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16:22:15

여러 음악이론가들의 이론 및 음악 분석법

1. 개요2. 조성음악
2.1. 솅커이론2.2. 기능이론2.3. 음도이론2.4. 조성음악의 생성방법론
3. 비조성음악

1. 개요

여러 음악이론가들의 분석방법론들을 소개한 문서.

2. 조성음악

조성음악의 범위안에서의 다양한 분석방법론을 소개한다.
바로크에서 후기 낭만주의에 이르기까지 꽤나 긴 시간동안 음악의 근간이 되었던 조성을 바탕으로 창작연주되어진 음악을 분석하는 다양한 견해를 볼수있다.
조성음악 분석론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히 여기는 것은
으뜸화음 -> (버금딸림화음 ->) 딸림화음 -> 으뜸화음으로 향하는 진행이다. 조성음악자체의 특징이, 맨 처음에 으뜸화음을 통해 조성을 확실히 하고, 여러 사건(Episode)들이 일어난 후에 딸림화음-으뜸화음을 통해 종지를 형성하여 다시한번 조성을 강조하는게 조성음악이기 때문이다.
간혹가다 바로크이전 음악에서 쓰이던 선법이 사용되는 음악을 분석할 경우에도 대부분 특정 선법화음성격에 맞게 분석을 해나가는 편이다.[1]

2.1. 솅커이론

솅커가 만든 이론으로, 그래프를 통해 음악을 축약하고 위계를 통해 분석하는 이론이다. 화성학문서의 솅커이론 문단 참조.

2.2. 기능이론

리만이 제시한 이론으로 빌헬름말러가 절충한 이론. 화음의 “기능”을 중요하게 다루는 이론이다. 화성학 문서 참조.

2.3. 음도이론

라모가 제시한 이론으로서 화음에 도수를 붙여 분석하는 방법. 화음간의 연결을 중요하게 다루는 이론이다. 역시 화성학 문서 참조.

2.4. 조성음악의 생성방법론

1983년 음악이론학자 프레드 레르달과 언어학자 레이 자켄도프의 "A Generative Theory of Tonal Music"에서 제안된 이론이다. 노엄 촘스키가 제창한 언어학의 생성 문법과 접목하여 조성을 설명하려 하는 이론이다.

3. 비조성음악



[1] 주로 바로크 음악을 분석할 때에 일어나는 일로, 대(大)대위법 시대에서 벗어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라는 개념이 잡혀있지 않던 초기 바로크 음악이나, 간혹 조성개념이 확실해진 이후에도 선법만이 낼 수있는 특별한 음악적 효과를 기억하는 일부 작곡가들(Ex. 바흐 코랄)이 자신에 악곡 일부•전체에 적용시키기도 한다.(꼭 바로크 시대 한정은 아니다. Ex. Eric satie).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