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시 | ||||
도소재지 해주시 | |||||
군 | |||||
강령군 | 과일군 | 룡연군 | 배천군 | 벽성군 | |
봉천군 | 삼천군 | 송화군 | 신원군 | 신천군 | |
안악군 | 연안군 | 옹진군 | 은률군 | 은천군 | |
장연군 | 재령군 | 청단군 | 태탄군 | ||
}}}}}}}}} |
황해남도의 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 룡연군 龍淵郡 Ryongyŏn County | }}} | ||
군청 소재지 | 룡연읍 | |||
지역 | 해서 | |||
면적 | ||||
행정구역 | ||||
시간대 | UTC+9 | |||
인구 | 90,102명 | |||
인구밀도 | -명/km² | |||
군당위원장 | 미상 | |||
인민위원장 | 미상 |
[clearfix]
1. 개요
북한 황해남도에 있는 군. 동쪽은 태탄군, 서쪽과 남쪽은 황해, 북쪽은 장연군과 접해 있다.룡연(龍淵)이라는 이름은 장연군 용연면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룡연읍은 용연면과는 관계없고 해안면의 구진리와 병산리, 대구면의 용전리를 합하여 만들었다.
2. 역사
조선 초기 해안현(海安縣)이었으나 왜구의 침입 및 강점으로 폐지되었고 장연현(長淵縣 : 현재의 장연군)에 병합되었다. 광복 당시에는 장연군의 해안면, 대구면, 용연면 지역이었다.광복 이후 국토가 분단되면서 북한 땅이 되었다. 북한은 1952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장연군의 해안면, 대구면 전체와 용연면 일부 지역(13개 리)을 분리하여 룡연군을 신설하였다.
3. 교통
도로는 8번 국도(대한민국 기준)가 지나간다.철도는 없다. 룡연역은 강령군 룡연리에 있는 역으로 룡연군과는 관계없다.
가장 가까운 철도는 장연군의 장연역이다.
4. 지리
룡연반도[1]에 있으며 몽금포와 장산곶이 있다. 장산곶 앞바다는 심청전에서 심청이 빠져 죽은 인당수라고 한다. 본래 심청전 문서에 나오듯이 원전의 배경은 중국 송나라지만, 이후 판본이 바뀌면서 배경도 조선으로 바뀌고 자연스럽게 인당수도 장산곶으로 설정한 것. 실제 장산곶도 인당수를 연상케 할 만큼 물길이 험한 곳이다. 조선시대 때는 울돌목, 태안 안흥량과 함께 특히 위험한 물길로 꼽혔다.지리적으로 해주에서 꽤 멀고 북한 교통의 핵심인 철도가 지나가는 것도 아니라서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 황해도의 서쪽 끝인 장산곶과 몽금포가 여기 있다.
또한 군의 북동쪽에는 불타산(佛陀山, 607m)이 위치해 있고 장연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불타산은 부처가 앉아 있는 산세에서 유래한 것이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오는 장자못 설화인 '용소와 며느리바위' 전설이 바로 룡연군 일대의 설화이다. 교과서 원문에는 설화가 내려오던 시기의 지명을 바탕으로 장연군으로 수록되어 있지만 용소가 위치한 곳은 위에서 본 것과 같이 현재 룡연군으로 분리되어 있다. 사실 이 설화는 룡연군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설화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