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3:11:13

썬데이 서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신문에서 발행했던 주간잡지에 대한 내용은 선데이 서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록밴드 중식이가 부른 노래에 대한 내용은 Sunday Seoul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썬데이 서울 (2006)
Sunday Seoul
파일:attachment/Sunday_Seoul.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어반 판타지, 코미디
감독 박성훈
각본 ○○
원작 ○○
제작 ○○
주연 ○○
촬영 김훈광
캐릭터 디자인 ○○
CG 및 모델링 ○○
음악 ○○
주제곡 ○○
촬영 기간 2005년 2월 ~ 2005년 4월 18일
제작사 파일:국기.svg ○○
수입사 파일: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배급사 파일: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년 2월 9일
화면비 ○○
상영 시간 ○○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
북미 박스오피스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6,865명(최종)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상세

1. 개요

박성훈 감독이 제작하고 봉태규가 주연으로 나온 영화.

2. 상세

왕따를 당하던 소년이 늑대인간으로 각성하는 것, 응? 살인자가 숨어들어온 집에서 귀신을 본다는 내용, 그리고 부모의 원수를 갚기 위해 무술을 배운다는 내용, 이 세 가지의 황당한 에피소드를 이어 붙인 옴니버스 영화라고 하는데... 각자 코미디, 공포, 무협이란 장르로 구성되어 있지만... 보다 보면 장르를 왜 나누었는지 모르겠다. 전부 코미디다.

거기다 스토리가 있는 건지 없는 건지 모르게 빨리 진행되어 버린 막장이다.[2] 정신이 하나도 없을 정도...심지어 급전개라서 스토리에 개연성도 없다.

또한 배우의 연기도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다. 특히 부모의 원수를 갚는 세번째 에피소드에서 주인공의 회상신에서 어릴적 주인공의 "아버지의 원수를 갚아야해!"라고 외치는 대사는 완전 국어책 읽기. 주연인 봉태규가 2008년 4월 21일자 공감토크쇼 놀러와에 게스트로 출연해서 밝힌바에 따르면 배우들도 '이게 도대체 무슨 영화지?''하고 의아해하면서 촬영했고 촬영이 끝난지 한참됐는데도 개봉 소식이 들리지 않아서 취소됐겠거니 하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개봉이 됐다는 것에 대해 더 놀랐다고 한다.

'재력이 좋은 한 감독이 정말 심심해서 만든 영화'라는 이야기를 이 영화를 본 사람에게 해준다면 왠지 납득한다.

네이버 영화평에도 최악이라 평론한 사람이 109명정도로 평이 안좋다. 평점은 3.14점. 다른 평가로 인해 점수가 바뀌어도 원주율 유지(...)라는 명목하에 다시 3.14로 맞춰진다...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2] 도장에서 수행후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떠났는데 몇초 안돼서 도장에 들어와 스승에게 "아버지의 원수를 갚으러 왔습니다!"라고 말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