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6:24:56

어빙(태풍)

1. 개요2. 1979년 제10호 태풍3. 기록4. 피해

1. 개요

1979년부터 1995년까지 쓰인 남성형 태풍 이름이면서 2018년 남태평양 허리케인에 쓰인 이름이기도 하다.

2. 1979년 제10호 태풍

1979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앨리스 베스 세실 도트 7905호
엘리스 페이 고든 어빙*
주디 * 롤라 낸시
오웬 파멜라 사라 로저 *
베라 웨인 애비
← 1967년 태풍
← 1978년 태풍[A]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A] 1978년, 1980년 태풍 틀은 없다.
→ 1994년 태풍
→ 1980년 태풍[A]
}}}}}}}}}
1979년 제10호 태풍 어빙
<rowcolor=#000> {{{#!folding 태풍 등급보기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중형의 강한 태풍 ( KMA )
대형의 강한 태풍 ( JMA )
2등급 태풍 ( SSHS ) }}}}}}
위성사진 파일:Irving_Aug_16_1979_0627Z.png
진로도 파일:Irving_1979_track.png
활동 기간 1979년 8월 9일 9시 ~ 8월 18일 21시
영향 지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류큐 열도, 본토[1]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전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화둥[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전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전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3] 연해주, 사할린 섬, 캄차카 반도
태풍 등급 2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대형(직경 1100 km)
최저 기압 955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6 m/s
10분 평균 41 m/s
인명피해사망/실종자 17명(한국)
재산피해 148억 원(1979년 환율, 한국)

1979년 8월 9일 오전 9시 발생하여 1979년 8월 19일 오후 9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한 열대성 저기압으로,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중 하나이다. 직경 1,100 km의 대형 태풍으로 당시 대한민국에서도 초기에 수도권 직격이 예상되어 동아일보 등의 언론에서도 떠들썩하게 보도되는 등 난리가 났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어빙호는 최저기압 965hPa, 10분평균 최대풍속 36m/s로 전남 영광군에 예상보다 약해진 채 상륙했고, 이후 동해상으로 빠져나가 북상하면서 소련 극동지역에 열대폭풍의 세력으로 상륙했다. 최종적으로 소련 아르센예프 남동쪽 약 145km 지점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했다.

당시 북서태평양 태풍의 명명권을 갖고 있었던 JTWC에서는 1979년부터 남자 이름과 여자 이름을 번갈아가면서 태풍에 붙였다. 즉, 어빙호 태풍은 남자 이름으로서 대한민국에 영향을 미친 첫 태풍이다.

40년 뒤 발생했던 태풍 미탁이 어빙과 경로가 비슷하다.

===# 진로 경과 #===
<rowcolor=#fff>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JMA
8월 7일 9시 - 30kn 미발생 TD
8월 7일 15시
8월 7일 21시 20kn TD
8월 8일 3시
8월 8일 9시 25kn
8월 8일 15시
8월 8일 21시
8월 9일 3시
8월 9일 9시 30kn 40kn 열대폭풍
8월 9일 15시
8월 9일 21시
8월 10일 3시
8월 10일 9시 35kn
8월 10일 15시
8월 10일 21시
8월 11일 3시
8월 11일 9시
8월 11일 15시 35kn 40kn TS
8월 11일 21시 40kn
8월 12일 3시 45kn
8월 12일 9시 50kn 55kn 강한 열대폭풍
8월 12일 15시 55kn 60kn
8월 12일 21시
8월 13일 3시 60kn
8월 13일 9시 65kn 65kn 1등급 강한 태풍
8월 13일 15시 70kn 70kn
8월 13일 21시
8월 14일 3시
8월 14일 9시 75kn
8월 14일 15시
8월 14일 21시 80kn
8월 15일 3시 85kn 75kn 2등급
8월 15일 9시 90kn 80kn
8월 15일 15시
8월 15일 21시
8월 16일 3시
8월 16일 9시
8월 16일 15시
8월 16일 21시 85kn
8월 17일 3시 80kn 70kn 1등급
8월 17일 9시[6] 70kn 65kn
8월 17일 15시 55kn 60kn TS 강한 열대폭풍
8월 17일 21시 30kn 40kn TD 열대폭풍
8월 18일 3시 25kn 45kn
8월 18일 9시 50kn 강한 열대폭풍
8월 18일 15시
8월 18일 21시 - - 소멸 온대저기압
8월 19일 3시
8월 19일 9시
8월 19일 15시
8월 19일 21시
8월 20일 3시
8월 20일 9시
8월 20일 15시
8월 20일 21시
8월 21일 3시 소멸 및 감시 종료

3. 기록

순간최대풍속(m/s) 서귀포 36.5 여수 35.9 울릉도 35.0 통영 34.0 부산 33.0 울진 31.0 제주 30.9
최대풍속(m/s)[7] 군산 27.0 통영 23.5 부산 23.3 울릉도 23.3 울진 23.0 목포 21.0
일최다강수량(mm)[8] 산청 220.0 거창 155.6 고흥 122.8 해남 120.2 합천 115.4
누적강수량(mm)[9] 산청 244.2 제주 220.1 해남 168.1 거창 168.0 고흥 163.1
최저해면기압(hPa) 목포 970.2 광주 972.5 전주 974.5 속초 975.7 추풍령 975.9 군산 976.0 대전 976.2

4. 피해

한국에서는 17명이 사망하고 148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초기에는 150명이 사망 및 실종으로 추정되었으나, 최종적으로 17명 사망으로 확인되었다.


[1] 규슈, 야마구치현[2] 푸젠성, 저장성, 장쑤성, 산둥성, 안후이성[3] 1979년 당시에는 소련이었다. 해체 후 러시아 연방으로 개명된 것은 1992년.[JTWC] [JMA] [6] 한반도 상륙 시각[7] 10분 평균 최대풍속[8] 관측된 날의 0시부터 24시까지.[9] 8월 15일부터 18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