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만화/애니메이션 】
- ||<table bordercolor=#89ac9a><nopad><width=1000>||<(><tablewidth=100%><bgcolor=#000><nopad>||[[UNDERVERSE|UnderVerse]][[Glitchtale|Glitchtale]][[UNDERPANTS|Underpants]][[Inverted Fate|Inverted Fate]][[x-tale|X-Tale]][[Horrortale|Horrortale]][[Underplayer|Underplayer]][[네거티브테일|Negativetale]][[Aftertale|Aftertale]][[HELP_tale|HELP_tale]][[Interlopers|Interlopers]][[초코테일|초코테일]][[Hardtale|Hardtale]][[BREACHTALE|Breachtale]][[CRUSHTALE|||Crushtale]]
- ❰ 음악 ❱
- ||<table bordercolor=#ededed><bgcolor=#000000><nopad><width=1000>||<(><tablewidth=100%><bgcolor=#000><nopad>||[[To The Bone|To The Bone]][[드럭테일 사운드트랙 프로젝트|드럭테일]][[Ashes(Undertale Genocide Song)|Ashes]][[Fallback(언더테일/AU)|Fallback]][[SP!Dusttale|SP!Dusttale]][[틀:언더테일/NO AU|||팬메이드 BGM/NO AU]]
[clearfix]
1. 개요
언더테일의 등장인물은 유지하고 설정만 바꾼 세계관들. 보통 AU라고 불린다.2. 상세
2차 창작인 만큼 큰 틀만 정해놓고 세부적인 설정은 스스로 바꿔가며 창작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트위터와 언더테일 한국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해외에서는 텀블러를 중심으로 AU 2차 창작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해당 디비언트아트에 많은 AU들에 대한 설명이 있다.[1]크게 2종류로 갈리는데, 본편과 무관한 세계관에 캐릭터만 차용한 것과, 본편과 세계관과 설정을 공유하고 본편보다 과거나 미래, 또는 다른 장소 등 본편 밖의 시점을 다루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공식 후속작인 델타룬을 예로 들면 전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원작과 크게 동떨어졌다면서 싫어하는 팬들도 있으며 또한 각 AU마다 퀄리티 차이도 심한 편이다. 캐릭터 붕괴가 남발되고 클리셰 범벅인 양산형 작품부터,[2] 원작의 느낌은 살리되 심도 있는 재해석이 가미된 수작까지 있기 때문이다. 물론 같은 AU 기반이어도 창작자의 역량에 따라 퀄리티가 크게 갈린다.
더불어 게임이나 유튜브 영상 등으로 다시 제작되거나 연재가 이뤄지는 작품은 많지만 실제로 완성된 작품이 없거나 매우 느리게 연재가 이뤄지는 작품들이 많다. 국내 작품인 네거티브테일 정도를 빼면 장편 연재 AU 중에 완결난 건 거의 없는 수준이고, 정립된 스토리가 없이 설정만으로 3차, 4차 창작으로 분파되는 AU도 있다.[3]
언더테일 세계관 특성상 프라이데이 나이트 펑킨 모드 캐릭터와 함께 AU 2차 창작이 꽤 많은 편이다.[4]
해외 사이트에 언더테일 AU목록이 있어서 언더테일 AU 세계관을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정식설정이 아닌 AU들도 가득하니 조심하는게 좋다. (Canon: 정식설정, Fanon: 팬들 사이에서 인정한 설정, Non Canon: 정식아님#)
3. AT
4. 목록
- 개별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창작물의 등재 기준에 만족하는 작품이라면 작성 가능합니다.
- 국산 AU 문서들은 이름이 한글로 되어있으나 간편성을 위해 영어 기준으로 나열합니다.
4.1. 문서가 있는 AU
4.1.1. 특수문자 ~ H
- Aftertale
- Alphatale
- Alphaverse
- BREACHTALE
- Bad Time Trio
- Boneliest
- CRUSHTALE
- Candytale
- Choco-Tale[국산]
- Deltatraveler
- Disbelief Papyrus
- Dreamtale
언더스왑의 스왑 샌즈 몸을 따온 캐릭터인 긍정의 수호자 드림과 부정의 수호자 나이트메어가 등장하는 세계이며 공식적으로 언더테일 AU가 아니다![6] - Dusttale[국산]
샌즈가 몰살루트를 진행하는 주인공을 막기 위해 괴물들을 죽이며 LV를 올린다는 설정의 AU. - DustTrust
- Dusttale: Last Genocide
- Dusttale: The Genocide’s End
- Epictale
- Errortale
- FAZY!swap
- Fallback(언더테일/AU)
- Fatal_Error
- Fellswap
- Flowerfell
- Glitchtale
시즌 1까지는 AT의 특징을 지니나 시즌 2부터는 AU의 성격을 띄게 되었다. 시즌 1은 언더테일 몰살 시간선 중 틀어져버린 이야기를 다루기 때문. 반면 시즌 2는 괴물과 인간 간의 전쟁에 대한 작가만의 설정 및 인간 사회에 대한 독자적인 설정이 가미되어 점차 AU의 성격을 띄게 되었다. - Green Sans Fight
- godverse
- HELP_tale
여러 AU의 캐릭터들이 뒤섞이며, 융합체가 되는 AU. - Hardtale
- Heroes Time Trio
- Horrortale
노멀 엔딩 이후의 이야기, 모든 게 공포스럽게 변한다.
4.1.2. I ~ Q
- Inktale
- Inverted Fate
- Negatale
- Negativetale[국산]
- Outertale
지하 세계 대신 우주가 배경인 AU. - Outertale(Project Spacetime)
- OverSave-Tale
4.1.3. R ~ Z
- REVENGE: The Unseen Ending
- SP!Dusttale
- Shanghaivania
- Something New(언더테일/AU)
몰살루트에서 샌즈가 차라와 손잡는 AU.[9][10] - Steventale
- Storyshift
- Storyspin
- Swapfell
- TS!UNDERSWAP
- The Staffverse
- The Truce
- Twilighttale
- UNDEREVENT
- UNDERVERSE
X-가스터가 만들어낸 덮어쓰기 버튼으로 인하여 생기는 문제들과, 여러 AU캐릭터들의 싸움 등으로 진행되는 스토리의 이야기. - Underfell
- Underfresh
- Underheaven
- Underplayer
'플레이어'[11] 가 자기 자신의 영혼[12]을 언더테일에 넣어, 언더테일로 들어가고, 그곳에서 완벽한 해피엔딩을 만들려고 하는 AU. - Underswap
- Undertale Icebound
- Undertale Yellow
- Undertale: Call Of The Void
- Undertale: Last Breath
샌즈가 가스터와 만나며, 그의 도움을 받아 더 강해지게 되어 몰살루트의 플레이어를 막는 AU. - Undertale: The Hackers End
- Undertale: promised.
- Wiki Sans
- X-tale
언더벌스의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존재했던 AU. 일종의 프리퀄.[13]
4.2. 문서가 없는 AU
4.2.1. 특수문자 ~ H
- Dolltale
샌즈와 파피루스가 왕실 과학자인 설정의 AU.
- Dreemurr reborn[15] 공식 채널게임 졸트[16]
불살 이후 주인공이 아스리엘에게 자신의 영혼을 준 세계관이며 아스리엘이 플라위로 변하지 않지만, 대신 주인공이 신체를 잃게 된다.
- Echotale 공식 채널
샌즈와 가스터가 하나로 융합된 존재인 에코 샌즈가 등장한다. 가스터가 주인공을 실험체로 하여 의지에 관한 실험을 행하는데, 이 실험이 잘못되어 지하 세계가 엉망이 되고, 주인공과 에코 샌즈가 세계를 원래대로 되돌릴 방법을 찾기 위해 여행하는 이야기.(공식 번역)
- Endertale/Endurrtale DeviantArt(프롤로그) 공식편 유튜브 한글 자막
불살 루트 이후를 다룬 AU이다.[17] 아스리엘이 꽃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함께 지상에 나온 것이 특징. 제작자는 TC-96.[18]
- Farmtale(귀농테일)[국산]
괴물들이 시골에서 귀농하는 국산 AU. 외국에서 더스트테일 처럼 인지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 Handplate 공식 채널
가스터 박사의 실험에 대한 이야기로, 그가 생체실험용으로 만든 인공생명체가 샌즈와 파피루스라는 설정이다.
4.2.2. I ~ Q
- Littletale 공식 채널
등장인물들의 어린 시절을 배경으로 하는 언더테일 세계관이다.
- Megatale 공식 채널
불살 엔딩 이후, 프리스크가 갱들에게 납치된 상황에서의 애니메이션으로 연재되는 AU.
- Othertale
샌즈가 몰살루트에서 왼쪽 머리 일부와 얼굴 오른쪽 대부분이 사라져 죽어갈때, 의지의 영혼을 제외한 6개의 영혼을 흡수해 초인으로 부활한 버전이다.[20]
4.2.3. R ~ Z
- Reapertale 공식 채널 링크(번역) 설정(번역)[21]
모든 주요 괴물들이 신이다. 토리엘은 생명의 여신이며 샌즈와 파피루스는 죽음의 신이라는 식. 차라는 신들을 믿었으나 절망하여 타락하고 폭주하는 설정으로 나온다. 아스리엘도 희망의 신이었으나 스토리 진행부터는 절망의 화신인 플라위로 타락한다.[22]
- 시블링테일(Siblingtale)
아스리엘과 주인공의 여동생인 아스텔(Astell)[23]이 나오는 AU. 제작자의 또 다른 AU인 엔더테일과 세계관을 공유하는 듯 하다.DeviantArt(1화)
- 스노우폴(Snowfall) DeviantArt(1화)
불살 루트 이후 샌즈가 주인공의 리셋을 막기 위해 아스리엘을 과거의 시간선으로 보내는 내용.
- 갑작스런 변화들(Sudden Changes)/Undertale: Gaiden 공식 채널 게임졸트 페이지
Storyshift에서의 스왑을 토대로 한 포지션 스왑 형태의 AU이다. 캐릭터의 위치가 바뀌면서 역할이 겹치는 경우도 생긴다.[25] 제작자는 Spouting으로, Scramble Saga라는 AU에 영감을 받아서 이 AU를 만들었다.
팬매이드 몰살루트 샌즈전이 꽤나 있다. 공통적인 특징은 샌즈가 권총(!)을 들고 있다는 것이다.
- 테일트위스트(Taletwist) 텀블러 공식 채널
StoryShift나 Underswap처럼 캐릭터의 위치가 바뀌는 스왑 AU이다. 알피스가 샌즈, 언다인이 파피루스, 샌즈가 메타톤, 파피루스가 차라, 차라가 언다인, 아스리엘이 알피스, 냅스타블룩이 아스고어, 메타톤이 토리엘, 토리엘은 냅스타블룩, 아스고어는 화난 더미, 화난 더미는 플라위로 바뀌는 등으로 위치가 바뀌는데 Storyshift와 페어가 다르게 바뀐다. 제작자는 Sseleman's Volley. 사운드 트랙[26]
- 언더세일(Undersail) 공식 채널
바닷속이 배경이고 그에 걸맞게 캐릭터들의 외형이 바뀐다. 플라위가 말미잘이 되는 식. 비슷한 AU로 오션테일(OceanTale)이 있다.
- 언더셰이드(Undershade) 공식 채널
- 언더월드(Underworld) 공식 채널 인게임 스프라이트
플레이어(주인공)의 무수한 리셋과 게임 파일 조작으로 인해 게임 파일이 뒤틀려 모든 괴물들이 주인공을 죽이는 것만이 목적인 기괴한 생명체가 되었다는 설정. 관련 사진 등을 찾아볼 경우 섬뜩할 수 있으니 주의.
- 언더킵(Underkeep) 공식 채널
메타톤이 지하의 왕이고[27] 등장인물들은 메타톤에게 작위를 받은 귀족들이라는 설정이다. 주인공는 영웅, 파피루스는 로열 가드의 부단장, 샌즈는 왕실 어릿광대/스노우딘 관리자, 머펫은 거미들의 공작/왕실 제빵 전문가, 알피스는 왕실 과학자/핫랜드의 후작, 언다인은 로열 가드 단장/워터폴의 남작이다.
- 언더테일 몹(Undertale Mob) 공식 채널 #더빙
캐릭터들이 전부 마피아처럼 변한다. 꽤 스타일리쉬하게 양복 등을 빼입은 디자인이라던가, 여러 세세한 사항들이 변하는데, 아스고어를 '보스'라고 부르거나,[28] 토리엘을 '전 보스'라고 한다거나, 파피루스가 무조건적으로 자비를 쓰지는 않는다거나 하는 식.[29] 은근히 사람들이 착각하는게 있는데, 언더테일 몹(undertale mob)과 마피아테일(mafiatale), 언더마피아(undermafia)가 같은 AU라고 알고 있다. 하지만 전혀 다른 AU이며 원작자도 다르단 것을 반드시 기억하자.
- 좀비테일(Zombietale) 공식 채널
떨어진 인간이 좀비인 설정인 AU이며 주인공이 어느 정도 이성을 유지하는 것 같기는 한데, 계속 배고파하는 것으로 봐서 앞으로 지하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30][31]
- 토리엘의 소원(Toriel’s Wish) 공식 채널
언더테일의 비공식 후속작이며, 9번째로 떨어진 아이가 나오는 이야기로 전개되는 AU다.
- 탑테일(Toptale)
괴물들의 강력한 마법 때문에 인간은 전쟁에서 지고 만다. 그 결과, 괴물들은 인간들을 에봇산에 가두고, 결계를 생성하여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만들었다. 결계를 통과하려면 인간은 인간과 괴물의 영혼을 동시에 들고 가야만 한다. 세월이 지난 그 때...
작가는 Luka Larocque Wolff.공식 채널
- 폐허관리자(The Caretaker of the Ruins) 공식 채널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신예 코믹스 AU. 다름 아닌 차라가 죽지 않고 살아있어 폐허에 토리엘 대신 폐허관리자로 있다는 설정이다. 구상과 팬아트 수준으로 끝나거나 마무리를 잘 짓지 못한 일부 AU와 달리 아마추어 작가들이 후원을 받으며 꾸준히 연재하고 있다. 차라와 아스리엘이 멀쩡히 살아남는다는 소재는 제법 많았지만, 구체적으로 연재됨과 동시에 토리엘 포지션의 차라라는 참신한 설정 덕분에 1 페이지 올라올 때마다 1500 전후의 리블로그를 받으며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차라와 아스리엘, 프리스크의 관계에 초점이 몰려있기 때문에 드리무어 일가와 엑스트라들[32]은 나오지만 다른 유명 레귤러들은 배제되어 있다. 해골 형제는 만우절 농담 외엔 전혀 언급되지도 않고, 그릴비나 알피스 등 캐릭터들은 모두 어린 모습을 한 카메오로 나온다. 여기서 차라는 여성으로 묘사되는 다른 2차 창작과 달리 무려 36살 먹은 남성이다. 그럼에도작가진의 욕망에 의해미청년으로 묘사되어 동안 속성까지 가지고 있다. 그러나 주인공의 영혼을 노리고 있다는 것 때문에 퍼즐은 스스로 풀라는 말과 함께 함정에 빠뜨려 죽이거나 집에 도착해서 본성을 드러내 칼로 찔러 죽이는 등 잔혹한 모습으로 보인다. 거기에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주인공의 살아남겠다는 의지(세이브/로드 능력)까지 간파해내서, 프리스크를 폐허에 가두고 포기할 때까지 죽일 기세였다. 그러나 본작 주인공가 의외로 신체능력이 좋아서 도주에 성공하고[33] 살인을 반대하는 아스리엘과 만나는 바람에 실패한다. 이후 차라가 주인공의 능력을 이용하려 한다는 것과 과거사가 엇갈리는 진행을 보이고 있다.
- 언더러스트(Underlust)
메타톤과 주인공을 제외한 모든 괴물들이 성적으로 변한 AU이며 죄다 노출이 심한 옷을 입고 있는게 특징인 세계관이다. 다른 AU 세계관들 보다 2022년도 더 늦게 문서에 서술되었다.
- 트랩!테일: 코드 에러(trap!tale: code error)
더스트테일과 마찬가지로 국산 AU다. 이쪽 AU는 프리스크(플레이어)가 여러번의 리셋, 파일조작으로 인해 타임라인이 망가졌다. 그래서인지 샌즈, 토리엘, 파피루스, 플라위를 제외하면 그 누구도 믿어선 안 된다. 공식 만화와 소설이 있었지만 리메이크를 한다고 하곤 지워졌다.[34]
- The Villain Sans Squad
제작자는 Yamata41
언더벌스 못지않게 등장 샌즈가 많은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분위기가 매우 어둡다. 제목 그대로 빌런 샌즈들[빌런샌즈연합]이 팀을 구성,[36] 살아갈 이유를 준다는 명목 하에 AU들에서 몰살을 일으켜 부정적인 감정들에 잠식되도록 만드는 내용으로 그중 머더 타임 트리오가 배드 타임 트리오를 만나는 장면까지 연재되었으며, 미완성이지만 에러와 플레이어 프리스크가 싸우는 장면까지 올라오고 연재가 취소되었다.
등장인물은[빌런샌즈연합], 배드 타임 트리오, 잉크 샌즈, 세라핌 샌즈가 등장하였으며, 연재 취소로 인해 오프닝에서만 등장하는 캐릭터는 드림 샌즈[38], 리퍼테일 샌즈와 파피루스, 울트라 샌즈, 스토리 스왑 아스리엘, 알터테일 토리엘, 페이탈 에러 샌즈, 안티 에러 샌즈, 프레쉬 샌즈와 타임 키드 샌즈, 코어 프리스크, 해커 프리스크, 플레이어 프리스크가 있으며, 회상으로 등장한 인물은 언더테일 토리엘과 파피루스, 언더스왑 샌즈와 아스고어, 스토리 쉬프트 아스리엘과 샌즈가 있다. 또한 빌런샌즈 연합에게 살해당한 버드 샌즈, 플라위 샌즈, 언더마피아 캐릭터들이 잠시 등장했다.
- What comes after
디시인사이드의 언더테일 갤러리에서 연재되고 있는 국산 AU. 현재 불살 엔딩 1, 2가 완결되고 몰살 엔딩 루트가 진행 중이다. 프리스크가 괴물들을 아무도 죽이지 않은 노말 엔딩 이후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주요 괴물들은 프리스크가 리셋을 그만두고 지하에 남은 후 자신이 지녔던 세이브와 로드, 리셋에 대한 비밀을 밝힌 영향으로 성격의 변화가[39] 일어나 역할이 바뀌기도 한다. 뛰어난 연출과 스토리 및 반전으로 호평을 받는다.
[1] 디비언트아트, 영어로 작성되었으며, 인지도 높은 한국 AU도 수록되어 있다.[2] 특히 네덕 같은 자극적인 팬덤이 많은 한국의 경우 이 문제가 심각한 편이다. 굳이 AU가 아니더라도 이와 같은 양산형 2차 창작들이 범람하고 있는 상황이며(가스터, 샌즈, 차라 등) 해외 팬덤도 이런 일부 한국 팬덤들을 비판한 적이 있다. 물론 해외라고 이런 양산형이 없는 건 아니다.[3] 언더펠, 언더스왑 등. 두 AU는 워낙 유명해서 다른 AU와 합쳐져 3차 창작이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자면 호러스왑(호러테일+스왑)이라든가 더스트펠(더스트테일+펠) 같은 식으로.[4] 특히 언더펠과 언더스왑은 구글에 검색만 쳐도 바로 팬아트가 쏟아져 나올 정도로 2차 창작이 많이 나온다.[국산] [6] 실질적으로 언더테일의 스토리와 전혀 관련이 없고, 샌즈 캐릭터만 가져와서 그런듯.[국산] [국산] [9] 여기에 나오는 샌즈가 킬러 샌즈이다.[10] 킬러테일(Killertale)이란 이름이 아니다.[11] 언더테일의 플레이어라 플레이어도 맞지만, 플레이어로 불리는 특정 인물이자 작품의 주인공이다.[12] 정확히는 조각, 전체는 너무 커서 다 들어가지 않는다고 한다.[13] 언더벌스를 보기 전에 꼭 봐야 이해할 수 있다.[14] 그외에는 스왑이 없다고 한다.[15] 제작자명인 제작자의 공식 세계관 이름은 오버테일(Overtale)이지만 오버테일이라는 세계관 이름이 많은 탓에 드리무어 리본으로 서술한다.[16] 원래 게임 졸트에서 다운로드를 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할 수 없다.[17] 한때 연재가 중단된 적이 있었다.[18] 디즈니 덕후인지 라이온 킹 그리고 코코 팬아트를 많이 만들었다.[국산] [20] 여담이지만 이AU의 샌즈인 컬러의 찐친이...[21] 소리엘(토리엘X샌즈 커플링) 성향이 굉장히 짙으며, 이 커플링을 안 좋아한다면 볼 때 조금 불편할 수도 있다.[22] 인간들이 신(아스리엘)을 믿지 않았기 때문인데, 그래서인지 플라위는 아스리엘 시절의 기억을 모두 잃었다고 한다.[23] 만화를 보면 대사가 일절 없는데 TC-96의 말로는 아스텔은 바다의 노래의 시얼샤를 모티브로 했으며, 토리엘과 아스고어가 얘를 데리고 병원에 가봤더니 의사가 얘가 진짜로 말을 못한다고 말했다.[24] 사자 닮은 괴물이다.[25] 샌즈와 파피루스가 같은 역할을 맡는다.[26] 제작자가 직접 사운드 트랙을 제작한다.[27] 메타톤 왕 보통엔딩과는 관련이 없다. 해당 엔딩에선 언다인이 살아있을 수가 없기 때문.[28] 이 세계관에서 아스고어는 간지가 철철 넘친다. 언다인에게 주인공를 죽이라고 지시하는 모습 등.[29] 먼저 공격하는 상대에는 맞대응한다. 그렇다고 해서 무자비해진 건 아니고 웬만하면 대화로 해결하려고 한다. 파피루스의 제대로 된 전투를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AU들 중 하나.[30] 써니(Sunny)라고 하는 윔선은 플라위의 도움으로 살아남지만 LOVE가 오른 괴물이 되었고, 플라위마저 인간에게 물려 좀비가 되어버렸으며, 파피루스는 좀비가 된 플라위에게 죽고 샌즈는 플라위와 싸우다가 싸움을 멈춰달라고 난입한 써니의 실수로 죽고 만다.[31] 챕터 4에서는 떨어진 좀비와 별개로 프리스크와 차라(영혼)가 나타났는데 지하의 괴물들은 모조리 좀비가 된 것도 모자라 토리엘을 중심으로 융합되어있었다. 다만 플라위는 다소 난폭해질지언정 정상적으로 대화도 하고 농담을 따먹기도 하며, 토리엘은 다른 괴물들과 융합되어 사족보행을 하는 기괴한 모습임에도 프리스크에게 파이를 나눠주고 방도 마련하는 등 다른 괴물들과 달리 이성이 남은 듯한 묘사를 보이는 듯 하다.[32] 도가미, 도가레사가 그대로 나오며, W.D. 가스터 역시 나와 실종 사건까지 언급된다.[33] 12살 소녀한테 36살 남자가 육체적 불리함을 보이고 있다. 초반에 급습으로 찔러 죽인 것 외에는 주인공의 강렬한 저항으로 차라가 뭣도 못해보고 있는 수준. 작중 주인공는 성격은 유순하나, 친구들과 함께 등산을 즐기는 등 와일드한 삶을 살아온데 비해서 차라는 가스터의 연구실 생활을 하는 등 범생이 + 왕족 도련님 생활을 이어왔기 때문에 신체적 능력차가 난다는 묘사가 나오긴 한다.[34] 근데 지금까지 리메이크가 안된 걸 보면 아무래도 제작자가 버린듯 하다.[빌런샌즈연합] 머더 샌즈, 킬러샌즈, 호러샌즈, 인세니티 샌즈, 나이트메어 샌즈, 빌 샌즈, 스카운드럴 샌즈, 에러 샌즈, 부서진 드림 샌즈, 에러 404 샌즈, 식스본즈.[36] 정확히는 빌과 부서진 드림을 제외하면 나이트메어의 수하.[빌런샌즈연합] [38] 흑화버전인 부서진 드림 샌즈가 나온다.[39] 대표적인 예시가 샌즈. 리셋이 더 이상 없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원작보다 더 적극적인 성격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