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2:11:13

아그리파 메네니우스 라나투스(기원전 503년 집정관)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기원전 509년 기원전 509년 보결 기원전 509년 보결 기원전 508년 기원전 507년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스푸리우스 루크레티우스 트리키피티누스 마르쿠스 호라티우스 풀빌루스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콜라티누스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티투스 루크레티우스 트리키피티누스 마르쿠스 호라티우스 풀빌루스
기원전 506년 기원전 505년 기원전 504년 기원전 503년 기원전 502년
스푸리우스 라르키우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볼루수스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아그리파 메네니우스 라나투스 오피테르 베르기니우스 트리코스투스
티투스 헤르미니우스 아퀼리누스 푸블리우스 포스투미우스 투베르투스 티투스 루크레티우스 트리키피티누스 푸블리우스 포스투미우스 투베르투스 스푸리우스 카시우스 베켈리누스
기원전 501년
포스투무스 코미니우스 아우룬쿠스
티투스 라르키우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colbgcolor=#a00201><colcolor=#fbe673>
고대 로마 집정관
아그리파 메네니우스 라나투스
Agrippa Menenivs Lanatvs
파일:Agrippa_Menenius_Lanatus_Portrait.jpg
출생 생년 미상
로마 왕국 로마
사망 기원전 493년 (향년 ?세)
로마 공화국 로마
재임기간 고대 로마 집정관
기원전 503년 9월 1일 ~ 기원전 502년 8월 29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be673> 부모 父: 이름 미상
母: 이름 미상
배우자 이름 미상
자녀 티투스 메네니우스 라나투스 외 1명
종교 로마 다신교 }}}}}}}}}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고대 로마집정관.

2. 생애

기원전 503년 푸블리우스 포스투미우스 투베르투스와 함께 집정관에 당선되었다. 그는 사비니족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고 기원전 503년 4월 4일에 승리를 축하했다. 리비우스의 저술에 따르면, 그는 또한 로마군을 이끌고 라틴 도시 포메티아를 공격했다고 한다. 일부 기록에서는 그가 집정관으로 재직하는 동안 인구 조사를 완료하기도 했다고 한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메네니우스는 기원전 494년 첫번째 성산 사건에서 귀족들에 의해 선출되어 평민들이 투쟁을 멈추도록 설득했다. 그는 로마를 신체에 비유하며, 평민과 귀족 중 어느 하나가 없으면 다른 하나도 죽는다며, 그들의 요구를 들어줄 테니 로마로 귀환해달라고 호소했다. 평민들은 자신들이 지배층만큼 중요하다는 걸 암시하는 이 비유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양측은 곧 합의에 이르렀다. 평민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호민관이 공식적으로 창설되었고, 호민관에게 해를 입히는 자는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또한 로마 시민은 빚을 갚지 못했다는 등의 이유로 노예로 전락할 수 없었고, 채찍형을 가하는 것도 금지되었고, 전쟁터에 간 시민의 재산을 몰수하는 행위도 금지되었다.

메네니우스는 기원전 493년에 죽었다. 리비우스는 그의 생애 동안 그가 원로원과 특히 평민들의 사랑을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의 재산에는 그의 장례를 치를 돈이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징수금으로 그의 장례 비용을 보탰다.

메네니우스에게는 기원전 477년에 집정관을 역임한 티투스 메네니우스 라나투스라는 아들이 있었다.

3.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