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01:18:11

Shanghaivania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nktale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언더테일 로고.svg
팬메이드 BGM / NO AU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팬메이드 BGM ]
{{{#!wiki style="margin: -5px 0"
<nopad> {{{#!wiki style="margin:-1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nopad>
[[Shanghaivania|
파일:Shanghaivania Redone 1:1.jpg
Shanghaivania
]]
[[Starting Point Of Error|
파일:Starting Point Of Error.jpg
Starting Point Of Error
]]
[[Lethal Deal|
파일:Lethal Deal V1.png
Lethal Deal
]]
[[Pyrosomni|
파일:Pyrosomni V2.png
Pyrosomni
]]
[[Your Fault|
파일:Your Fault SC.jpg
Your Fault
]]
[[RAPSCALLION|
파일:RAPSCALLION.jpg
RAPSCALLION
]]
}}}
}}}
}}}
}}}
[ NO AU ]
||<table bordercolor=#89ac9a><tablebgcolor=#000><nopad><width=1000>
||<(><tablewidth=100%><tablebgcolor=#000><nopad>
[[Tears In The Rain|
파일:Tears In The Rain V2.jpg
Tears In The Rain
]]
[[Eclipse(NO AU)|
파일:Eclipse V1.jpg
Eclipse
]]
[[αinαvol|
파일:αinαvol.jpg
αinαvol
]]
[[M87(NO AU)|
파일:M87.jpg
M87
]]
[[Strength Of Will|
파일:Strength Of Will V3.jpg
strength of will
]]
[[AGEM|
파일:AGEM.jpg
AGEM
]]
[[Neurovaniac|
파일:Neurovaniac V3.jpg
Neurovaniac
]]
[[Finale For The Bonely One|
파일:Finale For The Bonely One.jpg
ғιɴαle ғor тнe вoɴely oɴe
]]
[[Undertale: promised.#NO AU - promised.|
파일:Promised.png
promised.
]]
[[just a megalovania|
just a megalovania
]]
[[Time Paradox|
파일:Time Paradox V2.0.jpg
Time pαrαdox
]]
[[all thats left.|
파일:all thats left.jpg
all thats left.
]]
[[Warned|
파일:Warned V5.jpg
Warned
]]
[[Still Bαd|
파일:Still Bαd Worst ver.png
Still Bαd
]]
[[ρossession|
파일:ρossession β.jpg
ρossession
]]
[[He Kept his Smile|
파일:He Kept his Smile V2.jpg
He Kept his Smile
]]
[[Boneliest|
파일:Boneliest.png
Boneliest
]]
[[Forced Grin|
파일:Forced Grin.jpg
Forced Grin
]]
[[Over.|
파일:Over.jpg
Over.
]]
||
||

}}} ||
We Finna Stain
Shanghaivania
파일:Shanghaivania Redonee.jpg
<bgcolor=#8f632b>
V1 [펼치기 • 접기]
파일:Shanghaivania V1.jpg
<bgcolor=#8f632b>
V2 [펼치기 • 접기]
파일:Shanghaivania V2.jpg
<bgcolor=#8f632b>
V3 [펼치기 • 접기]
파일:Shanghaivania V3.jpg
<colbgcolor=#141414><colcolor=#dedede> 장르 NO AU | 동인 음악
투고일 2019년 6월 23일[V1]
2020년 11월 11일[V2]
2020년 12월 8일[V3]
2022년 5월 19일[Redone]
작곡가 Valor Genesect
표지 아트 Valor Genesect[V1][6]
JON7[V2]
x.Rayyz[V3]
PieDaDude[Redone]
페이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V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V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V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Redone]

1. 개요2. 목록
2.1. V12.2. V22.3. V32.4. Redone
3. 여담4. 커버 및 리믹스5. 팬게임
5.1. 난이도5.2. 유명세

1. 개요

Valor Genesect이 작곡한 Undertale AU Inktale의 비공식 테마곡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도쿄 테디베어MEGALOVANIA를 믹스한 Tokyovania[14]를 We Finna Box의 Hrrghlovania와 믹스한 것이다.

2. 목록

2.1. V1


2.2. V2


2.3. V3


2.4. Redone


3. 여담

  • 이 곡을 제목으로 하고 BGM으로 사용한 팬게임이 있다. 자세한 건 5번 문단 참고.
  • 아래 팬게임의 영향인지 대부분의 커버나 리믹스의 디자인은 실크 해트를 착용한 잉크 샌즈가 아닌, 상처를 입고 피를 흘리는 잉크 샌즈의 디자인을 차용한다.

4. 커버 및 리믹스

  • Charty 커버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Ilay Boter 리믹스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Nick Nitro 리믹스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Zenixsal 리믹스 - 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

5. 팬게임

언더테일 AU 관련 캐릭터인 잉크샌즈 팬 게임. 잉크샌즈의 작화가 기존 잉크샌즈들의 파이트보다 훨씬 성숙해지며, 붓을 두개를 든 것이 특징이다.[15] 게임졸트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
Bgm은 Shanghaivania로, 위 문단의 BGM을 그대로 사용했다. 세계 최초 노히트 영상.

5.1. 난이도

페이즈가 1개 밖에 없고 실제로 깨는데 걸리는 시간은 많아봤자 5분인데, 이는 죽은 시간을 싹 빼고 클리어하는 보통 시간이다. 공격을 막 쏟아부으며 1번째에선 뼈테두리+ 블래스터라 한대 정도는 거의 무조건 맞고, 2번째 패턴에선 기본 샌즈가 파쿠르를 시키는데 발판도 작은 주제에 보라색 발판이라 밀려난다. 3번째 패턴은 공략이 있다면 쉽게 깨지만 처음 이런 패턴을 접해본 유저들은 공략이 없어 공략 얻을 때까지 계속 죽어야하는 패턴. 유저들 중 몇 명은 이게 기존 잉크 샌즈 파이트, 심지어는 라스트 브레스보다 어렵다고 했을 정도. 이는 사람들에 따라 갈린다. 상하이바니아는 약 3~4분의 시간에 모든 난이도를 응축한 반면[16] 라스트 브레스는 약 15~20분에 걸쳐 난이도가 점차적으로 올라가기 때문. 그래서 라스트 브레스는[17] 마스터하기 상대적으로 쉽다. 당장 유튜브를 찾아봐도 라스트 브레스는 한국인의 노 힐[18] 영상이 매우 많은 반면, 상하이바니아는 한국인 노 힐 영상이 찾아보기 어렵다. [19]

5.2. 유명세

이런 난이도와 유명해진 브금으로 라스트 브레스처럼 인기를 끌었다. 한국에서는 엄청 유명하진 않은듯. 팬들이 반 농담으로 에러가 잉크를 이길 수 없는 이유라며 에러에러의 1패를 돌려까기도 한다.
[V1] [V2] [V3] [Redone] [V1] [6] 기존 Hrrghvania의 표지를 일부 편집한 것이다. 따라서 완전 원본의 제작자는 We Finna Box의 제작자인 Soufon.[V2] [V3] [Redone] [V1] [V2] [V3] [Redone] [14] 실제로는 잉크 샌즈를 위한 테마가 아니었으나 이후 잉크 샌즈 파이트 팬게임에 사용되며 잉크 샌즈의 테마로 굳혀졌다.[15] 엄밀히 말하자면 잉크샌즈를 모티브로 하고 있는 것 뿐 잉크샌즈 파이트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는 게임이다. 그러나 이 게임을 잉크샌즈 파이트 페이즈3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더 많다[16] 공략이 없다면 모든 패턴에서 매우 빨리 죽을 수 있다. 말 그대로 암기성 게임. 외워도 손이 잘 안 따라 주는 경우가 있다.[17] 오리지널 샌즈 패턴과 비슷한 면도 없지 않기에[18] 아이템을 사용하지 않고 클리어 하는 것을 말한다.[19] 실제로 유튜브에 있는 한국인 상하이바니아 노힐 영상은 고작 10개 남짓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건 상하이바니아가 인기가 상대적으로 없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