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1:58:55

오! 수재너

오 수재너에서 넘어옴

1. 개요2. 상세3. 가사
3.1. 원본 가사3.2. 한국어 가사3.3. 북한 문화어
4. 그 외

1. 개요

오리지널 가사[1]
한국어 가사
오리지널 가사+한국어 자막
Oh! Susanna

1847년 스티븐 포스터에 의해 작사, 작곡된 노래다. '수재너'는 영어권의 여자 이름인 '수산나'를 의미하며, 수산나의 애칭이 수잔이다. 일설에 따르면 수재너는 포스터의 사별한 누나인 샬럿(Charlotte)을 가리킨다고 한다.

곡조는 G장조 2분의 2박자, Allegretto의 빠르기로 노래한다.

2. 상세

밴조라는 악기를 가지고 앨라배마를 출발한 젊은이인 주인공이 지루하고 고된 여행 속에서 루이지애나에서 자신을 기다리는 여인을 그리워하는 순애보에 대해 노래하는 곡으로, 흥겨운 폴카 리듬과 아름다운 가사로 골드러시 당시 노다지를 찾아 캘리포니아로 향한 젊은층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으며 세계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누리고 있다. 노래의 흥행과는 별개로 당시에는 저작권에 대한 개념이 미비했던 터라 스티븐 포스터가 벌어들인 수익은 미미했다고 전해지며, 그와는 별개로 포스터는 악보가 팔리는 대로 인세를 챙겨 미국 최초의 전업 작곡가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3. 가사

3.1. 원본 가사

1절
I come from Alabama
앨라배마에서 왔네
With my banjo on my knee
무릎에 밴조를 얹고
I'm going to Louisiana
내가 사랑하는 이를 만나러
My true love for to see
루이지애나로 건너간다네
It rained all night the day I left
나 떠난 날 밤새 비가 왔지만
The weather it was dry[2]
날은 건조했지
The sun so hot I froze to death[3]
태양은 뜨겁지만 얼어죽도록 추웠네
Susanna don't you cry
수재너, 울지 말아요
Oh! Susanna,
오! 수재너,
Don't you cry for me.
날 그리며 울지 말아요
I come from Alabama,
내가 밴조를 메고서
With my banjo on my knee.
앨라배마에서 돌아왔으니
2절
I jumped aboard of a telegraph[4]
전보에 올라타서
and travelled down the river
난 강을 건넜지
The electric fluid magnified,[5]
강물에 전기가 통해서
and killed five hundred nigger
검둥이 오백 명이 죽었네
The bullgine[6] bust and the boat caught fire,
증기 엔진이 터져서 보트에 불까지 붙으니
I really thought I'd die
난 죽겠구나 생각했지
I shut my eyes to hold my breath,
눈을 감고 숨을 참았네
Susannah don't you cry.
수재너, 울지 말아요
Oh! Susanna,
오! 수재너,
Don't you cry for me.
날 그리며 울지 말아요
For I come from Alabama,
앨라배마에서, 밴조를 메고서
with a banjo on my knee.
내가 돌아왔으니
3절
I had a dream the other night,
죽은 듯이 조용한 어느 밤에
when everything was still
나는 꿈을 꾸었네
I thought I saw Susannah dear,
저 언덕을 달려서
a-comin' down the hill,
수재너가 오고 있었지
A buckwheat cake was in her mouth,
입에는 메밀 빵을 물고
a tear was in her eye,
눈에는 눈물이 가득했네
I said, I'm comin' from the South,
난 말했지, "내가 남쪽에서 올라가고 있으니
Susannah don't you cry.
울지 말아요, 수재너!"
Oh! Susanna,
오! 수재너,
Don't you cry for me.
날 그리며 울지 말아요
For I come from Alabama,
내가 밴조를 퉁기면서
with a banjo on my knee.
앨라배마에서 돌아왔으니
4절
I soon will be in New Orleans,
뉴올리언스에 도착하면
and den I'll look all 'round,
사방팔방 둘러봐야지
And when I find Susanna,
그래서 수재너를 찾으면
I'll fall upon de ground.
땅바닥에 엎어지겠네
But if I do not find her,
그러나 찾지 못한다면
dis darkie'll surely die,
난 분명 그 자리에서 죽겠지
And when I'm dead and buried,
내가 죽어서 무덤에 들어간대도
Susanna, don't you cry.
수재너, 울지 말아요
Oh! Susanna,
오! 수재너,
Don't you cry for me.
날 그리며 울지 말아요
For I come from Alabama,
내가 밴조 한 대를 가지고
with a banjo on my knee.
앨라배마로 돌아가고 있으니
흔히 잘 알려진 가사는 1절뿐이며, 2절의 경우 "전보(a telegraph)를 타고[7] 강을 건너던 중 전기유체가 흘러 깜둥이 오백명이 죽임 당했다" 같은 인종차별적인 내용이 들어있어 현재 거의 부르지 않는다. 다만 이것만 갖고 포스터가 인종차별주의자였는지는 알 수 없다. 포스터는 당시 유명한 작곡가였지만 정작 자신의 악보에 이름은 남기지 않았는데 이는 포스터가 자신의 작품을 부끄럽게 여겼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기 때문이다.#

3.2. 한국어 가사

  • 역사(譯詞) 미상
멀고 먼 앨라배마 나의 고향은 그 곳
밴조를 메고 나는 너를 찾아왔노라
떠나온 고향 하늘가에 구름은 일어
비끼는 저녁 햇살 그윽하게 비치네
오 수재너여 노래 부르자[8]
멀고 먼 앨라배마 나의 고향은 그 곳

3.3. 북한 문화어



청봉악단이 재즈 느낌의 《오! 쑤잔나》로 편곡, 번안하여 노래했다. 번안된 가사는 “(1절)멀고 먼 앨러배머 나의 고향은 그곳... (2절)사위가 번영할제 나는 꿈을 꾸었네...“이다. 한국어 번안 가사와 거의 일치한다.

4. 그 외


[1] 인종차별적인 내용인 2절이 포함되어있다.[2] 밤새도록 비가 왔지만 건조했다는 것은 밤새도록 눈물을 흘렸다는 것을 뜻한다.[3] 태양이 뜨거웠지만 얼어죽을 것 같았다는 뜻은 사랑의 부재를 뜻한다.[4] telegraph는 전보, 전신기를 뜻하는데, 이는 흑인이 전보와 증기선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가사 뒤에도 증기기관이나 보트라는 단어를 써서 증기선이라는걸 알려주고 있다. 일종의 인종차별.[5] 본래 뜻은 전기 유체를 뜻하나 급류라는 해석도 존재한다.[6] bull과 engine의 합성어로, 증기기관을 뜻한다.[7] 전술했듯이 흑인이 전보와 증기선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인종차별이다.[8] 이 가사는 판본에 따라 '오 수재너 이 노래 부르자'라고도 한다.[9] 번안 버젼이 아닌 원래의 영어 버젼으로 등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