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e0e0e0> 아델라 팽크허스트 Adela Pankhurst | |
| |
본명 | 아델라 콘스탄티나 메리 팽크허스트 Adela Constantia Mary Pankhurst |
출생 | 1885년 6월 19일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잉글랜드 맨체스터 랭커셔 콜튼온메들록 | |
사망 | 1961년 5월 23일 (향년 77세) |
호주 시드니 와룬가 | |
국적 |
|
가족 | 리처드 팽크허스트 (아버지) 에멀린 팽크허스트 (어머니) 톰 월시 (배우자) |
학력 | 맨체스터 여자고등학교 (졸업) 스터들리 원예대 |
종교 | 개신교 -> 가톨릭 |
직업 | 사회운동가 |
소속 | 여성 사회 정치 연합 |
정당 | 독립노동당 호주 공산당 호주 제일당 |
1. 개요
영국의 여성운동가이자 공산주의자. 이후 파시스트로 전향했다.2. 생애
2.1. 여성 참정권 운동
아델라는 1885년 맨체스터에서 에멀린 팽크허스트의 셋째 딸로 태어났다. 상류층 환경에서 자란 그녀는 20세기 초 어머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다. 1903년 어머니와 자매들과 함께 WSPU(여성 사회정치연합)를 결성하는 데 참여했다. 아델라의 투쟁은 곧 시작되었다. 1906년 윈스턴 처칠과 로이드 조지를 방해한 후 경찰관 폭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보석금 지불을 거부하고 7일간 스트레인지웨이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이후로도 의회에서 폭력적으로 진압된 또 다른 시위 후에도 감옥에 갔으며, WSPU 조직자로 활동하다가 탈진으로 쓰러질 정도로 헌신했다. 1909년 던디에서 정부 회의를 방해하다 체포되어 투옥되었는데, 던디 교도소는 단식 투쟁자들에게 강제 급식을 하지 않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였다. 이때문이었는지 아델라는 에멀린 팽크허스트와 여동생 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와 달리 폭력적인 전술에 반대하는 말을 자주 했고 글을 썼으며 수감자와 교도소 직원 간의 보다 협력적인 관계를 지지했다. 1912년 우스터셔의 스터들리 원예 대학에서 디플로마 과정을 시작했고, 이듬해 바스에서 수석 정원사로 일했지만 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2.2. 호주로 쫒겨나다
1913~1914년에 이르러 개인적, 정치적 긴장이 폭발했다. 에멀린과 크리스타벨은는 창문 깨기, 단식투쟁, 폭탄 투하 등 과격한 전술을 받아들였으며 정치적으로도 우익으로 이동했다. 한편, 실비아 팽크허스트는 런던 동부의 노동계급 조직과 연대했는데, 이에 에멀린과 크리스타벨은 경악했다. 아델라도 사회주의적 견해를 공공연히 밝혔고, 실비아가 운동에서 축출된 이후 에멀린과 크리스타벨은 아델라 역시 운동에서 배제하기로 결정했다. 1914년 2월 아델라는 £20, 따뜻한 옷, 멜버른의 페미니스트 비다 골드스타인(Vida Goldstein)에게 보내는 소개 편지, 그리고 이미 여성참정권을 보장하던 호주로 가는 편도 배표를 받고 떠났다. 이후 크리스타벨과 실비아가 화해한 것과 달리 그녀는 어머니와 자매들을 다시는 보지 못했다.1914년 4월, 멜버른에 도착한 아델라는 유명한 어머니의 유명한 딸로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보수적인 멜버른 사회의 찬사는 오래가지 않았다. 어머니의 제약에서 벗어난 그녀는 빅토리아 사회당(Victorian Socialist Party)과 여성 평화군(Women’s Peace Army)에 가입해 제1차 세계 대전에 반대하며 활동했다. 그녀는 반전 연극과 팜플렛을 작성했으며, 반(反)징병 국민투표 캠페인 동안 매일같이 연설을 진행했다. 1917년 8월, 그녀는 멜버른에서 전시 물가 상승 반대 행진 중 체포되었다. 이후 경찰과의 충돌이 이어졌고, 9월에는 노동운동 지도자 톰 월시와 결혼했다.
2.3. 극우 활동과 말년
아델라 팽크허스트의 공산주의에 대한 열정은 놀라울 정도로 빠르게 사그라들었다. 그녀는 “공산주의와 사회적 순수성”과 같은 글에서 가정적인 삶같은 봉건적인 삶에 대한 묵시적인 찬사를 드러냈는데, 이는 당시 모스크바에서 나오는 새로운 이념들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었다. 1923년쯤, 그녀와 남편 톰 월시는 모두 공산당을 탈당했다. 그녀는 피임, 낙태, 심지어 유치원이 모성 본능과 책임을 훼손한다고 비난했다. 그녀는 호주가 1차 세계 대전에 참여하는 것을 강력히 반대했다. 반면, WSPU는 전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활동을 중단했다.1927년, 아델라는 호주 제국 여성 길드(Australian Women’s Guild of Empire)를 창립했다. 이 단체는 공산주의와 싸우고, 기독교적 이상을 지키며, 가족을 보호하는 데 집중했다. 그녀는 보수당원이 된 어머니 에멀린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과 톰이 사회주의에 대한 생각을 바꾸었다고 설명했다. 에멀린은 사망 직전에 답장을 보내며 “오랜 갈등을 후회한다”고 전했다. 이후 10년 동안, 아델라는 고용주가 지원하는 파업 반대 캠페인을 진행했다.
1930년대에 들어 아델라는 더욱 극우로 나아갔다. 때로는 반유대주의를 받아들이고, 나치 독일에 대해 호의적인 글을 쓰기도 했다. 1940년, 제2차 세계대전 중 그녀는 작가 PR “잉키” 스테픈슨이 설립한 친일 파시즘 단체 호주 제일당(Australia First)의 조직자로 활동했다. 호주 제일당 활동으로 인해 아델라는 1942년 3월 정치범 수용소에 재판 없이 수감되었고, 몇 달 간의 단식투쟁 이후 석방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정치에 관심을 끊고 조용히 살았으며 1961년 5월 23일 호주에서 사망했다. 사망 직전 가톨릭으로 개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