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19:11:54

아벨라르도 L. 로드리게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22e, #006847 20%, #006847 80%, #02422e);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멕시코 제1연방공화국|
제1연방공화국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과달루페 빅토리아 비센테 게레로 호세 마리아 보카네그라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메호르 무스키스 마누엘 고메스 페드라사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제7대2 제8대2 제7대3 제8대3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제7대4 제8대4 제9대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미겔 바라간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중앙집권공화국
]]
제9대 제10대 제4대2 제8대5
미겔 바라간 호세 후스토 코로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제11대 제4대3 제12대 제8대6
니콜라스 브라보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에체베리아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제11대2 제8대7 제13대 제8대8
니콜라스 브라보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발렌틴 카날리소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제14대 제13대2 제14대2 제15대
호세 호아킨 데 에레라 발렌틴 카날리소 호세 호아킨 데 에레라 마리아노 파레데스
제11대3 제16대
니콜라스 브라보 호세 마리아노 살라스
[[멕시코 제2연방공화국|
제2연방공화국
]]
제16대 제7대5 제8대9 제17대
호세 마리아노 살라스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페드로 마리아 데 아나야
제8대10 제18대 제17대2 제18대2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마누엘 데 라 페냐 페드로 마리아 데 아나야 마누엘 데 라 페냐
제14대3 제19대 제20대 제21대
호세 호아킨 데 에레라 마리아노 아리스타 후안 바우티스타 세바요스 마누엘 마리아 롬바르디니
제8대11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마르틴 카레라 로물로 디아스 데 라 베가 후안 알바레스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 베니토 후아레스 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 마누엘 로블레스 페수엘라
제16대2 제29대 제30대 제29대2
호세 마리아노 살라스 미겔 미라몬 호세 이그나시오 파본 미겔 미라몬
[[멕시코|
합중국
]]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세바스티안 데 테하다 호세 마리아 이글레시아스 포르피리오 디아스 후안 네포무세노 멘데스
제33대2 제35대 제33대3 제36대
포르피리오 디아스 마누엘 곤살레스 플로레스 포르피리오 디아스 프란시스코 레온 데 라 바라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프란시스코 마데로 페드로 라스쿠라인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프란시스코 카르바할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에우랄리오 구티에레스 로케 곤살레스 가르사 프란시스코 라고스 차사로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아돌포 데 라 우에르타 알바로 오브레곤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 에밀리오 포르테스 힐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파스쿠알 오르티스 루비오 아벨라르도 L. 로드리게스 라사로 카르데나스 마누엘 아빌라 카마초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미겔 알레만 발데스 아돌포 루이스 코르티네스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 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루이스 에체베리아 호세 로페스 포르티요 미겔 데 라 마드리드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에르네스토 세디요 바센테 폭스 펠리페 칼데론 엔리케 페냐 니에토
제65대 제66대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
<rowcolor=#fff> ※ 멕시코의 경우 임기가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아즈텍 · 제국 · 합중국 }}}}}}}}}
<colbgcolor=#cd1426><colcolor=#fff>
멕시코 합중국 제50대 대통령
아벨라르도 L. 로드리게스
Abelardo L. Rodríguez
파일:로드리게스 대통령.jpg
본명 아벨라르도 로드리게스 루한
Abelardo Rodríguez Luján
출생 1889년 5월 12일
멕시코 소노라주 과이마스
사망 1967년 2월 13일 (향년 77세)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라호이아
재임기간 제50대 대통령
1932년 9월 4일 ~ 1934년 11월 3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1426><colcolor=#fff> 부모 아버지 니콜라스 로드리게스
어머니 페트라 루한
배우자 루이사 몬티호 (1917년 결혼 ~ 1921년 이혼)
에틸 베라 마이어 (1921년 결혼 ~ 1922년 사별)
아이다 설리번 (1924년 결혼)
자녀 3명
정당 [[제도혁명당|
국민혁명당
]]
군사 경력
복무 멕시코 육군
1913년 ~ 1920년대
최종 계급 소장
참전 경력 멕시코 혁명 }}}}}}}}}

1. 개요2. 생애
2.1. 대통령 시절2.2. 퇴임 이후

1. 개요

멕시코의 제50대 대통령. 바하칼리포르니아 준주 북부 지구 주지사와 산업부 장관, 국방부 장관, 소노라 주지사도 역임했다. 1928~1934년간 이어진 막시마토 시기의 마지막 대통령이다.

2. 생애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철물점과 구리 광산에서 일했다. 프로야구 선수로도 활동하기도 했다.

이름이 영미권식이다. 원래 스페인ㆍ포르투갈어권은 이름을 지을 때 첫번째 성에 아버지의 첫번째 성씨, 두번째 성은 어머니의 첫번째 성씨를 붙인다. 이름이 영어식인 이유는 1906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6년 동안 산업 보조원으로 일할 때 바꾸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가 고국으로 돌아왔을 때는 멕시코 혁명의 영향으로 나라가 어수선했을 때였다. 이듬해 빅토리아노 우에르타가 쿠데타로 정권을 잡자 오브레곤군(입헌군)에 입대하여 여러 가지 전투에 참여했다.

입헌군이 승리한 뒤에는 베누스티아노 카란사를 몰아낸 아구아 프리에타 계획에 참여했고, 임시 대통령인 아돌포 데 라 우에르타에게 맞서기도 했다.

1921년에는 바하 칼리포르니아 지역의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2년 뒤 바하 칼리포르니아 북부 지역의 주지사로 영전했다. 그때 인프라 구축, 농업 개혁, 조합주의를 장려할 것을 주장했다.

파스쿠알 오르티스 루비오 정부에서 산업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국방장관을 겸임하게 되었다. 국방장관 직을 겸임하고 한 달 뒤 루비오가 사임하면서 의회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1. 대통령 시절

실권은 제한적이긴 했지만, 짧은 임기 동안 모든 선출직의 재선을 금지했다. 대통령직도 마찬가지라 후임인 라사로 카르데나스부터 6년 단임제가 확립되었다.

1934년에는 최저임금제를 제정하고 헌법을 개정해 공교육을 확립했다. 그리고 11월 30일 임기 만료로 퇴임했다.

2.2. 퇴임 이후

1943년 소노라 주지사에 선출되었다. 임기 중 소노라 주립대학교가 세워지기도 했다.

1948년 건강 문제로 사임했고, 1966년 미국 샌디에이고의 라호이아에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