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린 테르모르스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팀추월 우승국 | ||||
| |||||
(2010) | → | (2014) | → | (2018) | |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500m 우승자 | ||||
| ||||
(2010) | → | (2014) | → | (2018) |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000m 우승자 | ||||
| ||||
(2014) | → | (2018) | → | (202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합 우승제: 1회(1997년) ~ 26회(2022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 1997 말뫼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5회 | 2011 헤이렌베인 | ||
2회 | 1998 부다페스트 | 16회 |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 |||
3회 | 1999 오버스트도르프 | 17회 | 2013 말뫼 | |||
4회 | 2000 보르미오 | 18회 | 2014 드레스덴 | |||
5회 | 2001 덴 하흐 | 19회 | 2015 도르드레흐트 | |||
6회 | 2002 그르노블 | 20회 | 2016 소치 | |||
7회 |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 21회 | 2017 토리노 | |||
8회 | 2004 주테르메이르 | 22회 | 2018 드레스덴 | |||
9회 | 2005 토리노 | 23회 | 2019 도르드레흐트 | |||
10회 | 2006 크르니차즈드루이 | 24회 | 2020 데브레첸 | |||
11회 | 2007 셰필드 | 25회 | 2021 그단스크 | |||
12회 | 2008 벤츠필스 | 26회 | 2022 드레스덴 | 취소COVID-19 | ||
13회 | 2009 토리노 | |||||
14회 | 2010 드레스덴 |
}}}}}}}}} ||
종합 우승제 폐지: 27회(2023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7회 | 2023 그단스크 | 500m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8회 | 2024 그단스크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9회 | 2025 드레스덴 | 500m | 회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
}}} ||
<colbgcolor=#ae1c28><colcolor=#ffffff> 요린 테르모르스 Jorien ter Mors | |
| |
출생 | 1989년 12월 21일([age(1989-12-21)]세) |
오버레이설 주 엔스헤더 | |
국적 |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82cm, 73kg |
종목 | 스피드 스케이팅(2012~2022) 주종목: 1000m, 1500m, 팀추월 |
쇼트트랙(2004~2018) 주종목: 1000m, 1500m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네덜란드의 前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선수며, 현역 시절 두 종목을 병행하면서 활약했던 선수다. 스케이팅 커리어는 쇼트트랙으로 시작했지만 2012년부터 스피드 스케이팅도 병행하였다.[1] 2022년 3월 은퇴를 공식 선언했다.2. 선수 경력
2.1.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전 종목과 스피드 스케이팅에 참가했으며, 쇼트트랙에서는 1500m에서 4위를 기록한 것이 최고 성적이었다.스피드 스케이팅 1500m에서는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따면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딴 동료들과 기쁨을 누렸고, 그 뒤 팀추월에서도 올림픽 신기록을 쓰면서 2관왕에 성공했다.
2.2.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이번에도 역시 스피드 스케이팅과 쇼트트랙에 참가했다.쇼트트랙에서는 1500m와 3000m 계주에 참가했으며 1500m에서는 5위 기록, 3000m에선 계주 파이널 B에서 세계 신기록으로 1위를 한 뒤 중국과 캐나다가 실격되면서 동메달을 목에 걸게 되었다. 참고로 네덜란드의 최초 계주 메달이다.
그 뒤 스피드 스케이팅 1000m에서 또 다시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따면서 그녀는 한 올림픽 대회에서 쇼트트랙, 롱트랙에서 모두 메달을 딴 최초의 메달리스트가 되었으며 그 뒤 체코의 에스터 레데츠카가 알파인 스키 슈퍼대회전과 스노보드 평행대회전 금메달을 수상하면서 그녀에 이어 2종목에서 메달을 받는 수상자가 되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에는 종목 병행을 그만두고 스피드 스케이팅에만 전념했다.
3. 수상 기록
| ||
| ||
금메달 | 2014 소치 | 팀추월 |
금메달 | 2014 소치 | 1500m |
금메달 | 2018 평창 | 1000m |
| ||
금메달 | 2018 창춘 | 스프린트 |
동메달 | 2016 서울 | 스프린트 |
동메달 | 2017 캘거리 | 스프린트 |
| ||
금메달 | 2016 콜롬나 | 1500m |
금메달 | 2016 콜롬나 | 1000m |
동메달 | 2017 강릉 | 1000m |
| ||
은메달 | 2007 헤이린베인 | 스프린트 |
| ||
| ||
동메달 | 2018 평창 | 3000m 계주 |
| ||
은메달 | 2011 셰필드 | 3000m 계주 |
은메달 | 2013 데브레첸 | 1000m |
3위 | 2013 데브레첸 | 3000m S.F. |
| ||
금메달 | 2011 헤이렌베인 | 3000m 계주 |
금메달 |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 3000m 계주 |
금메달 |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 1000m |
금메달 | 2013 말뫼 | 3000m 계주 |
금메달 | 2014 드레스덴 | 3000m 계주 |
금메달 | 2014 드레스덴 | 종합 |
금메달 | 2014 드레스덴 | 1500m |
1위 | 2014 드레스덴 | 3000m S.F. |
금메달 | 2016 소치 | 3000m 계주 |
은메달 |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 3000m 계주 |
은메달 |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 종합 |
은메달 |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 1500m |
은메달 | 2013 말뫼 | 500m |
2위 | 2013 말뫼 | 3000m S.F. |
은메달 | 2014 드레스덴 | 1000m |
은메달 | 2016 소치 | 1500m |
3위 | 2007 셰필드 | 3000m S.F. |
동메달 | 2010 드레스덴 | 3000m 계주 |
동메달 | 2013 말뫼 | 종합 |
동메달 | 2013 말뫼 | 1000m |
동메달 | 2014 드레스덴 | 500m |
3.1. 월드컵 성적
|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1000 m | 0 | 1 | 0 | 1 |
1500 m | 0 | 0 | 1 | 1 |
개인전 합계 | 0 | 1 | 1 | 2 |
3000 m 계주 | 1 | 2 | 2 | 5 |
메달합계 | 1 | 3 | 3 | 7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2006-07 | - | - | - | 38위 |
2007-08 | - | 43위 | 52위 | 25위 |
2009-10 | - | 39위 | 34위 | - |
2010-11 | - | 20위 | 17위 | 12위 |
2011-12 | - | 9위 | 12위 | 20위 |
2012-13 | - | 16위 | 11위 | 10위 |
2013-14 | - | 13위 | 8위 | 7위 |
2015-16 | - | 50위 | 18위 | 48위 |
2016-17 | - | 24위 | - | 28위 |
2017-18 | - | - | - | 16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3] |
[1] 남자 선수 중 쇼트트랙과 롱트랙을 병행했던 선수로는 샤니 데이비스가 있었다.[2]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3]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29개의 83%인 24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