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중국 삼국시대 조위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양강(조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양강(조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양강(조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중국 삼국시대 조위의 인물: }}}[[양강(조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양강(조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양강(조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梁綱
(? ~ 197)
1. 개요
고대 중국 후한 말의 군웅 원술의 수하 무장.2. 정사 삼국지
197년 원술과 함께 조조군의 진을 공격했지만 조조가 온다는 소식에 놀라 이풍, 교유, 악취와 함께 수춘을 지키다 대패해 우금한테 붙잡혀서 처형당했다.3. 삼국지연의
양강(梁剛)으로 나오는데, 조조가 여포에게 사신을 보내 평동장군의 벼슬을 내리면서 이 때 원술이 한윤을 파견해 원술이 중나라의 황제에 오른다는 것여포를 공격할 때 이풍, 악취 등과 함께 독전관으로 전 7군의 연락을 담당했는데, 양봉, 한섬의 배반으로 대패해서 도주했다. 조조, 손책, 여포, 유비 등이 연합해서 공격하자 10만의 군사로 수춘성을 지키다가 패배해 사로잡히고 처형당했다.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4.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삼국지 10, 11 |
|
삼국지 13, 14 |
삼국지 1부터 삼국지 3까지 등장하고 오랫동안 출현하지 않았다가 삼국지 10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원술군의 부장다운 능력치로 같이 죽은 동료들과 비슷한 능력치다. 다만, 의리가 낮거나 보통으로 설정된 경우가 많은데, 원술이 자신을 기양에서 조조를 막을 고기방패로 내세우고 도망갔음에도 끝까지 조조군에 항복하지 않고 맞선 것 치고는 억울한 책정이라 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70/지력 42/정치력 27/매력 53에 특기는 징병, 일제, 회복 3개.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무력 69/지력 41/정치력 22/매력 46으로 전작에 비해 골고루 너프를 먹었다. 병종적성은 창병/극병/노병이 B이고, 나머지는 모두 C인 잡장으로 등장한다. 당연히 특기도 없다.
삼국지 12에서는 세트 메뉴 중에 홀로 짤리는 굴욕을 당한다.
삼국지 13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69/지력 41/정치력 22. 특기는 훈련 1, 연전 1. 전수특기는 훈련이며 전법은 화계. 일러스트는 성벽 위에 농성하면서 오른손으로 성벽을 잡고 왼쪽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다. 광정 전투 이벤트에서 원술이 원소를 공격할 방안에 대해 묻자 양강은 조조를 공격해 원소 토벌의 발판을 만드는 것을 제안하며, 조조군을 공격했다가 패하자 완성으로 퇴각하려고 하는 상황에서 완으로 가는 퇴로가 막힌 것을 알린다. 그런데 어째선지 수춘을 지키다가 처형되었는데 비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지 않고 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69, 지력 42, 정치 22, 매력 49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과 지력이 각각 1 상승했다. 개성은 개수, 주의는 할거, 정책은 어린강화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분전, 철벽, 친애무장은 악취, 이풍, 진기, 혐오무장은 없다.
삼국지 8 리메이크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63, 지력 37, 정치 30, 매력 43으로 가장 높았던 무력도 6이나 깎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