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오버워치 2
관련 문서: 오버워치/경쟁전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333e48>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5px -11px" | <colbgcolor=#ef6414><colcolor=#fff> | <colcolor=#000,#fff> 일반전 · 경쟁전 · 아케이드 · 영웅 연마 · 기다리는 동안 사용자 지정 게임 · 임무 · 전투 훈련 |
영웅 · 조합 · 스킨 · 전장 · 효과 · 배틀 패스 최고의 플레이 · 업적 & 도전과제 · 의사 소통 & 핑 | ||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 오버워치 월드컵 | ||
기타 | 용어 · 이벤트 · 패치 노트 · 플랫폼 별 특징 평가 · 논란 및 사건 사고 · 팀당 인원 수 논쟁(5대5/6대6) | }}}}}}}}} |
||<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 align=center><bgcolor=#059EFC><width=25%><height=150px><-3> [[오버워치 2/일반전|일반전]] ||<bgcolor=#E83C6A><width=25%><-3> [[오버워치 2/경쟁전|경쟁전]] ||<bgcolor=#00BD00><width=25%><-3> [[오버워치 2/아케이드|아케이드]] ||<bgcolor=#657EFF><width=25%><-3> [[영웅 연마|영웅 연마]] ||
[[오버워치 2/시스템#사용자 지정 게임|사용자 지정 게임]] | [[오버워치 2/임무|임무]] | [[오버워치 2/시스템#전투 훈련|전투 훈련]]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기다리는 동안 | }}} |
1. 개요
경쟁전 Competitive | 다른 플레이어와 경쟁하고 등급을 올리세요. Compete against other players and work your way up the ranks. ※ 인 게임 메뉴 화면에서 '경쟁전' 탭의 설명. |
오버워치 2의 모드 중 하나로, 랭킹 시스템이 적용되는 등급전 모드이다. 2022년 10월 5일 오버워치 2 출시일 당일부터 1시즌이 시작되었다. 각 시즌은 전작과 같이 약 2달(9주)동안 진행된다.
경쟁전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일반전에서 50승을 달성해야 한다. 단, 오버워치 1에서 25레벨을 달성하여 경쟁전 참여 자격을 받은 사람은 바로 할 수 있다.
각 역할별로 10회의 배치 경기를 완료하면 실력 등급이 주어진다. 배치 경기는 경쟁전이 개편된 이후 처음 하거나 이전 시즌 내내 특정 역할군을 플레이하지 않은 경우 치러야 한다. 이후에는 매 판을 완료할 때마다 승패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실력 등급 진행도가 변동한다. 게임 승리 또는 무승부 시 각각 10, 5 경쟁전 포인트가 지급되며, 이외에도 경쟁전 포인트 진행도가 별도로 존재하여, 승리 시 3, 패배 시 1씩 증가하고 30을 채울 때마다 100 포인트를 지급한다. 경쟁전 포인트는 3000개를 모을 시 황금, 비취 등 무기 색상을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시즌을 마무리할 때 골드 이상 티어를 달성한 경우, 역할군마다 도전자 칭호가 부여된다. 단, 그 역할군에서 10판 이상 플레이해야 한다.
8시즌까지는 경쟁전을 15회 승리하면 보상 자격이 주어지며, 최종 티어에 따라 무기 색상을 구매하는 데 쓰이는 경쟁전 포인트와 시즌 한정 칭호 보상을 얻을 수 있었다. 현재는 티어에 따른 포인트 차등은 없어졌고, 경쟁전을 더 많이 한 사람이 포인트를 많이 챙길 수 있도록 개편되었다.
그룹을 맺어 플레이할 수 있다. 티어간의 그룹 제한은 없으며, 넓은 4인 그룹을 제외한 모든 인원으로 플레이 가능하다. 대신 그룹원 간의 티어 차이가 크다면 '넓은 그룹'으로 분류되어 매칭이 크게 느려진다.
2. 전장별 게임 방법
2.1. 호위
- 부분 미터제로 승패를 가린다.
- 1팀[1]이 2라운드에 공격하며 2팀[2]이 1라운드에 공격한다.
- 경유지를 지날 때마다 팀의 공격 시간이 추가되며, 목적지까지 도달 시 남은 시간을 기록한 채로 공수교대가 된다. 만약, 도달하지 못했다면 확보한 거리를 기록한다.
- 2팀이 완주하지 못했을 시
- 1팀은 2팀이 확보한 거리를 넘어서면 승리한다.
- 정지 지점, 우연의 일치 등으로 1팀과 2팀이 확보한 거리가 동일하다면 무승부로 종료된다.
- 1팀의 거리가 2팀에 미치지 못하면 2팀이 승리한다.
- 2팀이 완주했을 시
- 1팀이 완주하지 못하면 2팀이 승리한다.
- 1팀이 완주하면 연장전으로 넘어간다.
- 연장전
- 두 팀이 모두 2분 이상을 남겼다면, 더 늦게 완주한 팀의 남은 시간을 2분으로 깎고, 다른 팀도 같은 양만큼 깎는다.
- 최소 한 팀이 1분 미만으로 남겼다면 더 늦게 완주한 팀의 남은 시간을 1분으로 연장하고, 다른 팀도 같은 양만큼 연장한다.
- 더 늦게 완주한 팀부터 연장전 공격을 시작한다. 승패조건은 정규 라운드와 동일.
- 경유지를 지나도 시간이 추가되지 않는다.
2.2. 혼합
- 부분 미터제로 승패를 가린다.
- 1팀이 2라운드에 공격하며 2팀이 1라운드에 공격한다.
- 거점을 점령하거나 경유지를 지날 때마다 팀의 공격 시간이 추가되며, 목적지까지 도달 시 남은 시간을 기록한 채로 공수교대가 된다. 만약, 점령조차 못했다면 확보한 거점 점령도를 기록하고, 점령은 했으나 완주를 못했다면 확보한 거리를 기록한다.
- 2팀이 완주하지 못했을 시
- 거점 확보에 실패했을 경우
- 33.3% 미만은 기록하지 않으며, 해당 점령도를 확보하지 못하면 2팀은 승리가 불가능하다.[3] 이 경우 1팀은 33.3% 이상 기록 시 바로 승리로 끝난다. 실패 시 무승부로 종료된다.
- 2팀이 33.3% 이상 기록하면 1팀은 해당 점령도를 추월해야 승리한다. 실패 시 2팀이 승리한다.
- 거점 확보에 성공했을 경우
- 1팀은 2팀이 확보한 거리를 넘어서면 승리한다
- 1팀이 2팀의 기록을 넘지 못하면 2팀이 승리한다.
- 단, 2팀이 화물을 전혀 밀지 못했거나 정지 지점까지만 밀었을 경우, 해당 거리까지 1팀이 민 채로 시간이 초과되면 무승부로 종료된다.
- 2팀이 완주했을 시
- 1팀이 완주하지 못하면 2팀이 승리한다.
- 1팀이 완주하면 연장전으로 넘어간다.
- 연장전
- 두 팀이 모두 2분 이상을 남겼다면, 더 늦게 완주한 팀의 남은 시간을 2분으로 깎고, 다른 팀도 같은 양만큼 깎는다.
- 최소 한 팀이 1분 미만으로 남겼다면 더 늦게 완주한 팀의 남은 시간을 1분으로 연장하고, 다른 팀도 같은 양만큼 연장한다.
- 한 팀이 추가시간에 완주했고, 다른 팀이 1분 넘게 남기고 완주했다면 추가시간에 완주한 팀은 공격 기회가 없어 승리가 불가능하다.
- 공격 기회가 있는 팀 중 더 늦게 완주한 팀부터 연장전 공격을 시작한다. 승패조건은 정규 라운드와 동일. 한 팀만 기회가 주어졌을 시엔 수비팀이 거점을 33.3%도 확보하지 못한 채 점령 실패한 경우를 따른다.
- 거점을 점령하거나 경유지를 지나도 시간이 추가되지 않는다.
2.3. 쟁탈
- 3판 2선승제이다.
- 1팀이 장외구역 기준으로 좌측, 2팀이 우측에서 출발한다.
- 가운데 거점은 바로 점령이 불가능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야 점령이 가능하다.
- 먼저 점령도 100%를 달성한 팀이 라운드에서 승리한다.
2.4. 밀기
- 부분 미터제로 승패를 가린다.
- 1팀이 장외구역 기준으로 좌측, 2팀이 우측에서 출발한다.
- 로봇은 바로 확보가 불가능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야 운반이 가능하다.
- 상대 진영까지 바리케이드를 밀거나, 제한 시간 내 더 멀리 민 팀이 승리한다.
- 양 팀 다 단 1cm도 움직이지 못하거나 정지 지점까지만 밀면 무승부로 종료된다.
2.5. 플래시포인트
- 맵에는 거점이 총 5개 존재한다.
- 첫 거점은 활성화되기 까지 30초, 다음 거점은 40초가 소요된다. 거점은 한 번에 하나만 활성화된다.
- 처음에는 맵 중앙에 있는 거점이 고정적으로 활성화된다.
- 먼저 점령도 100%를 달성한 팀이 1점을 얻으며, 한쪽 팀이 점수를 얻으면 다음 새로운 거점이 열린다. 이때 거점은 점수를 얻지 못한 팀에게 더 가깝게 열린다.
- 3점을 먼저 획득한 팀이 승리한다.
2.6. 격돌
- A에서 E까지 5가지 거점이 일렬로 존재한다. 1팀- A - B - C - D - E - 2팀 구조로 되어있다.
- 매 거점 활성화까지 25초가 소요된다. 거점은 한 번에 하나만 활성화된다.
- 처음에는 중앙의 C 거점 부터 활성화되며 거점 점령에 성공하면 자신의 팀보다 멀리있는 다음 거점이, 점령에 실패하면 자신의 팀에 가까운 다음 거점이 활성화된다.
- 거점 점령에 성공할 때마다 1점을 획득할 수 있으며, 자신의 팀에 가장 멀리 있는 거점을 점령할 때는 점령도에 따라 최대 3점을 획득할 수 있다.
- 5점을 먼저 획득한 팀이 승리한다.
3. 역할 고정 경쟁전
오버워치 2의 대표 경쟁전 모드로 미리 역할을 정하고 시작하며 돌격 1명, 공격 2명, 지원 2명으로 역할이 고정된다. 줄여서 '역고'라고 불린다.역할 고정에서는 돌격 영웅의 기본 생명력이 150 증가한다. 프로 대회에서는 역할 고정 룰을 따른다. 이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정확하고 실질적인 게임 실력 지표로 활용되는 모드이다.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것이 목적이라면 역할 고정, 자유 중 어느 쪽을 플레이하든 상관 없지만, 프로 지망이거나 실력을 인정 받고 싶다면 역할 고정 경쟁전이 우선시된다. 각종 밸런스 패치도 역할 고정 모드에 맞추어 이루어진다.
역할별로 티어와 진척도가 구분된다. 경쟁전 보상은 어느 역할로 플레이하든 받을 수 있으며, 티어에 따른 칭호도 역할별로 받을 수 있다.
돌격군의 기피 현상이 두드러지는 모드이다. 돌격 영웅이 기대할 수 있는 모든 역할을 한 명이 모두 맡아야 되는 만큼 가장 부담되고, 힘들고, 팀원들의 정치를 당하기 쉬운 환경이기 때문이다. 다른 역할 보다 체급 자체가 높고 대체할 수 없기 때문에 힐러나 딜러 하나 보다 탱커 하나의 영향력이 훨씬 더 클 수 밖에 없다.[4] 높은 수준의 전략과 판단력을 요구하고, 대체할 수 없으며, 게임의 전반적 영향력은 높지만 그만큼 팀원들의 정치를 당하기 쉽다는 점에서 역할 고정의 탱커는 리그 오브 레전드로 따지면 정글러와 비슷한 포지션이다.
3.1. 경쟁전 드라이브
역할 고정 모드에만 진행되는 한정 이벤트로 시즌 막바지에 열리며, 경쟁전을 플레이해 진척도를 올려 대량의 경쟁전 포인트와 '시그니처'라는 특별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12 시즌에 처음 도입되었다.
시그니처는 자신의 배틀 태그를 꾸며주는 치장 요소로 프로필, 초상화, 점수판, 하이라이트 인트로 등 자신의 배틀 태그가 노출되는 대부분의 화면에 적용된다.
드라이브 진척도는 승패에 따라 달라진다. 승리 시 올라간 랭크 진척도에 10배를 올려주며, 패배시 내려간 랭크 진척도의 5배를 깎는다.[5] 대신 한 번 달성한 체크포인트는 저장되며 그 이상 내려가지 않는다. 배치 경기 중에는 드라이브 진척도를 올릴 수 없다.
4. 자유 경쟁전
역할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조합을 구성할 수 있는 모드. 줄여서 '자경'이라 불린다.역할 고정에 비해 생명력이 줄지만, 스킬의 성능은 동일하기에 역고와 반대로 돌격 영웅의 강세와 선호가 두드러지는 모드이다. 또한 시간이 갈 수록 역할 고정에서 돌격군이 부담은 크게 느끼지만 그만한 캐리력은 없는 고립된 포지션이 되어 고정 경쟁에서 흑화한 탱유저들이 자유 경쟁으로 많이 이주했다. 다탱으로 힐밴이나 해킹같은 상태이상을 돌아가면서 맞아주면 버틸수 있기 때문에 CC기의 영향력을 줄이고, 메르시[6] 같은 변수창출 능력이 없는 힐러에게도 호재이다.
딜러 패시브로 치유 감소가 생긴 직후엔 그나마 2탱 1딜 2힐 조합이 쓰이기도 하였으나 10시즌 중간에 적용된 탱커 전부를 강화한 패치 때문에 승리를 위해선 3탱 2힐이 필수가 됐다. 극단적으로는 4탱 1힐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경우 힐러는 다중힐이 되고 힐량도 높은 모이라가 반 고정이며 탱커중에서도 로드호그, 마우가 등 유지력이 어느정도 받쳐주는 탱커를 섞는편이 좋다.
프로 게임 룰을 따르는 역할 고정과 달리, 자유 경쟁전은 그 특수한 룰 때문에 티어와 주 역할이 무관하게 실력을 인정받기 어렵다. 아무리 자경에선 랭커, 그마여도 역고의 티어가 낮다면 프로를 지망할 수 없다. 이는 리그 오브 레전드로 따지면 솔랭과 자랭의 관계와 비슷하다. 그래도 엄연히 경쟁전이라 참여에 따른 보상은 얻을 수 있다.
5. 아케이드 경쟁전
- 깃발 뺏기 경쟁전
아케이드의 깃발 뺏기 모드이다.
2시즌에 열렸다. - 1시즌: 2023년 1월 11일 ~ 2023년 2월 8일
- 수수께끼의 영웅 경쟁전
일반전의 수수께끼의 영웅 모드를 경쟁전 규칙으로 플레이한다.
3시즌, 5시즌, 6시즌에 열렸다. - 1시즌: 2023년 3월 15일 ~ 2023년 4월 12일
- 2시즌: 2023년 6월 14일 ~ 2023년 8월 11일
- 3시즌: 2023년 8월 12일 ~
- 데스매치 경쟁전
일반전의 데스매치 모드이다.
4시즌에 열렸다. - 1시즌: 2023년 5월 17일 ~ 2023년 6월 14일
- 팀 경쟁전
실력 등급과 관계 없이 그룹을 맺을 수 있고, 5명이 그룹을 맺어야만 플레이할 수 있다.
5시즌에 열렸다. - 1시즌: 2023년 7월 12일 ~ 2023년 8월 11일
6. 실력 등급(티어)
브론즈부터 챔피언까지 8개의 실력 등급이 존재하며, 각 실력 등급별로 5개의 세부 등급이 존재한다. 세부 등급은 가장 낮은 5등급부터 가장 높은 1등급까지 있다.오버워치 2 경쟁전 등급 | |
<colcolor=white> 브론즈 (5 - 1) | 세부 등급 5등급 초과 시 넓은 그룹 |
실버 (5 - 1) | |
골드 (5 - 1) | |
플래티넘 (5 - 1) | |
다이아몬드 (5 - 1) | |
마스터 (5 - 1) | 세부 등급 3등급 초과 시 넓은 그룹 |
그랜드마스터 (5 - 1) | 모든 그룹이 넓은 그룹 |
챔피언 (5 - 1) | |
상위 500위 | 내 지역 상위 500위 플레이어 |
다음은 12 시즌 기준 역할 고정 경쟁전 티어 분포도이다.
9시즌 티어 하향 평준화가 이루어진 이후, 다이아몬드 이상 부터는 상위 12% 이내의 실력자가 입성하는 티어가 되었다.
챔피언은 그 수가 극도로 적어 백분율을 매기기 어렵다. 0.1%로 표시되었지만 이는 과장된 것으로, 실제론 소숫점 두자리수 이하로 추정된다.
등급이 5단계나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특정 티어의 1티어와 5티어 간의 실력 차이가 굉장히 큰 편이다. 예를 들어 플래티넘 5는 상위 약 40%, 플래티넘 1는 상위 약 12% 대로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6.1. 브론즈
- 상위 약 100%~95%의 최하위 티어이다. 유저가 적은 편에 속한다.
- 피지컬은 부족하고 게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또한 부족한 편이다.
6.2. 실버
- 상위 약 95% ~ 75%에 해당하는 오버워치의 하위 티어이다.
- 보통 초보자가 첫 배치고사를 보면 실버에 많이 배정 받는다.
- 브론즈에 비해 나아졌지만 아직까지는 전체적인 게임 숙련도가 미숙한 편에 속한다.
6.3. 골드
- 상위 약 75% ~ 40% 에 해당하는 중간 티어이고, 유저가 가장 많은 티어이다.
- 플래티넘과 함께 가장 평균적인 실력대를 지닌 티어이다.
6.4. 플래티넘
- 상위 약 40% ~ 12%에 해당하는 중상위 티어이다.
- 유저가 골드 다음으로 많다.
6.5. 다이아몬드
- 상위 약 12% ~ 2%에 해당하는 숙련자들이 입성하는 티어이다.
- 유저 수가 확 줄어든다.
6.6. 마스터
- 상위 2% 이내의 천상계이고, 9시즌을 기준으로 소프트 리셋이 되어 상당한 실력자들이 모여 있는 구간이다.
- 대체로 마스터 상위권 부터 상위 500위에 들기 시작하며, 때때로 유명 스트리머나 전·현직 프로를 만날 수도 있다.
6.7. 그랜드마스터
- 상위 0.3% 미만의 극천상계로, 대부분의 프로와 유명 스트리머들이 즐비해 있는 구간이다.
- 9시즌 전까지는 최상위 티어였으며, 챔피언이라는 상위 티어가 있는 현재도 사실상 최상위 티어로 취급된다.
6.8. 챔피언
티어 인플레 등 복합적인 이유로 상위권 사람들이 죄다 그랜드마스터에 몰리게 되면서 티어 분별력이 없어지자 9시즌 업데이트로 새로 추가 된 티어로, 오버워치에서 제일 높은 최상위 티어이다.
이 티어에 도달하기 위해선 엄청나게 많은 승리를 거둬야 하며, 9시즌에 티어가 초기화되고 전체적인 티어 가치가 극도로 상향되면서 프로게이머조차 달성하기 힘든 등급이다.
12시즌 아시아 서버 기준 챔피언을 달성한 인원은 돌격 12명, 공격 21명, 지원 17명으로 다 합쳐도 50명 밖에 안 된다. 자유 경쟁전 챔피언은 5명 뿐이다. 인원수와 비율로 따지면 그 내로라 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챌린저보다 훨씬 달성하기 어렵다.
티어 분별력을 위해 추가된 티어이지만 9시즌 이후 티어 초기화 및 보정이 너무 강하게 들어가서 챔피언을 달성하는 사람은 극소수이기 때문에 다른 의미로 유명무실한 티어이다. 현재 챔피언 1은 전작으로 따지면 경쟁전 5000점에 해당하는 위치이다.[7] 따라서 그랜드마스터가 사실상 최상위 티어 역할을 유지하고 있다.
결국 블리자드도 이 문제를 인지해 12 시즌 부터는 시스템을 재조정해 마스터 이상의 티어 인원수를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6.9. 상위 500위
소위 랭커. 해당 지역(아시아, 아메리카, 유럽)마다 1위부터 500위까지 역할별로 가장 높은 등급을 받은 플레이어에게 주어지는 명예로운 자리이며, 모두가 공개적으로 볼 수 있는 순위표에 닉네임이 등재된다.
정확히 말하면 티어가 아닌 '상태'로, 내 서버와 플랫폼에 따른 상대적인 구간이기 때문에 다이아몬드[8]만 달성해도 입성할 수도, 최상위 티어까지 등반해야 겨우 입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입성 자격을 만족하려면 블리자드 SMS(전화번호)인증을 완료하고 해당 시즌 경쟁전에서 25승을 달성해야 한다. 13 시즌 부터는 부계정과 부정행위자가 랭커에 등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경쟁전 모드에서 누적 750승 이상을 달성해야 된다. 이 때문에 티어가 충분히 높더라도 이러한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랭커에 등재되지 않는다.
돌격 역할은 상대적으로 인원수가 적어 공격, 지원 역할 보다 전체적인 티어가 2단계 정도 낮다.
전체 순위는 역할 고정 모드의 각 역할의 평균 티어 순위표이다. 역할별로 전부 25승 이상 달성해야 하기에 등재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이름은 상위 500위지만 실제론 시즌 마감 때 역할별로 500위보다 적은 인원이 등재되는데 이는 불법 프로그램, 어뷰징, 대리, 욕설, 아군 방해 및 게임 불참 등 부정 행위가 적발되어 계정이 제재당하면 순위표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외된 순위표는 새로 채워지지 않고 그대로 공석이 된다. 불법 프로그램이나 비매너 플레이로 인한 정지가 어찌나 많은지, 10시즌에는 아시아 딜러 랭커가 무려 200여명이나 제명되었다.
7. 전략 및 팁
자세한 내용은 오버워치 2/경쟁전/전략 및 팁 문서 참고하십시오.8. 삭제된 시스템
8.1. 5승 15패 등급 제도
5승 또는 15패를 먼저 달성 하면 등급이 업데이트 되는 시스템.개발진의 의도는 매 판마다 변동되는 점수에 지나치게 연연하지 말라는 것이지만 유저들 사이에서는 '등급을 올리는 과정이 답답하고 불만족스럽다', '업데이트된 등급을 납득하기 어렵다'는 등의 부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었고 결국 9시즌 삭제 되었다.
현재는 티어 진척도를 자세히 확인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진척도 조정에 따른 추가적인 이유(예견된 결과, 반전, 접전 등)도 공개되었다.
8.2. 전장 로테이션
3시즌까지 존재했던 시스템으로 매 시즌 일부 전장이 비활성화 됐었다.8.3. 등급 감쇠 시스템 (완화)
경쟁전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4시즌까지 존재했으며 매 시즌마다 티어가 부분 초기화되어 다시 올려야 했다. 물론 어느정도 보정을 받아서 연패를 하지 않는 이상 시간만 어느정도 투자하면 원래 티어로 복구가 가능했다.일단 시즌 기간이 두 달로 매우 짧은 오버워치 특성상 매 시즌 등급 감쇠는 대다수의 플레이어로 하여금 큰 부담으로 이어졌으며, 실제 실력과 눈에 보이는 티어/MMR간의 괴리가 커지고, 실력 차이가 큰 플레이어들끼리 그룹을 맺어 양학 내지 버스를 받는 행위가 빈번히 일어나자 이 시스템은 삭제되었다.
하지만 한 시즌 이상 경쟁전에 참여하지 않으면 등급이 초기화되며, 9시즌 이후에는 세개의 시즌이 지날 때(6개월) 마다 모든 플레이어에게 등급 초기화가 진행되도록 변경되었다. 물론 당연히 부분 초기화이므로 꾸준히 플레이하면 복구가 가능하니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경쟁전 등급 가치 유지 및 경쟁전 참여 유도를 위해 등급 초기화는 어쩔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9. 관련 문서
[1] 리플레이를 볼 시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팀.[2] 리플레이를 볼 시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팀.[3] 이 상태를 완막이라 한다.[4] 전투 중에 딜러나 힐러가 잘리는 것과 탱커가 잘리는 것은 천지차이이다. 딜러나 힐러 중 하나가 없다면 나머지가 대신 딜과 힐을 넣으면 되지만 탱커는 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다.[5] 승리로 랭크 진척도가 20% 올라가면 드라이브 진척도가 200 증가하고, 패배로 20% 내려가면 드라이브 진척도가 100 깎인다.[6] 탱커 보호 덕에 부활 안정도도 커진다.[7] 이 점수는 오버플로 버그, 불법 해킹 프로그램, 시스템의 허점을 이용한 편법 등으로 올린 사례 외에는 달성한 전적이 전무하다.[8] 랭커 입성 최소 요구 티어는 다이아몬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