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과학 올림피아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형식·자연과학 | |||
[[아시아태평양수학올림피아드| | [[아시아물리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정보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
수학 | 물리학 | 천문학 | ||
인문·사회과학 | ||||
[[아시아 태평양 언어학 올림피아드| | [[국제역사퀴즈대회| | |||
언어학 | 역사학 |
국제 올림피아드 목록 / 국내 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물리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지리올림피아드 목록 |
<colcolor=#fff> 아시아태평양수학올림피아드 Asian Pacific Mathematics Olympiad (APMO) | |
| |
<colbgcolor=#2A4353> 관련 대회 | 아시아 태평양 초등수학 올림피아드(APMOPS) 한국수학올림피아드(KMO)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
링크 |
1. 개요
아시아태평양수학올림피아드(APMO)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학생 중 대학 교육을 받지 않은 19세 이하[1]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분야의 올림피아드이다. 참가국은 35개국 정도.1989년부터 개최되었으며, 수험생들은 자국에서 시험을 치른다. 또한, 공정한 시험을 위해 시차를 고려하여 남미, 북미 지역은 3월 둘째 월요일[2] 오후, 아시아와 서태평양 지역은 3월 둘째 화요일[3] 오전에 시험을 보게 된다. 영재학교나 과학고[4]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대부분 경험하는 한국수학올림피아드와는 다르게 APMO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준비한다는 느낌이다.
2. 형식
2.1. 시험과정
자국에서 응시하며 4시간 동안 5문제를 푼다. 1일차와 2일차(또는 오전, 오후)로 나누어 실시하는 IMO나 FKMO(또는 KMO 2차시험)와 다른 점. 총 35점으로 각 문제당 7점 만점이다.[5] 난이도는 뒤로 갈수록 어렵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6]2.2. 채점 및 시상과정
시험에 응시하는 학생의 수는 제한이 없지만 해당 국가의 상위 10명의 성적만 제출할 수 있다. 참가자의 점수[7]로만 상의 종류를 결정하는 IMO와 다르게 APMO는 각 나라별로 받을 수 있는 상의 개수가 정해져있다. 그 해의 전체 참가자 평균 점수를 [math(m)], 표준편차를 [math(\sigma)]이라 하면, 종류별 상을 받기 위해서는 아래의 점수 이상이어야 한다.상 종류 | 기준 점수 |
금상(Gold Award) | [math(m+\sigma)] |
은상(Silver Award) | [math(m+\frac\sigma3)] |
동상(Bronze Award) | [math(m-\frac\sigma3)] |
3. 한국의 역대 성적
연도 | 회차 | 참가국 수 | 참가자 수 | 종합 순위 | 금 | 은 | 동 | 장려 |
2006년 | 제18회 | 21개국 | 193명 | 2위 | 1 | 2 | 4 | 3 |
2007년 | 제19회 | 22개국 | 212명 | 1위 | 1 | 2 | 4 | 3 |
2008년 | 제20회 | 28개국 | 256명 | 1위 | 1 | 2 | 4 | 3 |
2009년 | 제21회 | 28개국 | 253명 | 1위 | 1 | 2 | 4 | 3 |
2010년 | 제22회 | 33개국 | 298명 | 1위 | 1 | 2 | 4 | 3 |
2011년 | 제23회 | 35개국 | 317명 | 1위 | 1 | 2 | 4 | 3 |
2012년 | 제24회 | 37개국 | 333명 | 1위 | 1 | 2 | 4 | 3 |
2013년 | 제25회 | 34개국 | 307명 | 1위 | 1 | 2 | 4 | 3 |
2014년 | 제26회 | 36개국 | 308명 | 1위 | 1 | 2 | 4 | 3 |
2015년 | 제27회 | 33개국 | 299명 | 2위 | 1 | 2 | 4 | 3 |
2016년 | 제28회 | 36개국 | 330명 | 1위 | 1 | 2 | 4 | 3 |
2017년 | 제29회 | 39개국 | 353명 | 1위 | 1 | 2 | 4 | 3 |
2018년 | 제30회 | 39개국 | 352명 | 1위 | 1 | 2 | 4 | 3 |
2019년 | 제31회 | 41개국 | 359명 | 1위 | 1 | 2 | 4 | 3 |
2020년 | 제32회 | 38개국 | 337명 | 불참 | ||||
2021년 | 제33회 | 37개국 | 344명 | 2위 | 1 | 2 | 4 | 3 |
2022년 | 제34회 | 35개국 | 310명 | 1위 | 1 | 2 | 4 | 3 |
4. 관련 문서
[1] 정확히는 대회 연도의 7월 1일 기준으로 20세 미만[2] 2022년 기준 14일[3] 2022년 기준 15일[4] 과거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다.[5] IMO와 같다.[6] 2019년도 문항별 통계를 보면 3, 5번 난이도가 비슷한 편이고 4번 문제가 매우 어려웠다. 근데 정작 4번 문제에서의 반례는 5로 나눈 나머지의 불변량만을 이용한다는, APMO 치고는 허탈할 정도로 쉬운 방식이었기 때문에 응시자들의 허를 제대로 찌른 문제로 평가받고 있다.[7] 장려상의 경우 문항별 점수[8] 즉, 금상은 긱 나라별 최대 1명만 받을 수 있다.[9] 국가 순위 10등[10] 국가 순위 1등[11] https://www.apmo-official.org/year_report/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