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워터파크역 | ||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1터미널 방면 ]]파라다이스시티--← 3.1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M05) | 용유 방면용 유 1.2 ㎞ → |
역명 표기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워터파크 Water Park 水上公园 / 親水公園 | |
주소 | ||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2877-2 | ||
운영기관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인천공항시설관리(주) | |
개업일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2016년 2월 3일 |
역 조감도 |
[clearfix]
1. 개요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M05번.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해 있다.2. 역 정보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용유차량사업소 끝단 맞은편에 위치한 고가역. 역명과 달리 제대로 된 워터파크는 파라다이스시티의 '씨메르'에 있다는 게 함정. 그마저도 전역인 파라다이스시티역에서 내리는 게 더 가깝다.2.1. 승강장
파라다이스시티 ↑ | |||
하 | ㅣ | ㅣ | 상 |
↓ 용유 |
상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인천공항1터미널역 방면 |
하 | 용유 방면 |
3. 역 주변 정보
남측유수지와 국민체육진흥공단 경정훈련원을 제외하면 역 주변에는 아무것도 없고 갈대숲만 무성하게 나있다. 본래는 워터파크를 만들 계획이었으나... 아래 참조.4. 역명 문제
4.1. 워터파크 없는 워터파크역
원래는 본 역 앞에 위치한 남측유수지를[1]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사업시행자로 나서 총 사업비 254억 원을 투입, 국제적인 경정훈련 및 수상레저 시설을 갖춘 워터파크로 조성하고 2008년 11월 18일, 건설에 착수하였으나 예산 확충 문제로 사업이 차일피일 미뤄지더니 지금은 사실상 좌초되어 13년 가까이 수풀이 우거진 공터로 방치돼 있다. 현재 유수지 수면 40만㎡를 제외한 나머지 부지 14만 3천㎡에 들어선 시설은 경정훈련원(4만 8천㎡)과 네스트호텔(2만 5천㎡)이 전부다.
인천시에서는 본 역 인근에 위치한 경정훈련원 등의 수상체육시설이 사전상 '워터파크'의 조건을 충족한다고 보기 때문에 역명을 변경할 계획은 없다고 한다. 그러나 누가봐도 억지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신길온천역과 상황이 약간 비슷하다.
이에 대해 2020년 7월 14일, JTBC 뉴스룸에서 이 문단의 타이틀과 동일한 제목으로 리포트를 만들어 저격했다. 다만 현장에 대한 리포트만 이루어져 문제제기만 되었을 뿐 필요한 조치나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현재 알려진 것 이상으로 더 전달되진 않았다. 리포트의 내용이 다소 부실하다고 볼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이에 대한 진전이 없는 공무원이나 행정처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볼 수도 있다.
2022년 자기부상열차가 운행중단되면서 워터파크도 없고 열차도 없어 '역'의 역할도 못하는 워터파크역(...)이 되어버렸다.
5. 기타
파라다이스시티역과는 상당히 멀고 용유역과는 가깝다. 인천공항1터미널역에서 용유역까지 가는 열차에서 이 역이 보일 정도다. 주위에 아무것도 없는 평지 위에 있는 고가가, 그것도 거의 직선 구간인데 잘 안 보일 리가 없다. 역간거리는 1km 남짓이다.개찰 시설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승하차량 집계가 불가능해서 그렇지, 집계한다면 달월역을 넘어서 대한민국에서 가장 승하차량이 낮은 도시·광역철도역이 될 가능성이 높다. 역세권이 없다시피 하고, 연계 버스 노선도 전무하기 때문.
6. 둘러보기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인천공항1터미널 - 장기주차장 - 합동청사 - 파라다이스시티 - 워터파크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인천공항의 홍수조절용 저수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평상시에는 1.5m 수위(깊이)로 관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