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사실 D&D에서는 표기법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설정에 대해서도 오랜 세월 동안 조금씩 다르게 표현되어와서 애매한 부분이 있다.대체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정설은...
- 이 광물의 원석은 아다만타이트(Adamantite)라고 부른다.(드로우 오브 디 언더다크 서플리먼트에서 언급) 유성에서 발견되거나, 마법적인 에너지가 흐르는 깊숙한 곳에서만 발견된다.
- 아다만타이트를 철에 합금한 것이 아다만틴(Adamantine)이다. 아다만틴은 일반적인 철보다 훨씬 단단하며 강인해서 무기에 만드는 경우 부딛혔을 때 상대 금속을 깨트리는 성격이 강하고(선더링 할 때 강도(Hardness) 일정 무시) 갑옷에 사용하면 너무도 단단해서 AC 뿐만 아니라 DR(피해감소)를 제공할 정도다. 다루기 힘들어서 수준 급의 장인만이 다룰 수 있다.
- 캠페인 설정에 따라서는 아다만타이트를 아다만티움으로 합금하는데는 마법적인 수단이나 오랜 시간의 숙성이 필요하기도 하다.
- 아다만타이트/아다만틴의 외모적 특성은 캠페인 설정마다 조금씩 다르다. 무지개색으로 표현된 서플리먼트도 있었고, 요즘에는 칙칙한 회색에서 검은색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 엄청나게 비싸다. 이것으로 무기나 갑옷을 만들면 마법무기/갑옷 만큼이나 비싼 금액이 필요하다.(무기에 적용하면 +3000 골드, 중갑에 적용하면 +15000 골드)
굉장히 강력한 금속으로 미스랄과 거의 동급, 혹은 그 이상으로 쳐주는 금속이다. 미스랄과 다른 점은 미스랄은 가볍다는 점이 더 부각되고 아다만티움은 매우 단단하다는 게 더 중시된다는 것. 이것으로 만든 물체가 특별히 더 무겁지는 않다.
5판에서는 아다만틴으로 만든 장비 효과가 조금 단순해져 방어구의 경우 크리티컬 히트 방지, 무기의 경우 물체에 대한 공격 시 자동 크리티컬로 판정하게 되었고 가격도 상식선으로 조정되었다. 이전과 달리 +n 장비와 양립할 수 없게 되어 초반에 급사 방지를 위해 쓰는 재질이 되었다.
이걸로 만든 골렘인 아다만틴 골렘이라는 놈도 있다.
2. 미디어믹스에서
- 게임 네버윈터 나이츠의 오리지널 캠페인 챕터 1에서 마록이라는 드워프 대장장이가 무기나 갑옷을 업그레이드해줄 때 아다만타이트가 필요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