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1:00:33

오카이 요쿠슐루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Türkiye Milli Futbol Takımı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UEFA 유로 2024 - 최종 명단)
1 귀노크 · 2 첼리크 · 3 데미랄 · 4 사메트 아카이딘 · 5 요쿠슐루 · 6 쾨크취 · 7 아크튀르크올루 · 8 귈러 · 9 젠크 토순 · 10 찰하놀루
11 유수프 야즈즈 · 12 바이은드르 · 13 카플란 · 14 바르닥치 · 15 외즈잔 · 16 윅세키 · 17 카흐베지 · 18 메르트 뮐뒤르
19 일디즈 · 20 F. 카디올루 · 21 일마즈 · 22 아이한 · 23 차크르 · 24 클르츠소이 · 25 아크귄 · 26 이을드름
파일:UEFA EURO ITA.png 빈첸조 몬텔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ITA.png 다니엘 루소 · 파일:UEFA EURO TUR.png 셀주크 샤힌
파일:OKAY YOKUŞLU EURO 2024.png
UEFA 유로 2024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No. 5
<colbgcolor=#223067>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No. 35
오카이 요쿠슐루
Okay Yokuşlu
출생 1994년 3월 7일 ([age(1994-03-07)]세)
튀르키예 이즈미르
국적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91cm / 체중 79kg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유소년 클럽 카르시야카 SK (2002~2006)
알타이 SK (2006~2010)
소속 클럽 알타이 SK (2010~2011)
카이세리스포르 (2011~2015)
트라브존스포르 (2015~2018)
RC 셀타 데 비고 (2018~2022)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2021 / 임대)
헤타페 CF (2022 / 임대)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2022~ )
국가대표 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0경기 1골 (튀르키예 / 2015~)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여담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튀르키예축구 선수.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튀르키예 대표팀수비형 미드필더로 뛰고 있다.

2. 클럽 경력

2011년 6월 27일, 17살의 나이에 카이세리스포르로 이적하였다. 이후 9월 16일, 안탈리아스포르전에 선발 출전하며 쉬페르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카이세리스포르와 명문 트라브존스포르를 거치며 쉬페르리그의 최고의 미드필더로 주목을 받았고, 2018-19 시즌을 앞두고 라 리가RC 셀타 데 비고로 전격 이적하며 빅리그에 입성하였다.

두 시즌간은 주전으로 활약했지만 세 번째 시즌부터는 교체 출전이 늘거나 출전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늘면서 2021년 2월 1일, 겨울 이적시장 마감을 앞두고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로 반 시즌간 임대 이적을 하였다.

지속적인 출전을 보장받으면서 좋은 활약을 보여줬지만 팀은 결국 19위로 강등당하며 다음 시즌은 원소속팀으로 복귀해야했다.

2022년 1월 26일, 헤타페로 반 시즌 임대 이적하였다. 구매 옵션 3m이 포함돼 있다.

반 시즌 동안 헤타페에서 로테이션 멤버로 11경기를 출장하였다.

2022년 7월 20일, 이전에 임대로 몸담았던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로 이적하였다. 3년 계약.

3. 국가대표 경력

U-15, U-16, U-17, U-19, U-20, U-21 등 모든 연령대 대표팀을 거치며 엘리트 코스를 밟아왔다.

U-20 대표로 자국에서 열린 2013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했던 경력이 있으며, 호주와의 조별리그 경기에서 상대 골키퍼가 앞으로 나와있는 것을 보고 25야드 거리에서 크고 아름다운 칩슛으로 득점을 성공시키기도 하였다. 그의 귀중한 동점골로 개최국인 대표팀은 16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1] #

2015년 11월, 성인 대표팀에 처음으로 콜업되었고, 그리스와의 경기에서 A팀 데뷔전을 가졌다.

4. 여담

  • 2019년에 결혼한 기혼자이다. 부인은 멜리사 케르만(Melisa Kerman)으로, 1994년생 배구 선수이다. 그래서 그런지 키가 무려 189cm로, 남편과는 불과 2cm 밖에 차이가 안 난다.

5. 같이 보기

2 펄롱 · 3 타운젠드 (VC) · 4 키프레 · 5 바틀리 · 6 아제이 · 7 월러스 (C) · 8 몰럼비
9 조시 마자 · 10 필립스 · 11 디앙가나 · 12 다이크 · 14 찰로바 · 15 피터르스 · 16 켈리 · 19 스위프트 · 20 리치 · 21 토마스아산테 · 22 음빌라 · 23 존스턴 · 24 파머
25 마샬 · 26 피파 · 27 모왓 · 30 · 31 펠로우즈 · 33 그리피스 · 32 말콤 · 35 요쿠슐루
파일:UEFA EURO ESP.png 카를로스 코르베란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로고.svg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2023-24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2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다넬 펄롱 Darnell Furlong
3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너 타운젠드 Conor Townsend 부주장
5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카일 바틀리 Kyle Bartley
6 D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세미 아제이 Semi Ajayi
7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드 월러스 Jed Wallace 주장
8 MF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제이슨 몰럼비 Jayson Molumby
9 FW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조시 마자 Josh Maja
10 MF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맷 필립스 Matt Phillips
11 FW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그레이디 디앙가나 Grady Diangana
12 FW 파일:미국 국기.svg 대릴 다이크 Daryl Dike
14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너새니얼 찰로바 Nathaniel Chalobah
15 D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에릭 피터르스 Erik Pieters
16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틴 켈리 Martin Kelly
19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존 스위프트 John Swift
20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담 리치 Adam Reach
21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랜든 토마스아산테 Brandon Thomas-Asante
23 FW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마이키 존스턴 Mikey Johnston [B]
24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파머 Alex Palmer
25 FW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칼럼 마샬 Callum Marshall [C]
26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피파 Pipa
27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모왓 Alex Mowatt
30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테드 캔 Tedd Cann
32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반 말콤 Jovan Malcolm
33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쉬 그리피스 Josh Griffiths
35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오카이 요쿠슐루 Okay Yokuşlu
36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케일럽 테일러 Caleb Taylor
구단 정보
구단주: 궈추안 라이 / 감독: 카를로스 코르베란 / 홈 구장: 더 호손스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월 26일

[B] 셀틱 FC에서 임대[C]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에서 임대
}}}}}}}}} ||


[1] 16강전에서 폴 포그바, 사뮈엘 움티티, 플로리앙 토뱅 등을 앞세운 강적 프랑스를 만나 1-4로 패배하며 8강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그리고 프랑스는 이 대회에서 우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