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텔로돈 Entelodon | |
| |
학명 | Entelodon Aymard, 1846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목 | 우제목(Artiodactyla) |
과 | †엔텔로돈과(Entelodontidae) |
속 | †엔텔로돈속(Entelodon) |
종 | |
|
|
복원도 |
|
크기 비교도 |
[clearfix]
1. 개요
에오세 후기부터 마이오세전기까지 유라시아에 서식했던 우제목 엔텔로돈과 포유류. 속명의 뜻은 '완벽한 이빨'.2. 상세
오늘날의 혹멧돼지와 유사한 외모로 '지옥에서 온 돼지'와 같은 별명이 있고, 실제로도 한때 돼지 계통의 친척으로 분류되어 복원도 멧돼지와 비슷한 모습으로 복원했으나, 현재 엔텔로돈과에 속하는 종들은 돼지보다는 하마, 고래와 가깝게 분류된다. 그래서 최신 복원도로 가면 멧돼지와 별로 닮지 않은 외모로 복원된 모습도 많아진다.유럽 종의 어깨높이는 1.35m, 두개골 길이는 65cm에 체중은 120kg로 꽤 육중한 편이었다.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가장 큰 종인 마요르종은 어깨높이가 무려 1.7m였을 걸로 추정된다고 한다.
다른 친척들이나 오늘날의 돼지 종류와 마찬가지로 잡식동물이었을 걸로 추정되지만[1] 양안시[2]를 가진 것으로 보아 포식자로서의 경향이 더 강했던 모양이다. 턱은 90도까지 벌어졌고, 치악력도 매우 세서 질긴 식물을 뜯거나 먹잇감의 뼈까지 으스러뜨릴 수 있었던 듯하다.
3. 대중매체
BBC 다큐멘터리 고대 야생 동물 대탐험의 세 번째 에피소드에서 등장.[3] 극중에서는 그냥 '엔텔로돈류(Entelodont)'로 언급된다. 극중에서는 동족끼리 서로 싸우다가 패자가 도망치고 승자는 울부짖으며 승리를 만끽한다. 이후 세 마리가 하이에노돈이 사냥한 칼리코테리움를 강탈하는 모습으로 나오지만 우기가 시작되어 비가 오면서 역으로 하이에노돈에게 쫒기는 모습으로 나오다가 이후 나뭇잎을 먹던 와중에 어린 인드리코티어[4]에게 발각되어 후퇴한다.
네셔널 지오그래픽의 '지옥의 돼지 엔텔로돈트'에서는 극중 배경이 북아메리카라인지라 아르카이오테리움(Archaeotherium) 종이 나온다.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빠르게 달리던 말이나 낙타를 사냥하고, 큰 덩치를 내세워 히아에노돈 중 호리두스 종(H. horridus)의 먹잇감을 강탈하고[5] 그 과정에서 어깨뼈를 부딪혀 절름발이로 만들어버리기까지 한다. 후반부에 최대 종인 다이오돈(디노하우스)으로 진화해 더 큰 코뿔소나 칼리코테리움까지 사냥하는 등 더 강한 종으로 진화하나, 베링 육교를 넘어서 온 암피키온에게 지능과 사회성, 속도에서 밀려 경쟁에서 져 멸종했다고 나온다. 그러나 이는 고증 오류로, 애초에 뇌 구조나 크기를 가지고 동물의 지능을 가능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미 오래전에 멸종한 동물의 지능을 멍청하다고 판단할 수 없고, 하이에노돈과 암피키온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 암피키온과의 경쟁에서 밀렸다는 것 자체가 거짓이다. 하이에노돈 호리두스종과 달리 다이오돈은 더 이후에 살았기 때문에 아주 짧은 기간동안 암피키온의 첫 북미종인 갈루샤이종과 공존한 적은 있지만 직접적인 충돌의 증거는 없다.
쥬라기 공원 빌더와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 사육가능한 고생물로 등장한다.
메소조이카에서 사육가능한 고생물로 등장한다.
Why?의 '고대 동물'에서 등장하는데, 파라케라테리움의 공격을 받아 죽은 하이에노돈의 시체를 두 마리가 뜯어먹는다.
[1] 신체 구조상 원래 초식동물이였다가 잡식성으로 진화한 것 같다.[2] 두 눈이 정면을 향해 있는 것. 나뭇가지 사이의 거리를 알아야 하는 영장류나 먹잇감과의 거리를 정확히 알아야 하는 포식자들에게서 보이는 눈 형태다.[3] 그러나 실제 설정집인 공룡 대백과를 보면 히아에노돈처럼 키가 2m로 과장되어 나온다. 오히려 크기로 보나 체형으로 보나 다이오돈이나 크기와 체형이 비슷한 파라엔텔로돈이라는 근연종을 착각한 것 같다. 특히 배경이 몽골이므로 파라엔텔로돈이 맞을 듯하다.[4] 세번째 에피소드의 주인공으로, 이 시점에서 어미로부터 독립한 지 석 달 이상 지난 후였다.[5] 호리두스종은 커봐야 60kg인데 아르카이오테리움은 270kg이나 된다. 즉 체중이 무려 4배가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