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성 이름
대한민국에서 많이 쓰이는 여성 이름 중 하나.광복 당시 여성 이름 순위 1위였고, 1940년대부터 1950년대 중반에 출생한 여성 이름 순위에서 꾸준히 10위 안에 들 정도로 많이 쓰였고, 1960년대 중반까지도 여전히 많이 쓰였다. 하지만 1960년대 후반 출생자부터 흔하지 않게 되다가 1975년 전후 출생자부터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1] 현재는 이 이름을 쓰는 사람은 사실상 최소 50대 이상일 정도로 아기 이름은 물론 그 이름 자체가 촌스러운 편이다. 물론 개그우먼 이영자[2] 탓인지 신세대에게도 ~자 이름 중에서는 비교적 존재한다.
1975년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 때문에 엄청나게 유명한 이름이 되었다.
일본에서 유래된 이름으로서 일본어 발음으로는 에이코(英子), 레이코가 된다.
1.1. 관련 동명이인
1.1.1. 실존 인물
- 김영자 - 한국의 시인
- 무영자 - 한국의 판타지 소설 작가
- 이영자[3] - 한국의 개그우먼
- 이영자 - 산골 소녀 영자 사건 문서로.
- 장영자 - 한국의 범죄자
- 조안 리 - 한국의 기업인. 본명은 이영자.
1.1.2. 가상 인물
2. 운영자의 줄임말
營者인터넷 상에서 게임 운영자, 게시판 지기, 인터넷 방송 플랫폼 운영자 등을 줄여 부르는 말이다. 비하할 목적으로 많이 쓰인다.
'영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최고운영자뿐 아니라 게시판 관리자, 온라인 게임 GM 등도 다 해당된다. 특히 온라인 게임에서는 플레이어들이 게임 개발자와 게임 운영자를 동일인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3. 창세기전 3: 파트 2와 블리치의 등장 개념
Spiritual Element자세한 내용은 영자(창세기전 3: 파트 2) 항목으로, 블리치의 경우 퀸시(블리치) 항목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