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남 공화국 대통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 #007225;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요한 페리르 | 헹크 친아센 | 프레드 람다트 미시르 | 람세왁 샹카르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6대2 | |
요한 크라그 | 로날트 페네티안 | 윌러스 베이던보스 | 로날트 페네티안 | |
<rowcolor=#fff> 제8대 | 제9대 | |||
데시 바우테르서 | 찬 산토키 | |||
<rowcolor=#fff> ※ 수리남의 경우 임기가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 }}}}}}}}} |
수리남 공화국 초대 대통령 요한 페리르 Johan Ferrier | |||
<colbgcolor=#d30831><colcolor=#fff> 본명 | 요한 헨리 엘리자 페리르 Johan Henry Eliza Ferrier | ||
출생 | 1910년 5월 12일 | ||
네덜란드령 기아나 파라마리보 (現 수리남 파라마리보) | |||
사망 | 2010년 1월 4일 (향년 99세)[1][2] | ||
네덜란드 자위트홀란트 우흐스트헤이스트 | |||
재임기간 | 제5대 총리 | ||
1955년 4월 16일 ~ 1958년 6월 25일 | |||
마지막 총독 | |||
1968년 3월 15일 ~ 1975년 11월 25일 | |||
초대 대통령 | |||
1975년 11월 25일 ~ 1980년 8월 13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30831><colcolor=#fff> 부모 | <colcolor=#373a3c,#ddd>아버지 헨리 페리르 어머니 라인하르디나 페르난데스 | |
형제자매 | 5명 | ||
배우자 | 유지니 리오나론스[A] 에드메 페리에바스[A] | ||
자녀 | 8명 | ||
학력 | 암스테르담 대학교 | ||
정당 | }}}}}}}}} |
[clearfix]
1. 개요
수리남의 초대 대통령.2. 일생
1910년 5월 12일에 파라마리보에서 태어났으며, 1926년에 스카우트 그룹 교사로 그의 첫 스카우트 그룹을 만들었다.1946년, 수리남 국민당의 창립 멤버였으며, 1955년부터 1958년까지는 총리를, 1968년부터 1975년까지는 총독을 역임했다가, 수리남이 독립되자 1975년 11월 25일부터 대통령이 된다.
그러나 1980년 2월 25일, 데시 바우테르서가 쿠데타를 일으켰고 6개월도 안되어서 대통령직에서 사임했다.
사임 한 후 그는 그의 친척을 따라 네덜란드에서 살았다. 그러다가 2010년 1월 4일, 그의 집에서 잠을 자던 도중 심부전으로 인해 사망했다. 향년 99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