪽사진은 적색신호와 청색으로 좌회전, 직진이 켜져있다. 본 단락의 첫 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청색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좌회전, 직진만 가능하다.
오른쪽 사진은 청색신호 후 표시되는 우회전 신호인데 우리나라로는 직진후 좌회전을 생각하면 되며 신호등별로 신호 표시 패턴이 조금씩 다르다. 신호가 청색에서 황색으로 바뀔 때 우회전 신호가 표시되는 경우, 적색으로 바뀐 뒤 우회전 신호가 바로 표시되는 경우, 적색으로 바뀐 뒤 1초 뒤 우회전 신호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중앙분리대로 인해 교차로 내에서 U턴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화살표신호의 '신호가 표시하는 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다'는 규정때문에 우회전 신호 시 U턴은 신호위반이었다. 때문에 유턴용 화살표 신호를 설치하거나 했는데, 유턴 신호가 따로 없는 곳에서는 청색신호에는 U턴이 되고 정작 우회전신호에는 U턴이 안되는, 그래서 우회전 차선에서 U턴 하려는 차량들이 우회전 신호에는 멈춰야 해 우회전 차량이 진행할 수 없는 이상한 상황이 일본에 화살표신호가 도입된 이래 수십년간 계속 되어왔는데 2012년 4월에서야 도로교통법이 개정되면서 우회전신호 시 합법적인 U턴이 가능해졌다. 뉴스 보도 영상 (단, U턴금지 구간은 제외.)

파일:attachment/일본에서 운전하기/_2.jpg

황색 화살표는 노면전차용 신호이므로 차량은 해당 방향으로 진행하면 안된다. 대표적인 경우가 하코다테, 삿포로. 해당 상황일 경우 차량은 좌, 우회전이 가능하지만 직진은 불가능하다.

3. 시차식신호기

파일:attachment/일본에서 운전하기/jisasiki.jpg 우회전 수요가 많은 교차로에서 상행(전방향 신호)과 하행(적색 신호) 도로의 신호가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시차식(時差式) 신호라 한다. 보통 신호등 옆에 시차식 신호기임을 알리는 표지판이 붙어있지만 신호 점등 방식이나 지역에 따라서 표지판이 없는 경우도 있다. 오른쪽의 표지판은 도쿄도 내에서만 쓰이는 시차식 신호기 표지판이다.

문제는 시차식 신호에 대한 전국적으로 통일된 규정이 없다보니 같은 지역 내에서도 신호기마다 신호 점등 방식이 제각각이라 일본인들도 헷갈려 한다는 점(...)

시차식 신호체계는 크게 선발식(先発式)과 후발식(後発式)으로 나눌 수 있다. 말 그대로 선발식은 우회전 신호를 먼저 주는 것, 후발식은 우회전 신호를 나중에 주는 것이다.

파일:RB5kq05.jpg

'시차식 신호일 때' 위 세개의 신호는 모두 같은 의미다. 문제는 우회전 화살표가 표시되는 두번째, 세번째의 경우 대향차선 신호는 당연히 적색신호이므로 시차식 신호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청색신호만 표시되는 경우 시차식 신호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이때문에 대향차선 신호가 적색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우회전을 하다가 맞은편에서 달려오는 직진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많이 일어나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냥 앞 잘 보고 대항차선에 차가 없거나, 멈춰있으면 가면 된다. 청색신호 시 대향차선 신호가 무조건 적색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선발 시차식 신호체계'에서 적색신호에서 청색신호로 바뀐 경우
  • '후발 시차식 신호체계'에서 적색+직진(+좌회전) 신호에서 청색신호로 바뀐 경우
  • '대향차선분리(対向車線分離)'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표지판으로 선발식인지 후발식인지 알 수 없는 경우, 화살표 신호등이 없어 청색신호만 표시되는 경우에는 대향차선의 차량들이 멈추는 것을 보고 대향차선이 적색신호로 바뀌었을 것이라 추측하고 진행하는 수밖에 없다. 일부 지역의 경우 시차식 신호로 바뀌었을 때 '시차식신호작동중'이라고 표시해주는 LED 전광판이 신호등 아래에 설치된 곳도 있다.

시차식 신호의 표시 방식이 같아도 점등되는 과정이 다를 수 있다.
  • 청색신호에서 적색신호+전방향 화살표 신호로 바뀌는 과정에서 황색신호가 있는 경우가 있고 없는 경우가 있다. 황색신호가 표시되는 경우에도 황색신호만 표시되는 경우, 황색신호와 직진, 좌회전 화살표 신호만 들어오는 경우, 황색신호와 함께 전방향 화살표 신호가 들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대향차선도 황색신호이므로 우회전 화살표 신호가 들어왔다고 무턱대고 바로 우회전 해버리면 직진 차량과 충돌할 위험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청색신호 또는 적색신호+직진(+좌회전) 신호에서 적색신호+전방향 화살표 신호로 바뀌는 과정에서 황색신호만 표시되고 적색신호로 바뀐 뒤 3초 뒤 전방향 화살표 신호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왜 굳이 중간에 직진 신호까지 꺼버리는 지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데 현지 주민들도 이유는 모른다고 한다. 적색신호에는 정지선을 넘어 진행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적색신호만 표시될 때에 그대로 직진하면 원칙적으로는 신호위반이 된다. 다만 지역에 따라 신호위반으로 단속하는 경우가 있고 단속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 선발 시차식 신호에서 처음에 청색신호를 표시하고 예비신호로서 적색신호+전방향 화살표 신호를 표시한 뒤 적색신호+직진(+좌회전) 신호를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영상 링크(youtube)\

4. 신호주기

4.1. 보행 신호등

순서 등화
1 파일:trafficKRP.png
파일:trafficGP.png
2 파일:trafficKRP.png
파일:trafficGPblk.gif
3 파일:trafficRP.png
파일:trafficKGP.png
청색 → 청색점멸 → 적색

신호등이나 그 주기는 한국과 거의 동일하다. 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전환되기 20~30초 전부터 점멸신호로 전환되는 한국과 달리 일본의 보행 신호등은 적색으로 바뀌기 5~10초 전에 가서야 점멸하며, 점멸신호로 바뀐 뒤에 건너려 하면 적색신호로 바뀌기 전에 횡단을 끝내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보행 신호등 다수에 스피커가 장착되어있어서 이 신호 때 멜로디나 차임벨이 나온다. 시각장애인을 배려한 정책의 일환으로 보이는데, 한국처럼 시각장애인이 버튼을 눌렀을 때만 소리가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3] 대부분은 보행 신호에서 무조건 소리가 나온다.

4.2. 점멸등

4.2.1. 황색 점멸

순서 등화
1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Blk.svg파일:trafficK.svg

일시 정지 의무가 없지만 주의해서 진행하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있으면 멈춰야 한다. 황색 점멸과 적색 점멸의 도로가 교차하는 교차로에서는 황색 점멸로 표시하는 도로가 우선도로가 된다.

4.2.2. 적색 점멸

순서 등화
1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Blk.svg

일시정지 표지판과 완전히 동일한 효력을 지닌다. 보행자가 있든 없든, 지나가는 차가 있든 없든 무조건 멈춰야 한다. 자전거를 포함한 모든 차량은 정지선 전에 3초 이상 일시정지해야 한다.

한국만큼 대다수 차량이 위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일시정지를 완전히 지키는 운전자만 있는 것도 아니다. 특히 도쿄에서 벗어난 지역일 수록 적색점멸을 그냥 통과하는 반칙 운전자가 많다. 상습 위반이 자주 발생하는 곳은 복면순찰차(암행순찰차)나 싸이카가 튀어나와 단속을 하는 곳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4.3. 특이 점멸신호

흔한 신호는 아니지만 어쩌다 간혹 볼 수 있는 변태적인 점멸신호체계이다.
4.3.1. 보행자작동식(押ボタン式)
순서 등화
1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Blk.svg파일:trafficK.svg
2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3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4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황색점멸 → 청색 → 황색 → 적색

보행자가 없을 때는 황색점멸로 운영하고 보행자가 보행신호 버튼을 누르면 차량신호등이 청색신호로 바뀐 뒤 몇 초 후 적색신호가 된다. 동시에 보행자신호는 적색에서 청색신호로 바뀐다. 보행자 신호가 끝나면 다시 황색점멸로 돌아간다.
4.3.2. 황-적 점멸 교대식
순서 등화
1 파일:trafficYBl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Blk.svg
2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Blk.svg파일:trafficK.svg
황색점멸 → 적색점멸

황색점멸과 적색점멸이 주기적으로 번갈아 운영된다. 예를 들어 동-서 도로가 황점멸일 때 북-남 도로는 적점멸이고, 동-서 도로가 적점멸일 때는 북-남 도로가 황점멸이다. 30초~1분 주기로 두 도로의 신호 색상이 바뀐다. 주도로와 부도로를 구분하기 힘들고 통행 차이도 적은 곳에서 이렇게 운영하는 모양이다. 일본에선 전방향 적색점멸신호가 매우 드물다. 좌우등화가 적색점멸이고, 가운데 등화가 황색점멸인 것도 존재한다.
4.3.3. 예고신호
순서 등화
1 파일:trafficYBl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Blk.svg
2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
황색점멸 → 청색

告信号機.
전방에 신호기가 있으나 언덕길, 커브, 교량 등으로 가려 보이지 않는 경우 주신호기에 이르기 전에 예고신호기가 설치되는데, 주신호기가 적색일 때 예고신호는 황색점멸로, 주신호기가 녹색일 때는 예고신호도 녹색으로 운영한다.
4.3.4. 적색점멸-적색
순서 등화
1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Blk.svg
2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파일:trafficK.svg
적색점멸 → 적색

적색점멸과 적색을 교대로 운영하는 방식. 마지막 등화[4]는 그냥 검은색 플라스틱으로 막혀있다.

5. 3색등

5.1. 기본

순서 등화
1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2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3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4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청색 → 황색 → 적색 → 황색

한국과의 차이점은 적색등에서 청색등으로 전환될 때에도 황색등이 켜진다는 점이다. 단, 아래의 시차식 신호등에서는 적색등에서 바로 청색등으로 바뀐다.

6. 4색등

6.1. 기본

순서 등화
1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R.svg
2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R.svg
3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R.svg
4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R.svg
5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R.svg
6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R.svg
청색 → 황색 → 적색·우회전 → 황색 → 적색 → 황색

6.2. 시차식

후발식은 도로 양방향에 동시에 청색등이 들어왔다가 우회전 차로가 있는 한쪽은 우회전 신호가 연장되고 다른 한쪽은 적색 신호로 되는 방식으로 가장 일반적인 시차식 신호등이다.
6.2.1. 후발식 1
순서 시차식 등화 (반대쪽 등화)
1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2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3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4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5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청색(청색) → 청색(황색) → 청색(적색) → 황색(적색) → 적색(적색)
6.2.2. 후발식 2
순서 시차식 등화 (반대쪽 등화)
1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2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3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4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12.svg 파일:trafficG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5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12.svg 파일:trafficG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6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7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청색(청색) → 청색(황색) → 청색(적색) → 황색·직진·우회전(적색) → 적색·직진·우회전(적색) → 황색(적색) → 적색(적색)
6.2.3. 후발식 3
순서 시차식 등화 (반대쪽 등화)
1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2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3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12.svg 파일:trafficG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4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5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청색(청색) → 황색·직진(황색) → 적색·직진·우회전(적색) → 황색(적색) → 적색(적색)
6.2.4. 후발식 4
순서 시차식 등화 (반대쪽 등화)
1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2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12.svg 파일:trafficG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3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12.svg 파일:trafficG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5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6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청색(청색) → 황색·직진·우회전(황색) → 적색·직진·우회전(적색) → 황색(적색) → 적색(적색)
6.2.5. 선발
선발식은 우회전 차로가 있는 한쪽에서 먼저 우회전 신호를 주고 다른 한쪽은 적색이 들어온 다음 양방향에서 청색을 주는 방식이다.
순서 시차식 등화 (반대쪽 등화)
1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12.svg 파일:trafficG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2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3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4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5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6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적색·직진·우회전(적색) → 황색(적색) → 적색(적색) → 청색(청색) → 황색(황색) → 적색(적색)
6.2.6. 우회전차 분리
이 방식은 전방 시야가 나쁜 굽은 길이나 우회전 통행량이 많아 사고가 잦은 교차로에서 설치된다.
순서 시차식 등화 (반대쪽 등화)
1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12.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2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12.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3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G12.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4 파일:trafficG.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5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Y.svg파일:trafficK.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6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파일:trafficA.svg 파일:trafficK12.svg 파일:trafficKR.svg
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K.svg파일:trafficR.svg
적색·직진(청색) → >적색·직진(황색) → >적색·직진(적색) → 청색(적색) → 황색(적색) → 적색(적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한국에서는 적신호시 우회전은 가능하지만, 일본에서는 한국의 우회전에 해당하는 좌회전도 적색신호에는 안된다는 소리이다.[2] 한국과 반대인 이유는, 당연하겠지만 도로의 방향이 반대므로 한국의 좌회전이 일본의 우회전이기 때문이다.[3] 이 경우 버튼부에도 항상 비프음이 나와서 시각장애인들이 소리로 버튼을 찾을 수 있도록 알려준다.[4] 최좌측 또는 최하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