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23:00:14

Creatures of Sonaria/계절 및 날씨

파일:CoS_newlogo.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관련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크리처 🦖크리처 목록 (1티어2티어3티어4티어5티어)
능력 및 효과 ⚔️액티브 능력 ・ 🛡️패시브 효과
🩸상태이상
게임 플레이 🎮공략 ・ 🧬돌연변이 ・ 📋임무
⛈️계절 및 날씨 ・ 🍖먹이 ・ ⛰️지형
🤝거래 ・ 🛍️상점
수집 요소 🔥아티팩트 ・ 🧸인형 ・ 🍄재화 ・ 🏅칭호 ・ ❤️토큰 ・ 🎨팔레트
이벤트 🎄이벤트 (2020~2021202220232024)
기타 📜공식 설정 ・ 🛠️리코드 출시 이전 정보 ・ 🗑️삭제 및 취소 콘텐츠 }}}}}}}}}
[ 2025년 2월 1일 업데이트 정보 펼치기 · 접기 ]

※추가 및 삭제 사항
+ 그림자 아티팩트 크리처 킬루타트라 출시
+ 다이오크린 리메이크
+ 새로운 지형 그림자 섬 및 그림자 섬으로 가는 포털 추가
+ 그림자 사당과 병든 아티팩트&그림자 아티팩트 추가
+ 병든 그림자 팔레트 추가
- 1월 한정 돌연변이 가넷 발현 차단
+ 2월 한정 돌연변이 자수정 추가
+ 크리처 커스터마이징 편집기에 실행 취소&다시 실행 버튼 추가

※버그 수정 및 변경 사항
+ 2월 한정 월간 크리처 타이웨롱 복각
• 서리내림 돌연변이의 질감 수정
• 신생아 상태이상이 발생하지 않는 버그 수정
• 일부 크리처들의 발광 꼬리 돌연변이 개선: 아콕스투루목스, 퍼닐릭시, 히솔리디움, 아라키유
• 일부 크리처들의 미광 돌연변이 개선: 우라툼, 루센시아

1. 개요2. 계절3. 날씨4. 자연재해

1. 개요

파일:CoS_Environment.webp

Creatures of Sonaria계절(Season) 및 날씨(Weather)에 대한 문서.

소나리아의 맵은 시간이 지날 때마다 수시로 계절과 날씨가 바뀐다. 이 중 일부 계절과 날씨는 게임플레이에 큰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2. 계절

계절은 맵과 식물의 빛깔을 바꾸고 그 종류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버프 혹은 디버프를 줄 수 있다. 해당 게임에는 일반적인 , 여름, 가을, 겨울뿐만 아니라 4종류의 고유한 계절 또한 존재한다.

계절 시스템은 맵 상에 존재하는 먹이 자원의 배율에 큰 영향을 끼친다. 몇몇 계절은 먹이 자원의 배율을 늘려 평소보다 더 많은 양의 먹이를 제공해주지만 반대로 배율을 줄여 더 적은 양의 먹이를 제공해주는 계절도 존재한다. 또한 몇몇 계절은 특정한 날씨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매주 금요일마다 진행되는 대규모 업데이트 직후에는 계절이 무조건 신화로 시작되며, 계절 순환은 신화→봄→여름→가뭄→가을→기근→벚꽃 만개→겨울→신화... 순서로 15분 간격으로 진행된다. 또한 계절 순환은 모든 서버가 똑같이 진행된다. 예를 들어 현 서버에 여름이 진행될 때 다른 서버에 접속해도 그 서버 또한 여름이 진행되는 상태이며 따로 서버를 생성한 뒤 접속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서버마다 계절이 달라질 수 없다.
  • 신화(Mythic)
    • 식물의 빛깔이 파란색과 보라색 계열로 바뀐다.
    • 먹이 배율이 100%로 기본값으로 유지된다.
    • 크리처의 성장 속도가 10% 빨라지는 신화 부스트 상태이상이 적용된다.
    • 낮은 확률로 워든 성운 날씨가 발생할 수 있다.
  • 봄(Spring)
    • 식물의 빛깔이 밝은 녹색 계열로 바뀐다.
    • 먹이 배율이 125%로 기본값보다 많이 적용된다.
  • 여름(Summer)
    • 식물의 빛깔이 어두운 녹색 계열로 바뀐다.
    • 먹이 배율이 115%로 기본값보다 많이 적용된다.
    • 화산 적응 효과를 지닌 크리처에게 버프가 적용된다.
    • 낮은 확률로 폭염 날씨가 발생할 수 있다.
  • 가뭄(Drought)
    • 식물의 빛깔이 창백한 녹색 계열로 바뀐다.
    • 먹이 배율이 100%로 기본값으로 유지된다.
    • 크리처의 목마름 수치가 평상시에 비해 10% 더 빨리 감소한다.
    • 화산의 용암 수치가 한 번에 두 단계 상승한다.
    • 낮은 확률로 폭염 날씨가 발생할 수 있다.
    • 괴물 탐험 토큰이 확률적으로 생성된다.
    • 화산 적응 효과를 지닌 크리처에게 버프가 적용된다.
  • 가을(Fall)
    • 식물의 빛깔이 붉은색 계열로 바뀐다.
    • 먹이 배율이 85%로 기본값보다 적게 유지된다.
  • 기근(Famine)
    • 식물의 빛깔이 어두운 청록색 계열로 바뀐다.
    • 먹이 배율이 80%로 기본값보다 적게 유지된다.
    • 괴물 탐험 토큰이 확률적으로 생성된다.
    • 비와 여우비 날씨가 눈 날씨로 대체되며, 낮은 확률로 눈보라 날씨가 발생할 수 있다.
    • 추위 적응 효과를 지닌 크리처에게 버프가 적용된다.
  • 벚꽃 만개(Sakura)
    • 식물의 빛깔이 분홍색 계열로 바뀐다.
    • 먹이 배율이 115%로 기본값보다 많이 유지된다.
    • 낮은 확률로 개화기 날씨가 발생할 수 있다.
    • 과자 탐험 토큰이 확률적으로 생성된다.
  • 겨울(Winter)
    • 식물의 빛깔이 흰색 계열로 바뀐다.
    • 먹이 배율이 80%로 기본값보다 적게 유지된다.
    • 계절 발생 직후 기본 5포인트의 동상 상태이상이 적용된다.[1]
    • 비와 여우비 날씨가 눈 날씨로 대체되며, 낮은 확률로 눈보라 날씨가 발생할 수 있다.
    • 일부 수중 지역에 빙산이 생성된다.
    • 추위 적응 효과를 지닌 크리처에게 버프가 적용된다.

3. 날씨

날씨는 맵의 기상 현상을 바꾸는 시스템으로, 계절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그 종류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버프 혹은 디버프를 줄 수 있다.

날씨는 기본적으로 5분 간격으로 변경되지만 토큰 사용 및 날씨 변경 능력을 지닌 일부 크리처들에 의해 5분보다 일찍 변경될 때도 있다. 또한 정해진 순서대로 순환하는 계절 시스템과 달리 날씨 시스템은 무작위로 진행되기 때문에 서버마다 날씨 진행이 다를 수 있다. 또한 눈이나 눈보라처럼 일부 날씨는 특정한 계절에만 발생한다.
  • 맑은 하늘(Clear Skies)
    • 기본적인 날씨. 이름 그대로 맑은 하늘이 유지되는 날씨다.
    • 날씨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 화창함(Sunny)
    • 맑은 하늘보다 햇빛이 좀 더 많이 내리쬐는 날씨.
    • 날씨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 폭염(Heatwave)
    • 여름 또는 가뭄 계절 한정으로 발생하는 준 자연재해 날씨.
    • 발생 시 폭염 상태이상이 적용되어 체력이 틱 당 1%씩 깎이고 화상 피해가 발생한다.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난처로 대피해야 한다.
  • 개화기(Flowering)[2]
    • 벚꽃 만개 계절 한정으로 발생하는 날씨.
    • 맵 곳곳에 꽃잎이 휘날린다.
    • 레거시 버전에서는 별 다른 기능이 없었지만 리코드 버전 이후로는 발생 시 개화기 상태이상이 적용되어 둥지의 알 발달 속도가 100% 증가한다.
  • 흐림(Cloudy)
    • 하늘에 구름이 끼는 날씨.
    • 날씨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 안개(Fog)
    • 맵 풍경이 안개에 가려져 시야에 방해를 준다. 다만 밤이 될 때에는 야간 시야 효과와 중첩되는 버그 때문에 맵을 가리는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 냄새 맡기 범위가 축소된다.
  • 폭풍(Wind Storm)
    • 거센 바람 소리와 함께 맵 바닥의 잔디가 심하게 휘날리는 날씨.
    • 발생 시 폭풍 상태이상이 확정적으로 적용되어 스태미나 재생량이 25%, 활공 시 스태미나 재생량이 5% 증가하며 이동 속도가 15% 빨라진다.
    • 일정 확률로 거센 바람 상태이상 또한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스태미나 재생량이 25%, 활공 시 스태미나 재생량이 25% 증가하지만 냄새 맡기 범위가 축소된다.
  • 비(Rain)
    • 하늘에 구름이 끼고 비가 내리는 날씨.
    • 발생 시 상태이상이 적용되어 맵 곳곳의 수자원량이 50% 증가하지만 비행/활공 크리처의 이륙 시 스태미나 소모량이 10% 증가한다.
    • 수분 게이지를 지닌 크리처는 육지에 올라가도 수분이 줄어들지 않는다.
  • 여우비(Sunshower)
    • 이름처럼 하늘에 구름이 끼지 않고 비가 내리는 날씨.
    • 발생 시 상태이상이 적용되어 맵 곳곳의 수자원량이 50% 증가하지만 비행/활공 크리처의 이륙 시 스태미나 소모량이 10% 증가한다.
    • 수분 게이지를 지닌 크리처는 육지에 올라가도 수분이 줄어들지 않는다.
  • 산성비(Acid Rain)
    • 낮은 확률로 발생하는 준 자연재해 날씨.
    • 발생 시 산성비 상태이상이 적용되어 체력이 틱 당 1%씩 깎이고 독 피해가 발생한다.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난처로 대피해야 한다.
  • 뇌우(Thunderstorm)
    • 하늘에 구름이 끼고 거센 비와 번개가 발생하는 날씨.
    • 발생 시 상태이상이 적용되어 맵 곳곳의 수자원량이 100% 증가하지만 비행/활공 크리처의 이륙 시 스태미나 소모량이 25% 증가한다.
    • 수분 게이지를 지닌 크리처는 육지에 올라가도 수분이 줄어들지 않는다.
    • 자연재해인 홍수가 확정적으로 발생한다.
  • 눈(Snow)
    겨울 및 기근 계절일 때 비와 여우비 날씨를 대체하는 날씨. 발생 시 상태이상이 적용되어 비행/활공 크리처의 이륙 시 스태미나 소모량이 10% 증가한다.
  • 눈보라(Blizzard)
  • 블러드 문(Blood Moon)
  • 블루 문(Blue Moon)
  • 워든 성운(Warden's Nebula)
  • 북극광(Aurora Borealis)

4. 자연재해



[1] 해당 동상 피해는 크리처가 지닌 동상 차단율에 따라 달라진다.[2] 레거시 버전에서의 명칭은 '만개(Blossomin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