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22:42:16

안산 그리너스 FC/이관우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안산 그리너스 FC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c48>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K리그2
구단별 감독 (2025)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이을용
(이을용호)
파일:이을용경남.png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김포
고정운
(고정운호)
파일:2024 고정운감독.png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조성환
(조성환호)
파일:조성환2024.png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이영민
(이영민호)
파일:2024 이영민.png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김도균
(김도균호)
파일:김도균2024.png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성남
전경준
(전경준호)
파일:전경준2024.png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변성환
(변성환호)
파일:변성환2024.png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아산
배성재
(배성재호)
파일:배성재감독.png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축약).svg
안산
이관우
(이관우호)
파일:안산이관우.png
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윤정환
(윤정환호)
파일:2024 윤정환감독.png
<colbgcolor=#ffde00>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전남
김현석
(김현석호)
파일:2024김현석.png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천안
김태완
(김태완호)
파일:2024 김태완감독.png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청주
권오규
(권오규호)
파일:충북 청주 FC 2025 권오규.png
파일:화성 FC 엠블럼.svg
화성
차두리
(차두리호)
파일:차두리화성.png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 K리그1 구단별 감독 K3리그 구단별 감독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A885><tablebgcolor=#00A885>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축약).svg안산 그리너스 FC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E80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00263d> 초대 2대 3대
이흥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17~2018)
감독 대행
이영민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18)
임완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18~2019)
김길식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0~2021)
감독 대행
민동성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1)
<rowcolor=#00263d> 4대 5대
조민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2)
감독 대행
임종헌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2)
임종헌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2~2023)
감독 대행
김정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3)
감독 대행
송한복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3)
<rowcolor=#00263d> 6대 7대 -
임관식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3~2024)
감독 대행
송경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4)
이관우
(이관우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4~ )
-
: K리그1 우승 / : K리그2 우승 / : 코리아컵 우승 / :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우승
}}}}}}}}}}}} ||


1. 개요2. 선임 과정3. 활동4. 경기 결과

[clearfix]

1. 개요

안산 그리너스 FC의 제7대 감독 이관우 체제를 정리한 문서.

2. 선임 과정

파일:AKR20240809072800007_01_i_P4.jpg

2024년 8월 사령탑이 공석인 K리그2 안산 그리너스의 신임 사령탑 후보로 거론되었다.#

그리고 8월 9일, K리그2 안산 그리너스 FC의 제 7대 감독으로 정식 선임되면서 프로팀 감독으로서 데뷔하게 되었다.

안산 구단은 "젊고 강한 팀으로 변모하기 위해 사령탑 선임 작업을 벌인 끝에 이관우 감독과 2026년까지 계약했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에서 이 감독은 "안산의 새로운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어 두렵기 보다는 설레인다. 저에게도 새로운 도전인 만큼 젊고 강한팀으로 변화 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

3. 활동

3.1. 2024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산 그리너스 FC/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라운드 로빈까지는 송경섭 감독 대행이 팀을 이끌고 시즌 마지막 라운드 로빈이 시작되는 8월 17일 김포 원정부터 팀을 정식으로 지휘하게 되었다.

데뷔전에서 이관우는 포백이 아닌 스리백에 기반한 3-4-3 포메이션으로 나섰으며, 짧은 패스 위주로 공격을 전개해나갔지만 아쉽게도 득점을 만들어내지 못하며 1:0으로 패했다.

28라운드 천안 시티 FC 홈경기에서 3:2 승리를 거두며 마침내 감독 데뷔승을 거두었으며, 연이은 서울 이랜드전과 충남 아산전에서는 무승부를 거두며 3경기 무패를 달렸다.

부임 후 안산이 8경기 2승 3무 3패를 거두며 시즌 중반 팀 상황이 안좋은 상태에서 부임한 점과 이관우 본인이 초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나름 순항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10월 26일 부천전에서는 1:0 승리를 거두며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해 갈 길 바쁜 부천을 상대로 '고춧가루 부대'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1]

37라운드 경남 FC 홈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며 비록 승리하지 못했지만, 점유율 51%를 기록하며 우위를 점하며 괜찮은 경기력을 보였고, 리그 3경기 연속 무패 기록을 이어갔다.

38라운드 수원 삼성 원정경기에서 김영남의 그림 같은 프리킥골로 선취골을 성공시켰지만 이후 두골을 헌납하며 1:2 패했다.

39라운드 성남 FC 홈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며 리그 11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3.2. 2025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산 그리너스 FC/202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경기 결과

경기 수 득점 실점 승률
<rowcolor=#00A885> 12 3 5 4 13 18 00.0%

[1] 결국 부천은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