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7:24:17

왕경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열네 살 영심이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드라마 <웰컴투 삼달리> 속 동명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웰컴투 삼달리/등장인물 문서
5.2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특징
파일:yeongsim_kyeongtae.png

1. 개요

만화 〈열네 살 영심이〉의 등장인물. 실제 모델은 학산문화사 황경태 대표이사라고 한다. #

영화판 배우: 가수 전원석
뮤지컬 〈젊음의 행진〉 배우: 이규형, 김사권, 조형균, 박광선, 강정우
성우: 한인숙
드라마 〈오! 영심이〉 배우: 동해

2. 특징

동그란 안경을 쓴 얼빵한 얼굴의 중학생이다. 오영심을 좋아하여 늘 일방적으로 쫓아다니지만 어린 애 취급당하며 둘 다 거기서 거기지만 늘 퇴짜를 맞는다. 이렇게 영심이에게 매번 쫓아다니는 것 때문에 얀데레스토커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사실은 언제나 영심이만을 바라보는 진정한 nerdy순정남. 그러다 보니 츤데레인 영심이가 매일 경태를 구박해도 끝까지 영심이 곁에 붙어 있는 착한 남자이다. 그리고, 왕경태의 집안을 자세히 보면 전형적인 부잣집 아들이다.#

하지만, 그도 그동안 쌓인 게 있어서인지, 아역 탤런트 하미리(본명은 하원덕)와 다정한 모습을 과시하기도 하며[1], 영심이가 경태를 떼어내려고 소개팅을 시켜준 영심이 초등학교 동창 하나와도 정분을 터트리기도 했다.[2] 그러다 질투심에 빠져있던 영심이에게 엄청난 츤츤거림을 받게 된다.
에피소드 마지막화에서는 드디어 영심이를 향한 마음이 결실을 맺는다.
흔히들 안경태로 이 캐릭터의 이름을 오해하고 있지만, 이 캐릭터의 본명은 왕경태[3]이다. 그런데 이 캐릭터의 특성, 즉 안경 빼면 아무 것도 남지 않는 안경 그 자체인 특성 때문에 이 만화를 즐겨본 세대의 사람들조차 이 캐릭터의 이름을 열이면 아홉은 안경태로 알고 있다. 지못미...
1회에서 영심이가 자기 색시가 될 거라며, 영심이 네가 아무리 그래도 결국엔 그렇게 되고 말 거라고 호언장담을 하더니 진짜 그렇게 된다(...).
의외로 노래와 연관이 많은 캐릭터이다. 왕경태의 테마곡이라고 할 수 있는 '영심아 난 너만 보면 그래'는 첫사랑을 짝사랑으로 시작한 소년의 마음을 잘 표현한 명곡. 이건 원작 만화라고 그렇다고 치는데, 가수 노영심의 노래 '별걸 다 기억하는 남자'[4]에서 그 별것중 하나로 '만화 주인공 영심이를 좋아하는 남학생이 안경을 썼는지 안 썼는지'가 나온다. 만화 캐릭터가 대중가요에 등장한 최초의 예로 추정된다.[5]
뮤지컬 젊음의 행진에서 영심이와 재회했을 때는 전력 회사에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오며 라식수술을 하고 안경을 쓰지 않았다. 더불어 배우 보정을 받아 키 180의 미남으로 훌륭하게 성장했다.

실사 드라마판인 오! 영심이에서는 유니콘 기업의 CEO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어린 시절과는 다르게 속을 알 수 없는 냉철한 인상에 지독한 완벽주의자로 성장하였다. 그래도 영심을 좋아하는 건 변하지 않는지 회차를 거듭할수록 영심을 향한 마음이 커져가나 9회에서 영심이 상은 피디에게 하는말을 우연히 엿듣다가 상처를 받아 한국을 떠나게 된다.[6] 2달 후 본인피셜 거지가 되어 귀국하여 재회하고 연인으로 발전하게 된다.


[1] 사실 하미리는 왕경태의 이종 사촌이다.[2] 심지어, 영심이 창가 밑에서 염장질을 하고 있었다.[3] 왕경태는 개성 왕씨로 추정된다. 왕씨는 중국성씨이지만 우리나라 순수성인 개성 왕씨가 있다.[4] 노영심이 작사, 작곡했고 변진섭이 부른 '희망사항'에 대한 여자의 답가에 가까운 곡이다. 이 두곡이 모두 노영심 작사 작곡이라는 것을 알아야 그 참 재미가 나온다. 하지만 희망사항에 비하면 임팩트가 약하지만 가요톱텐 1위를 딸 정도로 당시의 히트곡이다.[5] 나온 이름은 영심이뿐이고, 중요한 자기 이름은 이름 자체가 스포일러라서 이름이 안 나온다. OTL. 이름이 언급된 것은 영심이지만 내용은 분명히 왕경태 관련. 정확하게는 만화주인공 영심이를 좋아하는 남학생이 안경을 썼는지 안 썼는지이다. 뭐 답은 말할 필요가 있을까? 애초에 부른 가수가 노영심이란 것도 비범한데, 사실 노영심은 돌아온 영웅 홍길동에 성우로 출연하는 등 만화에 관심이 많은 인물이다.[6] 마침 또 다른 문제가 생겨 출국해야하는 상황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