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20:33:02

여왕의 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75em"
저녁 일일 드라마 (2021~2022)
파일:미스 몬테크리스토 로고.png파일:미스 몬테크리스토.png
(2021)
파일:빨강 구두 로고(P).png파일:빨강 구두 로고(2).png
(2021)
파일:사랑의 꽈배기 로고.png
(2021​~​2022)
일일 드라마 (2022~2025)
파일:황금가면 로고 (B).png파일:황금가면 로고 (G).png
(2022)
파일:태풍의 신부 로고.png파일:태풍의 신부 로고 (W).png
(2022​~​2023)
파일:비밀의 여자 로고 (P).png파일:비밀의 여자 로고 (W).png
(2023)
파일:우아한 제국 로고 (K).png파일:우아한 제국 로고 (W).png
(2023​~​2024)
파일:피도 눈물도 없이(드라마) 로고.png파일:피도 눈물도 없이(드라마) 로고 레드.png
(2024)
파일:스캔들(KBS) 로고.svg파일:스캔들(KBS) 로고 화이트.svg
(2024)
파일:신데렐라 게임 로고 블랙.svg파일:신데렐라 게임 로고 화이트.svg
(2024​~​2025)
파일:여왕의 집 로고 블랙.png파일:여왕의 집 로고 화이트.png
(2025)
둘러보기

2013~20202021~2025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여왕의 집|
파일:여왕의 집 로고 퍼플.png
]]
[ 등장인물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b1aad4,#b1aad4><bgcolor=#675e7d,#675e7d><color=#ffffff,#ffffff><-4> ||
파일:여왕의 집 등장인물 강재인.jpg파일:여왕의 집 등장인물 김도윤.jpg파일:여왕의 집 등장인물 황기찬.jpg파일:여왕의 집 등장인물 강세리.jpg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OST ]
||<tablewidth=100%><tablebgcolor=#675e7d,#675e7d><tablecolor=#ffffff,#ffffff><nopad>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여왕의 집/음악#s-2.1|
Part 1

곡명
]]
[[아티스트|
아티스트
]]
2025. mm. dd.
[[여왕의 집/음악#s-2.2|
Part 2

곡명
]]
[[아티스트|
아티스트
]]
2025. mm. dd.
[[여왕의 집/음악#s-2.3|
Part 3

곡명
]]
[[아티스트|
아티스트
]]
2025. mm. dd.
[[여왕의 집/음악#s-2.4|
Part 4

곡명
]]
[[아티스트|
아티스트
]]
2025. mm. dd.
그 외 삽입곡 및 오리지널 스코어는 음악 문서 참고.
[ 관련 문서 ]
||<tablebgcolor=#675e7d,#675e7d><tablewidth=100%><width=10000> 등장인물 ||<width=50%> 음악 ||
<colbgcolor=#33294c,#33294c><colcolor=#ffffff>
KBS 2TV 일일 드라마
여왕의 집
(2025)
Queen's House
파일:여왕의 집 4인 포스터.jpg
언어별 제목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한국어
]] 여왕의 집
[[영어|
영어
]] Queen's House
[[일본어|
일본어
]]
[[중국어|
중국어
]]
장르 복수, 피카레스크
방송 시간 월 ~ 금 / 오후 07:50 ~ 08:30
방송 기간
방송 예정
2025년 4월 28일 ~ (예정)
방송 횟수 100부작
기획 한국방송공사
제작사 플라잉엔터테인먼트, 아센디오
채널 KBS 2TV
제작진 <colbgcolor=#33294c,#33294c><colcolor=#ffffff> 연출 홍석구, 홍은미[1]
극본 김민주[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3294c,#33294c><colcolor=#ffffff> 기획
제작
촬영
미술
음악 최철호 }}}}}}}}}
출연 함은정, 서준영, 박윤재, 이가령
촬영 기간 2025년 2월 ~
스트리밍
[[Wavve|
Wavve
]]
#!if 링크 != null
[[https://www.wavve.com/player/|▶]]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wavve.com/player/|▶]]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wavve.com/player/|▶]]
#!if 주석2 != null
^^^^
시청 등급 파일:KBS15.png 15세 이상 시청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KBS Drama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KBS 한국방송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2.3. 메이킹2.4. 콘텐츠
3. 기획의도4. 등장인물5. 음악6. 시청률
6.1. 결방 및 편성 변경
7. 평가8. 기타
8.1. 드라마 관련8.2. 인물 관련8.3. 제작진 관련

1. 개요

나는 다시 여왕이 될 것이다
너희가 빼앗은 그 자리에서

완벽한 삶을 송두리째 빼앗긴 여자의 치열한 인생 탈환 복수극!
상위 1%의 여자가 밑바닥에서 다시 피어나 진짜 ‘집’을 찾아간다.
삶의 본질을 되찾기 위해 끝까지 싸워가는 뜨거운 인간 이야기
2025년 4월 28일부터 〈신데렐라 게임〉의 후속으로 방영 예정인 KBS 2TV 일일 드라마.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 1차 티저 ▲ 2차 티저
▲ 제작발표회 ▲ 하이라이트

2.2. 포스터

파일:여왕의 집 1인 포스터.jpg 파일:여왕의 집 4인 포스터.jpg
▲ 1인 포스터 ▲ 메인 포스터

2.3. 메이킹

파일:여왕의 집 로고 퍼플.png 메이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회차 제목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대본 리딩 4월 첫 방송! 대본리딩 메이킹👑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 }}} ||

2.4. 콘텐츠

파일:여왕의 집 로고 퍼플.png 콘텐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자체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분류 제목 출연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숏츠 [숏츠] ❤4월 28일 첫 방송! [여왕의 집] 하트네컷❤ 함은정, 서준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기타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분류 매체 제목 출연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분류 파일:로고.svg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3. 기획의도

파일:여왕의 집 기획의도.jpg
“집은 모든 종류의 폭풍으로부터의 피난처이다.”
완전무결한 안식처이자 지상의 천국이었던 ‘집’이 무너지는 순간, 주인공은 깨닫는다.
진정한 집이란 크고 작고, 부하고 가난한 외형이 아닌, 나의 쉴 곳이 되어준 ‘사람’ 그 자체였음을.
이 드라마는 모든 걸 잃고도 다시 일어서는 한 여자의 복수를 통해, 진짜 ‘집’의 의미와 삶의 가치를 묻는다.
파일:여왕의 집 로고 퍼플.png 공식 홈페이지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왕의 집/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여왕의 집/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여왕의 집/등장인물#|]][[여왕의 집/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음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왕의 집/음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여왕의 집/음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여왕의 집/음악#|]][[여왕의 집/음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여왕의 집 로고 퍼플.png OST
<rowcolor=#ffffff> 파트
표지
발매일
곡명 아티스트 링크
Part 1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2025. mm. dd.
<colbgcolor=#f5f5f5,#2d2f34> 곡명 아티스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미발매 트랙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음.

6. 시청률

<rowcolor=#ffffff> 회차 방영일 시청률 회차 방영일 시청률
1 2025.04.28. % 51 2025.07.07. %
2 2025.04.29. % 52 2025.07.08. %
3 2025.04.30. % 53 2025.07.09. %
4 2025.05.01. % 54 2025.07.10. %
5 2025.05.02. % 55 2025.07.11. %
6 2025.05.05. % 56 2025.07.14. %
7 2025.05.06. % 57 2025.07.15. %
8 2025.05.07. % 58 2025.07.16. %
9 2025.05.08. % 59 2025.07.17. %
10 2025.05.09. % 60 2025.07.18. %
11 2025.05.12. % 61 2025.07.21. %
12 2025.05.13. % 62 2025.07.22. %
13 2025.05.14. % 63 2025.07.23. %
14 2025.05.15. % 64 2025.07.24. %
15 2025.05.16. % 65 2025.07.25. %
16 2025.05.19. % 66 2025.07.28. %
17 2025.05.20. % 67 2025.07.29. %
18 2025.05.21. % 68 2025.07.30. %
19 2025.05.22. % 69 2025.07.31. %
20 2025.05.23. % 70 2025.08.01. %
21 2025.05.26. % 71 2025.08.04. %
22 2025.05.27. % 72 2025.08.05. %
23 2025.05.28. % 73 2025.08.06. %
24 2025.05.29. % 74 2025.08.07. %
25 2025.05.30. % 75 2025.08.08. %
26 2025.06.02. % 76 2025.08.11. %
27 2025.06.03. % 77 2025.08.12. %
28 2025.06.04. % 78 2025.08.13. %
29 2025.06.05. % 79 2025.08.14. %
30 2025.06.06. % 80 2025.08.15. %
31 2025.06.09. % 81 2025.08.18. %
32 2025.06.10. % 82 2025.08.19. %
33 2025.06.11. % 83 2025.08.20. %
34 2025.06.12. % 84 2025.08.21. %
35 2025.06.13. % 85 2025.08.22. %
36 2025.06.16. % 86 2025.08.25. %
37 2025.06.17. % 87 2025.08.26. %
38 2025.06.18. % 88 2025.08.27. %
39 2025.06.19. % 89 2025.08.28. %
40 2025.06.20. % 90 2025.08.29. %
41 2025.06.23. % 91 2025.09.01. %
42 2025.06.24. % 92 2025.09.02. %
43 2025.06.25. % 93 2025.09.03. %
44 2025.06.26. % 94 2025.09.04. %
45 2025.06.27. % 95 2025.09.05. %
46 2025.06.30. % 96 2025.09.08. %
47 2025.07.01. % 97 2025.09.09. %
48 2025.07.02. % 98 2025.09.10. %
49 2025.07.03. % 99 2025.09.11. %
50 2025.07.04. % 100 2025.09.12. %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6.1. 결방 및 편성 변경

<rowcolor=#fff> 날짜 사유

7.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8. 기타

8.1. 드라마 관련

  • 전작KBS 2TV 일일 드라마의 시청률과 화제성을 많이 회복했기 때문에 본작에서 더 좋은 시청률을 기록할 지가 관건이다.

8.2. 인물 관련

  • 함은정, 서준영, 박윤재, 이상숙, 박찬환은 연속으로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 함은정과 서준영은 영화 〈실종2〉 이후 7년 6개월 만에 재회한다.[3]
  • 함은정과 이상숙은 〈수지맞은 우리〉 이후 7개월 만에 재회하며, 같은 작품을 차기작으로 택했다. 전작에서 가족 관계는 아니었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모녀 사이로 출연한다.
  • 함은정과 강경헌은 〈KBS 드라마 스페셜 - 그림자 고백〉 이후 1년 5개월 만에 재회한다.
  • 서준영과 이보희는 〈당신뿐이야〉 이후 13년 만에 재회한다.
  • 서준영과 박찬환은 〈천상의 약속〉 이후 8년 11개월 만에 재회한다.
  • 박윤재와 이가령은 〈불굴의 차여사〉 이후 9년 11개월 만에 재회한다.
  • 박윤재와 강성민은 〈비켜라 운명아〉 이후 6년 만에 재회한다. 해당 작품에서도 형제 관계였다.
  • 박윤재와 남경읍은 〈빛나는 로맨스〉 이후 12년 만에 재회한다.
  • 박윤재와 강경헌은 〈불굴의 며느리〉 이후 14년 만에 재회한다.
  • 이가령과 이보희는 〈압구정 백야〉 이후 9년 11개월 만에 재회한다.
  • 이보희와 이상숙은 MBC 11기 공채 탤런트 동기이자 절친 사이로 최근에는 같은 소속사에 둥지를 틀기도 했다. 두 사람은 〈내가 사는 이유〉, 〈수상한 삼형제〉, 〈왕가네 식구들〉, 〈내일도 승리〉, 〈우리 갑순이〉, 〈전생에 웬수들〉, 〈왜그래 풍상씨〉, 〈오케이 광자매〉, 〈빨간풍선〉에서 호흡을 맞췄으며, 이번 작품까지 10번째 만남이다.[4]
  • 이보희와 이상숙, 김애란은 〈수상한 삼형제〉 이후 14년 10개월 만에 재회한다.
  • 이보희와 박찬환은〈욕망의 불꽃〉 이후 14년 1개월 만에 재회한다.
  • 남경읍과 이상숙, 차민지는 〈나쁜사랑〉 이후 4년 11개월 만에 재회한다.
  • 이상숙과 강성민은 〈청담동 스캔들〉 이후 10년 3개월 만에 재회한다.
  • 이상숙과 김현균은 〈태양의 계절〉 이후 5년 5개월 만에 재회한다.
  • 함은정은 〈수지맞은 우리〉 이후 7개월 만에 복귀하며, 〈사랑의 꽈배기〉 이후 3년 만에 KBS 2TV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또한, 〈러블리 호러블리〉 이후 연속으로 KBS 작품에만 출연하고 있으며, 특별출연 및 단막극을 제외하고는 연속으로 일일 드라마에만 출연하고 있다.[5]오늘부터 사랑해〉, 〈사랑의 꽈배기〉에 이어 3번째로 출연하는 KBS 2TV 일일 드라마이며, 1TV 작품까지 포함하면 다섯 번째 KBS 일일극이다. 또한, 한동안 가족극의 여주인공을 맡았다가 본작에서 처음으로 복수극의 여주인공을 맡는다.
  • 서준영은 〈용감무쌍 용수정〉 이후 6개월 만에 복귀하며, 〈천상의 약속〉 이후 8년 11개월 만에 KBS 2TV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또한, 〈금이야 옥이야〉 이후 3연속으로 일일 드라마에만 출연하고 있다.
  • 박윤재는 〈태풍의 신부〉 이후 2년 2개월 만에 복귀하며, 〈이름 없는 여자〉, 〈빨강 구두〉, 〈태풍의 신부〉에 이어 4연속으로 KBS 2TV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그동안 소위 말하는 '본부장님' 혹은 '실장님' 스타일의 선역 남주인공만 연달아 맡았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제대로 된 악역[6]을 맡는다. 공교롭게도 〈태풍의 신부〉에서 악역이었던 강바다 역을 맡았던 걸그룹 출신 오승아와 호흡을 맞췄던 것에 이어 두 번째 걸그룹 출신 함은정과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
  • 이가령은 〈종이달〉 이후 2년 만에 복귀하며, 〈불굴의 차여사〉 이후 9년 11개월 만에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또한, 처음 출연하는 KBS 2TV 일일 드라마로, 〈왜그래 풍상씨〉에 특별출연한 이후 6년 2개월 만에 KBS 작품에 출연하며, 주연으로 출연한 작품 중에서 처음으로 악역을 맡았다.
  • 이보희는 〈빨간풍선〉 이후 2년 2개월 만에 복귀하며, 〈모두 다 쿵따리〉 이후 5년 4개월 만에 출연하는 일일극이다. 또한, 과거에는 KBS 1TV 일일드라마에는 출연했으나, 처음으로 KBS 2TV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 남경읍은 〈돌풍〉 이후 10개월 만에 복귀하며, 〈우아한 제국〉 이후 1년 3개월 만에 KBS 2TV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 이상숙은 〈수지맞은 우리〉 이후 6개월 만에 복귀하며, 연속으로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또한, 〈태양의 계절〉 이후 5년 5개월 만에 KBS 2TV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 박찬환은 〈황금가면〉 이후 2년 6개월 만에 복귀하며, 〈빛나라 은수〉, 〈황금가면〉에 이어 김민주 작가와 2번째로 협업하는 작품이다.
  • 강경헌은 〈KBS 드라마 스페셜 - 그림자 고백〉 이후 1년 5개월 만에 복귀하며, 〈오! 삼광빌라!〉에 이어 홍석구 PD와 2번째로 협업한다. 처음으로 KBS 2TV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 김애란은 〈조선변호사〉 이후 1년 11개월 만에 복귀하며, 〈태풍의 신부〉 이후 2년 1개월 만에 KBS 2TV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 김현균은 〈태양의 계절〉 이후 5년 5개월 만에 복귀하는 작품이자 KBS 2TV 일일 드라마이다.
  • 강성민은 〈미녀와 순정남〉 이후 7개월 만에 복귀하며, 〈힘내요, 미스터 김!〉, 〈미녀와 순정남〉에 이어 홍석구 PD와 3번째로 협업한다. 또한, 〈위험한 약속〉 이후 4년 8개월 만에 KBS 2TV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 차민지는 〈블랙의 신부〉 이후 2년 9개월 만에 복귀하며, 〈빛나라 은수〉에 이어 김민주 작가와 2번째로 협업한다. 또한, 처음으로 KBS 2TV 일일 드라마에 출연한다.

8.3. 제작진 관련



[1]학교 2021〉, 〈순정복서〉, 〈미녀와 순정남〉을 공동 연출. 〈KBS 드라마 스페셜 - 고백하지 않는 이유〉, 〈KBS 드라마 스페셜 - 모단걸〉을 연출.[2]빛나라 은수〉, 〈내일도 맑음〉, 〈황금가면〉 등을 집필.[3] 함은정은 서준영의 전전작인 〈금이야 옥이야〉에서 드라마에 직접 출연하지는 않았지만 OST 메인 타이틀곡 '두근두근 때론 콩닥콩닥'에 참여하기도 했다.[4] 두 배우는 주로 문영남 작가의 작품에 동반 출연한 적이 많았다.[5] KBS 1TV 일일극 〈속아도 꿈결〉 이후에는 KBS 2TV 일일극 〈사랑의 꽈배기〉를 차기작으로 택했는데, 이번에도 〈수지맞은 우리〉 이후 차기작으로 KBS 2TV 일일극을 택했다.[6] 〈태풍의 신부〉에서 후반부에 잠시 악역이 되는 역할을 맡은 적은 있지만 이마저도 제대로 된 악역이라 보기는 애매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