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0:12:14

아홀라이

파일:CoS_newlogo.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관련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크리처 🦖크리처 목록 (1티어2티어3티어4티어5티어)
능력 및 효과 ⚔️액티브 능력 ・ 🛡️패시브 효과
🩸상태이상
게임 플레이 🎮공략 ・ 🧬돌연변이 ・ 📋임무
⛈️계절 및 날씨 ・ 🍖먹이 ・ ⛰️지형
🤝거래 ・ 🛍️상점
수집 요소 🔥아티팩트 ・ 🧸인형 ・ 🍄재화 ・ 🏅칭호 ・ ❤️토큰 ・ 🎨팔레트
이벤트 🎄이벤트 (2020~2021202220232024)
기타 📜공식 설정 ・ 🛠️리코드 출시 이전 정보 ・ 🗑️삭제 및 취소 콘텐츠 }}}}}}}}}
[ 2025년 2월 15일 업데이트 정보 펼치기 · 접기 ]

※추가 및 삭제 사항
+ 2025 밸런타인 이벤트 개최(1주차)
+ 밸런타인 크리처 알리푸 출시
+ 벨디스 리메이크
+ 3일 동안 한정적으로 판매되는 번들 전용 하트의 보고 시그니처 룩 추가
+ 밸런타인 미니게임에서 확률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상심 시그니처 룩 추가
+ 밸런타인 테마의 맵 장식용 오브젝트 추가
+ 만개 돌연변이 복각

※둥지 개선 사항
+ 자원 수집을 통한 둥지 강화 기능 추가(돌연변이 확률 증가, 둥지 방어력 증가, 알 보관 공간 추가, 알 발달 속도 증가)
+ 자원 수집을 위한 파괴 가능한 환경 요소 추가
• 수생 크리처를 위한 둥지 강화 기능은 추후 추가 예정

※버그 수정 및 변경 사항
• 바다와 호수 사이에 존재하는 불투명한 벽 제거
• 물을 마실 수 있는 연못의 가시성 개선
• 그림자 섬의 수자원이 사라지는 버그 수정
• 먹이 자원의 배율이 잘못 적용되는 버그 수정
• 광원 설정을 더욱 세밀하게 조정하여 사실감을 더함
• 수질이 90% 이상인 물을 마셨을 때 발생하는 상쾌함 상태이상 추가
• 일부 크리처들의 미광 돌연변이 개선: 노스코그, 버프 율로피

Creatures of Sonaria - 광섭식 탐험가 뽑기 크리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붉은색: 육식, 녹색: 초식, 청록색: 잡식
☉+붉은색: 광육식, ☉+녹색: 광섭식
}}}}}}}}} ||
1. 개요2. 설정3. 획득 조건4. 능력&효과
4.1. 액티브 능력4.2. 패시브 효과
5. 특징6. 콘셉트 아트7. 기타

1. 개요

Aholai
아홀라이
파일:AholaiMale.png
제작자
출시 날짜
• Stood_04 2020/12/10
스탯
크리처 유형:
식성: 광섭식
티어: 중형(3티어)
체력: 3,750 회복률 7%
공격력: 135
스태미나: 150 초당 3 회복
성장 시간: 23분
무게: 2,300파운드
속도: 걷기 25 / 질주 100
[ 세부 스탯 펼치기·접기 ]
식욕: 55
깨물기 쿨타임: 0.8초
야간 시야: 2/4 (괜찮음)
산소: 25
회전 반경: 3
피 색깔: 붉은색
피 질감: 일반

아홀라이(Aholai)는 Creatures of Sonaria에 등장하는 중형(3티어) 크리처이다.

2. 설정

크리처 설명문
아홀라이는 온순한 광섭식 크리처로, 사과처럼 생긴 조각들이 몸을 따라 이어져있으며 이것으로 태양빛을 흡수해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이 크리처는 치명적인 독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만날 때 조심해야 합니다!

3. 획득 조건

아홀라이는 파일:CoS_Mushroom.png100슘으로 돌릴 수 있는 광섭식 탐험가 뽑기(Photovore Explorer Gacha)에서 확률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뽑기를 해금하기 위해서는 맵 곳곳에 확률적으로 생성되는 광섭식 탐험 토큰(Photovore Exploration Token)을 수집해야 한다.

영구가 아닌 일회용 크리처는 상점 메뉴의 체험 카테고리에서 파일:CoS_Mushroom.png75슘(♂)/750슘(♀)으로 구매할 수 있다.

4. 능력&효과

4.1. 액티브 능력

전광석화(Speed Blitz) 액티브 능력 - 스탯 변화
[ 설명 펼치기·접기 ]
* 능력이 배정된 번호키를 누르면 18초 동안 전광석화 상태이상이 발생한다.
  • 사용 후 90초 동안 쿨타임에 들어간다.

  • 전광석화
    • 스태미나 재생량이 30% 증가한다.
    • 이동 속도가 50% 빨라진다.
    • 전체 스태미나의 50%를 즉시 소모한다.


점프(Jump) 액티브 능력 - 기동
[ 설명 펼치기·접기 ]
* 지상에 있는 상태에서 스페이스키를 누르면 스태미나를 소모하면서 정해진 방향으로 점프할 수 있다.
  • 크리처마다 점프 방향(수직, 전방 혹은 후방)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 점프에 요구되는 스태미나가 부족하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해당 크리처의 점프 위력은 '''
1.8
이며 스태미나 소모량은
15
'''이다.

4.2. 패시브 효과

방어용 네크로독(Defensive Necropoison) 패시브 효과 - 상시 발동
[ 설명 펼치기·접기 ]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상대가 자신을 공격하면 상대에게 네크로독 상태이상을 부여하며, 상대가 자신을 공격할 때마다 수치가 누적된다. 효과가 음수값일 경우 상대의 네크로독 피해를 치유한다.
  • 네크로독
    • 화면의 색상이 다르게 표시된다.
    • 틱이 10포인트 이상일 때 액티브 능력 사용이 차단된다.
    • 틱이 18포인트 이상일 때 혼란 상태이상이 더 높은 확률로 발생한다.

해당 크리처의 방어용 네크로독 수치는 '''
3
'''이다.


삶의 의지(Will to Live) 패시브 효과 - 조건 발동
[ 설명 펼치기·접기 ]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스태미나가 0이 될 경우 삶의 의지 상태이상이 발생한다. 스태미나가 회복될 경우 효과가 사라진다.
  • 삶의 의지
    • 스태미나가 0이 되어도 질주할 수 있다.
    • 스태미나가 회복될 때까지 체력이 틱 당 3%씩 감소한다.


출혈 차단(Block Bleed) 패시브 효과 - 상시 발동
[ 설명 펼치기·접기 ]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출혈 상태이상 피해를 백분율 계산에 따라 덜 받거나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차단율이 음수값일 경우 상태이상 피해를 더 받게 된다.
  • 예시
    • 상태이상 차단율이 20%인 크리처가 10포인트의 상태이상을 받게 되면, 해당 크리처는 최종적으로 8포인트의 상태이상 피해를 받게 된다.
    • 상태이상 차단율이 -20%인 크리처가 10포인트의 상태이상을 받게 되면, 해당 크리처는 최종적으로 12포인트의 상태이상 피해를 받게 된다.

해당 크리처의 출혈 차단율은 '''
10%
'''이다.

5. 특징

아홀라이는 광섭식 크리처로 먹이 없이 물만 마시고도 살 수 있다. 또한 질주 속도가 티어 대비 상당히 빠른 편이고 스태미나 수치도 매우 높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빠르고 오래 달릴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설령 질주 도중에 스태미나가 전부 소진되더라도 삶의 의지 효과가 발동되어 스태미나가 없는 상태에서도 질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해당 효과를 계속 유지하면 체력이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3포인트의 방어용 네크로독 효과를 지니고 있다. 상대가 자신을 공격할 때 발동되며, 상대의 액티브 능력 일부를 차단하고 시야를 혼란하게 만들 수 있다.

광섭식인 데다가 기동성도 좋기 때문에 생존력이 뛰어나지만 티어 대비 공격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6. 콘셉트 아트

파일:Aholai_art.png

7. 기타

  • 아홀라이는 사슴사과를 모티브로 하였다.
    • 크리처 제작자에 따르면 원래는 일반적인 사슴 형태의 크리처로 만들려고 했으나 매니저 Erythia가 사과 같은 디자인을 원했고 결국 이 두 요소를 조합해 아홀라이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 아홀라이가 네크로독을 가지게 된 것은 모티브가 되는 사과의 씨앗에 독극물의 일종인 사이안화 수소가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 방어용 네크로독 효과를 최초로 부여받은 크리처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