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01:15:30

부여자신

여자신에서 넘어옴
성씨 부여
이름 자신 (自信), 자진 (自進)
관직 달솔 → 좌평[1]
대금하 (大錦下)[2]
생몰년도 미상
국적 백제일본

1. 개요2. 생애3. 기타

1. 개요

백제의 왕족[3]이자 일본으로 망명한 백제 유민. 기록상으로는 성씨를 '여씨'로 축약 표기한 '여자신(余自信)' 또는 '여자진(餘自進)'으로 기록되어 있다. 귀실복신, 도침, 흑치상지백제부흥운동의 주요 인사였다.

2. 생애

660년, 백제가 멸망할 무렵에 당시 관등은 달솔이었다. 백제 구마노리성(久麻怒利城) 혹은 도도기류산(都都岐留山)[4]에서 거병했다. 백제의 패잔병들을 규합하고, 신라군을 격파하여 백제 사람들은 그를 귀실복신과 함께 '좌평(佐平)'으로 높여 불렀다고 한다.

663년, 백강 전투에서 백제+왜 연합군이 패퇴하자, 동년 9월 24일에 부여자신은 일본 수군과 함께 탈출해 궁례성[5]에 이르렀다. 이후 다음날인 9월 25일에 출발하여 달솔 목소귀자, 곡나진수, 억례복류 등과 함께 일본 열도로 망명했다.

669년, 부여자신은 귀실집사 등 백제 유민 700명과 함께 일본 칸자키군(神崎郡)의 서남쪽에 옮겨 살게 되었다.

671년 정월, 사택소명(沙宅紹明)과 함께 종4위 대금하(大錦下)의 관직을 제수받고 법관대보로 임명되었다.

《신찬성씨록》에 따르면 '타카노노 미야츠코(高野造)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6]

3. 기타

  • 백제 부여씨 왕족 출신이나 그가 활동했던 시기인 의자왕, 부여풍과의 관계는 알 수 없다. 다만 왕족이었음에도 일본에 있는 부여풍을 부흥군이 국왕으로 추대한 정황으로 미뤄보면, 직계 왕족이 아닌 방계 왕족 출신으로 추정된다. 부여풍이 고구려로 달아난 이후에도 그가 아닌 부여선광에게 쿠다라노코니키시씨(百濟王氏), 즉 백제의 왕(건길지)이란 성을 내렸다는 일본 측 기록을 보면 부여자신은 의자왕 직계는 아닌 것으로 보이며 특히 《신찬성씨록》에 따르면 25대 무령왕의 아들인 순타태자의 후손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게 맞다면 31대 의자왕 대에는 당연히 이미 방계 중의 방계였다고 볼 수 있다.
  •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는 여자진(부여자신)을 도침으로 비정하는 설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도침은 명백히 귀실복신에 의해 살해되었는데 부여자신은 백제부흥운동 이후에도 살아남아 일본에서 활동한 기록이 있으므로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다.


[1] 660년 백제 멸망 이후 좌평을 자칭했거나, 백제부흥군 내에서 좌평으로 임명되었던 걸로 추정된다.[2] 671년 일본 조정에서 하사받은 관직.[3] 《신찬성씨록》에 따르면 간무 덴노의 생모 타카노노 니이가사의 조상인 순타태자의 후손으로 추정된다.[4] 각각 웅진성, 주류성으로 비정된다. 다만 백제부흥군이 웅진성, 사비성 탈환에 실패한 것을 비추어 볼 때, 웅진성 '부근'에서 활동했다고 봐야할 듯.[5] 지명 미상. 다만 여기서 출발해 일본으로 망명한 점을 미뤄보면 백제 서남해안 지역 중 어딘가로 추정된다.[6] 右京 諸蕃 百濟 高野 造 百濟國人佐平余自信之後也. 타카노노 니이가사와 '우지(氏)'는 '타카노(高野)'로 같은데 '카바네(姓)'가 '미야츠코(造)'로 다르다. 니이가사 가문의 경우 카바네가 '아손(朝臣)'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