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NO AU ]
- ||<table bordercolor=#89ac9a><tablebgcolor=#000><nopad><width=1000>||<(><tablewidth=100%><tablebgcolor=#000><nopad>||[[Eclipse(NO AU)|Eclipse]][[αinαvol|αinαvol]][[M87(NO AU)|M87]][[Strength Of Will|]]
strength of will[[AGEM|AGEM]][[Neurovaniac|Neurovaniac]][[Finale For The Bonely One|ғιɴαle ғor тнe вoɴely oɴe]][[Undertale: promised.#NO AU - promised.|]]promised.[[just a megalovania|just a megalovania]][[Time Paradox|Time pαrαdox]][[all thats left.|all thats left.]][[Warned|Warned]][[Still Bαd|Still Bαd]][[ρossession|ρossession]][[He Kept his Smile|He Kept his Smile]][[Boneliest|||Boneliest]]
}}} ||
[clearfix]
1. 개요
언더테일의 2차 창작 중 하나이다.2. 상세
||<nopad><tablewidth=320> ||
NO AU로 가장 잘 알려진 αinαvol. |
비공식 BGM, 즉 기존 언더테일의 캐릭터나 장소의 테마를 어레인지 하거나 완전히 새로 만든 음악들을 일컫는다.
이 음악들을 NO AU라 부르는 이유는 말 그대로 테마를 위한 AU가 없다는 의미이다. 이런 특성상 기존에는 NO AU였으나 이후 AU가 만들어져 편입되는 사례도 일부 존재한다.
물론 어느 AU의 3차 창작 BGM도 NO AU라 지칭할 수도 있다. 명확하게 정해진 기준이 없기 때문.
3. 특징
팬덤의 캐릭터 선호 분포도 자체가 샌즈에게 치우쳐져 있다 보니 대부분 샌즈의 전투 테마로 잘 알려진 MEGALOVANIA를 어레인지 한다.단순히 음악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표지의 디자인에 특성을 집어넣는다. 캐릭터의 스프라이트를 변형해 표지의 디자인으로 하는 식.
인디 음악 특성상 대부분 사운드클라우드에 투고된다.
동일한 특성으로 같은 NO AU의 여러 공식 버전들이 존재한다. 대부분 이름 뒤에 V2, V3을 집어넣어 구분한다.
4. 목록
- 문서가 있는 작품은 상위에, 문서가 없는 작품은 하위에 기재하고 가나다순으로 나열합니다.
- 한 NO AU에 종속되어 있는 작품에 경우 상위 작품 아래에 2단계 리스트로 기재합니다.
- 개별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창작물의 등재 기준에 만족하는 작품이라면 작성 가능합니다.
4.1. NO AU(AU가 없음)
- AGEM
- all thats left.
- Eclipse(NO AU)
- Finale For The Bonely One
- He Kept his Smile
- M87(NO AU)
- Neurovaniac
- Still Bαd
- Time Paradox
- Warned
- just a megalovania
- αinαv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