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 알바레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20 도쿄 올림픽 야구 종목 은메달 |
2020 |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65번 | ||||
오스틴 브라이스 (2016) | → | 에디 알바레즈 (2020~2021) | → | 조던 그로션스 (2022~)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37번 | ||||
루크 레일리 (2021) | → | 에디 알바레즈 (2022) | → | 루크 윌리엄스 (2023) |
뉴욕 메츠 등번호 26번 | ||||
파블로 레예스 (2024) | → | 에디 알바레즈 (2024) | → | 놀란 매클레인 (2025~) |
| |
에디 알바레즈 Eddy Alvarez | |
본명 | 에두아르도 코르테스 알바레스 Eduardo Cortes Alvarez |
출생 | 1990년 1월 30일 ([age(1990-01-30)]세) |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 | |
국적 |
|
학력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고등학교 - 솔트 레이크 커뮤니티 칼리지 |
신체 | 175cm / 83kg |
포지션 | 1루수, 2루수 |
투타 | 우투좌타 |
프로입단 | 2014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CHW) |
소속팀 | 마이애미 말린스 (2020~2021)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2) 뉴욕 메츠 (2024) |
SNS |
1. 개요
미국 국적의 내야수.2. 선수 경력
2.1. 마이애미 말린스
|
2.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2022년 6월 19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전에서 우익수로 나와 경기 내내 환장할 수비를 보이며 다저스 팬들의 속을 뒤집었다.
14경기 25타수 4안타 fWAR -0.5를 기록하고 8월 30일 지명할당되었다.
2.3. 뉴욕 메츠
2023 시즌 중 보스턴 레드삭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고, 9월 8일 메츠로 현금트레이드된 뒤 다음날 콜업되었다.12경기에 출전한 뒤 시즌 후 2024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로스터에 맥스 크라닉이 포함되어 40인 로스터에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DFA되었다.
시즌 후 FA 신분이 되었다.
3. 연도별 성적
| ||||||||||||||||||
<rowcolor=#00a3e0>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2020 | MIA | 12 | 41 | 7 | 1 | 0 | 0 | 6 | 2 | 2 | 3 | 16 | .189 | .268 | .216 | .485 | -0.2 | -0.2 |
2021 | 24 | 74 | 12 | 4 | 1 | 1 | 8 | 6 | 1 | 4 | 18 | .188 | .297 | .328 | .625 | -0.2 | 0.1 | |
<rowcolor=#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2022 | LAD | 14 | 27 | 4 | 0 | 0 | 0 | 1 | 3 | 1 | 0 | 9 | .160 | .154 | .160 | .314 | -0.5 | -0.5 |
<rowcolor=#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2024 | NYM | 12 | 11 | 0 | 0 | 0 | 0 | 2 | 0 | 0 | 1 | 2 | .000 | .182 | .000 | .182 | 0.0 | 0.1 |
MLB 통산 (4시즌) | 62 | 153 | 23 | 5 | 1 | 1 | 17 | 11 | 4 | 8 | 45 | .170 | .257 | .244 | .501 | -0.8 | -0.5 |
4. 여담
-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과거 쇼트트랙 종목에서도 계주 은메달을 획득했었기에 복수 종목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4.1. 쇼트트랙 경력
<colbgcolor=#ffffff><colcolor=#B31942> | |
주종목 | 500m |
국가대표 | 2012-13~2013-14 (2시즌) |
하지만 이 시즌 이후로 아폴로 오노는 은퇴, 사이먼 조는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스케이트를 내려놓았고, 실력이 뛰어나지는 않았지만 꾸준히 대표팀에 승선했던 앤서니 로벨로까지 이탈리아로 이적해 버리면서 알바레스를 포함한 아래 실력 선수들에게도 기회가 보이기 시작했다. 더군다나 당시 오노의 후계자였던 J.R. 셀스키 말고는 제대로 된 실력자가 없었기에 남자 대표팀에 큰 공백이 생겼었다.
결국 알바레스는 2012-13 시즌 처음으로 대표팀 마크를 다는데 성공했고,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이 걸린 2013-14 시즌 선발전에서는 3개의 개인 종목에서 모두 출전권을 따내기까지 한다. 이후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5000미터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당시 은메달을 운이 많이 따라주기도 했는데, 경기 초반 중국, 네덜란드, 카자흐스탄이 한꺼번에 넘어지는 행운으로 러시아와 2파전으로 경기가 흘러갔기 때문이다. 만약 이변 없이 레이스가 진행되었다면 미국 남자 대표팀은 러시아는 물론이고 중국과 네덜란드에 밀리는 전력이었다.
올림픽 직후 2014 세계선수권 불참과 동시에 쇼트트랙 은퇴를 선언했고, 2014년 여름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체결하며 야구 선수로의 인생을 시작했다.
4.1.1. 수상 기록
| ||
| ||
은메달 | 2014 소치 | 5000m 계주 |
| ||
금메달 | 2008 셔브룩 | 3000m 계주 |
| ||||
<colbgcolor=#ffffff,#1c1d1f> 월드컵 메달 | <colbgcolor=#ffd700,#554600> 금 | <colbgcolor=#9a9a9a,#444444> 은 | <colbgcolor=#cd7f32,#442910> 동 | 포디움 |
500 m | 0 | 0 | 1 | 1 |
개인전 합계 | 0 | 0 | 1 | 1 |
5000 m 계주 | 1 | 1 | 0 | 2 |
메달합계 | 1 | 1 | 1 | 3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colbgcolor=#ffffff,#1c1d1f> 2012-13 | - | 37위 | - | - |
2013-14 | - | 9위 | - | -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2] |
5. 둘러보기
동계올림픽 남자 5000m 계주 은메달리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캐나다 | 미국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캐나다 | |
마크 래키 | 앤디 게이벌 | 채지훈 | 파비오 카르타 | 에릭 베다르 | |
프레데릭 블랙번 | 랜디 바츠 | 김동성 | 니콜라 로디가리 |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 |
미셸 데이뇨 | 존 코일 | 이준환 | 니콜라 프란체스키나 | 샤를 아믈랭 | |
로랑 데이뇨 | 에릭 플레임 | 이호응 | 미켈레 안토니올리 | 마티외 튀르코트 | |
마우리치오 카르니노 | 조나탕 길메트 | ||||
2010 | 2014 | 2018 | 2022 | 2026 | |
대한민국 | 미국 | 중국 | 대한민국 | | |
이호석 | 에디 알바레즈 | 우다징 | 황대헌 | ||
성시백 | J.R. 셀스키 | 한톈위 | 이준서 | ||
이정수 | 크리스 크레벨링 | 천더취안 | 박장혁 | ||
곽윤기 | 조던 멀론 | 런쯔웨이 | 곽윤기 | ||
김성일 | 쉬홍지 | 김동욱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 |
[1]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2] 랭킹 표기 : 전체 랭킹기록 3개의 80%인 2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