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실존했던 공룡}}}에 대한 내용은 [[오우라노사우루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우라노사우루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우라노사우루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실존했던 공룡: }}}[[오우라노사우루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우라노사우루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우라노사우루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오우라노사우루스 Ouranosaurus | |
| <nopad> 파일:쥬월 오우라노 렌더링.webp | |
| <colbgcolor=#ff8c00><colcolor=#ffffff> 학명 | 오우라노사우루스 니게리엔시스Ouranosaurus nigeriensis |
| 출생 | 이슬라 누블라 |
| 체고 | 3m |
| 길이 | 8.3m |
| 체중 | 4.4t |
| 등장 작품 | 《쥬라기 월드: 백악기 어드벤처 |
1. 개요
쥬라기 월드 시리즈의 오우라노사우루스.2. 특징
오우라노사우루스는 쥬라기 공원의 파라사우롤로푸스와 쥬라기 공원 3의 코리토사우루스 이후 오랜만에 3번째로 등장한 대형 조각류이다.몸과 신경 배돌기의 색상은 하얀 줄무늬를 띤 갈색 계열을 띠며, 머리 쪽에는 희미한 회색빛이 도는 푸른색을 띤다.
후술하겠지만 첫 작품에서는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준 조각류이기도 한다.
3. 등장 작품
3.1. 쥬라기 월드 시리즈
3.1.1. 쥬라기 월드: 백악기 어드벤처
스코르피우스 렉스가 온 섬을 뒤지고 다니면서 초식 육식 가릴 것 없이 마구 사냥해댄 탓에 생태계 교란이 일어나서 매우 난폭하게 나오는데, 두 마리의 개체가 아이들 앞에 모습을 드러내자 다리우스가 초식 공룡이라 괜찮다고 다른 아이들을 안심시키지만, 그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아이들에게 난동을 부린다.
이 과정에 앞발을 들어올려 뒷다리로 서다가 내리찍으려고 하거나, 화물 상자를 무너뜨리고, 아이들을 무섭게 쫓아 가며, 물어서 던지는 등 공격을 가한다. 심지어는 마치 아이들을 잡아먹으려는 것처럼 물려고 하기도 하고, 아이들이 배를 타고 도망칠 때까지 끈질기게 헤엄쳐 따라오며 배를 공격하기도 하는 것처럼 중형 육식 공룡이 할 만한 행동을 완벽히 소화해 낸다. 다행히도 다리우스 일행은 오우라노사우루스로부터 무사히 도망칠 수 있었다. 후엔 스콜피오스 렉스에게 한마리가 사냥 당했고 스콜피오스에게 도망치는 초식 공룡중 하나로 나왔다.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서 조각류[1]는 항상 도망치거나 사냥당하는 것처럼 약하고 수동적인 모습만을 보여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쥬라기 월드: 백악기 어드벤처 시즌 3에서 두 마리의 오우라노사우루스가 보인 행동은 쥬라기 공원 시리즈 조각류의 혁신이었다고 가히 칭송할 만하다. 사실 조각류가 온순한 초식공룡의 이미지가 강해서 그렇지, 실제 조각류는 용각류 다음으로 2번째로 거대한 공룡이며[2], 현실의 초식동물들도 온순해보이는 인상과 달리 얼마든지 육식동물을 공격하거나 죽일 수 있다.
4. 게임
4.1. 쥬라기 공원: 오퍼레이션 제네시스
| 공룡 소개 |
| 신사숙녀 여러분, 북아프리카에서 온 새롭고 이국적인 초식공룡의 도착을 알려드리게 되어 기쁩니다. 오우라노사우루스는 화려한 돛과 유쾌한 태도로 단연 돋보입니다. 이 멋진 공룡을 감상해 보세요. |
당연하게도 이때는 백악기 어드벤처가 나오지 않는 때라 디자인이 완전히 다르다.
4.2.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4.3.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2
5. 완구
6. 기타
- 시리즈 처음으로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준 조각류이기도 하며, 영상물 한정으로 기존의 작품[4] 속에 나오는 오우라노사우루스들이 사냥당하는 모습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혁신적인 모습을 보여준 작품이기도 한다.
- 후속작인 쥬라기 월드: 카오스 이론에서는 등장이 없다.[5] 대신이라기에는 뭐하지만 같이 공존했던 수코미무스가 출연했다.
- 다른 조각류들과 다르게 유일하게 앞다리에 꽤나 날카로운 앞발톱이 달려 있다. 거기다 작중에서 해당 부위를 자주 강조하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 학명의 뜻이 '용감한 도마뱀'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작중 행적과 묘하게 어울린다.
[1] 주로 파라사우롤로푸스나 3편에 나온 코리토사우루스, 도미니언에 나온 이구아노돈 등.[2] 오우라노사우루스가 조각류 중에서 큰 편이 아님에도 코뿔소 이상의 커다란 동물이다.[3] 다만 실제 오우라노사우루스는 스피노사우루스가 아닌 수코미무스와 공존했기에 수코미무스가 천적이었다.[4] 대표적으로 Planet Dinosaur. 여기서는 스피노사우루스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에게 사냥당하는 먹잇감으로 나온다.[5] 다만 시즌 2 2화 엔딩 크레딧에서는 오우라노사우루스로 추정되는 공룡이 제이너 일가의 밭에서 물을 마시러 온 장면이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