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23:26:06

웨이크원/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웨이크원
파일:웨이크원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 소속 아티스트 ]
||<-4><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101920,#383b40><color=#373a3c> GROUP ||
파일:Kep1er 로고 화이트.svg
Kep1er
[1]
파일:ZEROBASEONE ゆらゆら -運命の花- 축약 로고.svg
ZEROBASEONE
SOLO
{{{-2 {{{#!folding 각주 [ 펼치기 · 접기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bgcolor=#6ad2ff> 파일:WAKEONE Trainee.jpg ||<width=50%><bgcolor=#121619> 파일:I-LAND2 로고.png ||


[1] 스윙엔터테인먼트 공동 매니지먼트[A] EVNNE 활동 기간에는 젤리피쉬로 소속 이관[A] [A] []

1. 개요
1.1. 역사
1.1.1. ~2021년 : 웨이크원 출범 이전1.1.2. 2021년~ : 웨이크원 출범 이후

1. 개요

웨이크원의 역사를 정리한 문서.

1.1. 역사

1.1.1. ~2021년 : 웨이크원 출범 이전

2014년 2월 18일 CJ ENM에서 MMO엔터테인먼트라는 이름으로 설립하였다. 당초 CJ ENM 음악 사업부A&R 프로듀싱을 받고 있던 다비치, 손호영, 홍대광, 박보람처럼 이미 데뷔한 기성 뮤지션들을 영입해 방송 및 행사 활동[1] 그리고 언론 대응 등의 전반적인 매니지먼트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MMO'라는 사명은 보도자료를 통해 당시 엠넷의 슬로건이던 "Music Makes One"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2][3]

2016년, 지난해인 2015년 6월경부터 CJ ENM과의 '전략적 제휴[4]'가 보도 되었던 B2M엔터테인먼트가 사실상 CJ ENM에 인수 합병됨에 따라, 당시 B2M엔터테인먼트 소속 연습생들의 상당수가 MMO엔터테인먼트로 넘어오게 된다.[5] 그리고 다음해인 2017년 4월, B2M엔터테인먼트 연습생 출신인 강다니엘, 김재한, 주진우, 최태웅, 윤지성 5명이 프로듀스 101 시즌2에 'MMO엔터테인먼트 소속 연습생'으로 출연하면서, 대중들에게는 이 5명의 소속사로 처음 알려지게 된다.

2014년 설립 초기부터 CJ ENM 간부 및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프로듀서들이 대표이사를 맡아왔고 사내이사 구성만 봐도 당연하게 CJ ENM이 직접 운영하는 회사여서, B2M엔터테인먼트의 합병 이후 해당회사에서 몇년간 열심히 노력해온 연습생들이 갑자기 MMO엔터테인먼트의 이름을 달고 프로듀스 101 시즌2에 출전하게 되고 당시 CJ 자회사 소속 연습생들이 특혜를 볼것이라는 루머가 넘치게 되면서 자연스레 CJ ENMMMO엔터테인먼트가 직접적으로 관련있다는 사실은 팬들 사이에서 입밖에 내지않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6] 최종적으로 강다니엘윤지성이 각각 1위와 8위를 기록하며 워너원으로 데뷔하면서 MMO가 더 유명해지게 된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프로듀스 101 시즌2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아이돌 기획사 'MMO엔터테인먼트'로 대중들에게 인식되기 시작한다. 또한 그중에서도 강다니엘 소속사의 이미지가 강했다.[7] 그런 인식 속에서도 여전히 기존에 해오던 매니지먼트사로서의 업무도 병행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아이돌 기획사로서의 성격이 강해지기 시작한 2017년부터는, 같은해 8월 25일 계약이 만료된 홍대광을 시작으로 그 다음해인 2018년 9월 17일 계약이 만료된 박보람, 이듬해인 2019년 10월 18일 스윙엔터테인먼트로 이적한 손호영처럼 설립 초기부터 CJ ENM 음악 사업부와 함께 매니지먼트를 해오던 기존 대표 소속 연예인들과의[8] 매니지먼트 계약을 조금씩 정리하기 시작하였다.[9]

2017년 10월에 Mnet소년24를 통해 선발된 인투잇이 MMO엔터테인먼트의 첫 아이돌로 데뷔하게 된다. 다만 데뷔 이후 인투잇의 매니지먼트와 관련해서 여러가지 사건과 논란들이 발생하며 MMO의 이미지가 나빠지게 된다. 애초에 MMO는 설립 당시에 아이돌 그룹을 매니지먼트할 목적으로 세워진 아이돌 전문 기획사가 아니었기 때문에 오로지 인투잇에만 집중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상황이었는데 이 때문에 인투잇이 컴백할 때마다 일반적인 경우처럼 보도자료를 돌리고 컴백 소식을 알리기는 하지만, 번번히 같은 시기마다 설립 초기부터 매니지먼트를 담당하고 있던 같은 소속사 기성 뮤지션들의 대언론 지원에도 힘을 쏟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며 정작 컴백 당사자인 인투잇 관련 홍보에 집중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자주 벌어지곤 했었다. 'MMO엔터테인먼트'가 설령 객관적으로 같은 양의 보도자료를 돌리고 대언론 지원을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신인인 인투잇이 같은 시기 다른 선배 뮤지션들에 비해 언론 집중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아이돌 기획사로써의 성격이 강한 기간은 설립 전체에 비하면 약 2년이 조금 넘는 기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짧은 기간 내내 당시 MMO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몸 담고 있던 가수 강다니엘윤지성의 팬들, 프로듀스 101 시즌2 출전 이후 팬들을 확보했던 김재한, 주진우, 최태웅 같은 연습생의 팬들, 그리고 MMO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처음으로 데뷔한 남자 아이돌 그룹 인투잇의 팬들에 이르기까지 자사의 모든 아이돌 팬들에게 미미한 일처리로 인해 뭇매를 맞으면서 MMO엔터테인먼트의 이미지가 팬들 사이에서 좋지 않았다.[10]

2020년 3월 24일, 사명을 MMO에서 '원펙트엔터테인먼트'로 변경한다. 새 대표이사는 MMO엔터테인먼트 설립 초창기에 대표[11]를 맡은 바 있으며 CJ ENM 간부인 이선 대표가 맡았다.

2021년 4월 20일, 모회사 CJ ENM이 매니지먼트 효율화 등을 위해 산하 연예 기획사 재편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기사

1.1.2. 2021년~ :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1년 8월 3일, CJ ENM은 산하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 정비 계획에 따라 원펙트엔터테인먼트[12],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오프더레코드 등을 통합하여 '웨이크원'을 출범했다.[13]기사 이후 기존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던 TOO, 조유리 등의 소속사가 웨이크원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던 프로미스나인플레디스로 소속사가 이관되었다. #

언론 보도 이후, 웨이크원 공식 로고가 공개되었으며 공식 SNS도 오픈했다.[14] 이와 동시에 CJ ENM은 "세계적 수준의 음악 기반 IP 생태계 확장 시스템을 통해 음악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글로벌 리더가 되겠다"는 포부를 드러내고 MCS(Music Creative ecoSystem)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는데 통합 레이블인 웨이크원의 출범 역시 그 일환으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CJ ENM은 웨이크원 출범 후 처음으로 진행되는 아이돌 서바이벌인 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을 방송하며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 이후 맥이 끊겼던 아이돌 서바이벌을 재개했고, 웨이크원은 자사 연습생 김채현, 서지민, 조하은을 내보낸다. 최종 데뷔조 Kep1er 역시 웨이크원 소속으로 활동하며, 자사 연습생 중 김채현이 최종 1위를 하며 Kep1er 데뷔에 성공하였다.

2023년 Mnet에서 걸스플래닛의 남자버전인 보이즈플래닛의 방영이 확정되었으며, TO1의 前 멤버인 오성민차웅기가 참가했다.[15] 또한 여태 베일에 싸여 있었던 웨이크원 비공개 남자 연습생들[16] 또한 대거 보이즈플래닛에 참가했다. 최종 데뷔조인 ZEROBASEONE 역시 웨이크원 소속으로 활동하며, 자사 연습생 중 김태래가 최종 데뷔에 성공하였다.

한편, Kep1erZEROBASEONE 외에도 정규 그룹을 데뷔시킬 것이라는 예측을 하는 팬들도 있다. 다만 여자 연습생들은 김채현Kep1er로 데뷔하고 조하은이 퇴사하면서 공개 연습생이 서지민 1명만 남았고, 남자 연습생들은 8명 중 4명이 퇴사하고 김태래ZEROBASEONE으로 데뷔하여 남은 남자 공개 연습생은 문정현, 박한빈, 이정현만 남았기에 정규 그룹이 결성될 시기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예상을 뒤엎고 2023년 5월 25일 웨이크원 연습생 SNS 계정과 함께 연습생들이 공개된 것에 이어 2023년 6월 15일에는 H1GHR MUSIC 소속으로 보이즈플래닛에 참가했던 박지후가 웨이크원으로 이적하는 등[17] 새로운 연습생들이 점점 충원되면서, 웨이크원 차기 그룹의 데뷔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18] 그러나 2023년 8월, 해당 연습생들이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에서 파생 프로젝트 그룹인 EVNNE으로 데뷔하며 웨이크원 정규 보이그룹은 당분간은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

2023년 6월 22일에 차웅기, 2023년 9월 6일에는 오성민의 전속계약이 종료되었다.[19]

2023년 7월 10일, 엠넷과 협업하여 웨이크원 첫 정규 걸그룹[20]을 선발하는 I-LAND2 : N/a 방영을 확정지었다.# 이와 함께 CJ ENM은 웨이크원을 중심으로 CJ ENM만의 아티스트를 육성할 것이며 아티스트 발굴, 육성 및 추후 활동까지 모두 책임지며 ‘웨이크원’을 더 크고 전문적인 가요 레이블로 성장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023년 8월 10일, CJ ENMENHYPEN이 소속된 빌리프랩의 지분을 HYBE전량 매각하고 자사 레이블인 ‘웨이크원’의 역량 강화와 웨이크원을 통해 CJ ENM 자체 글로벌 아티스트 육성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증권가 전문가들은 현재 연이은 CJ ENM의 적자를 해결할 열쇠로 ‘웨이크원’을 꼽고있다.[21] #

2023년 9월 21일, Wanna One 출신 김재환스윙엔터테인먼트에서 웨이크원으로 계약이 이관되었다.# Wanna One 활동 당시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와 계약 후 스윙으로 이적하였는데 다시 스톤으로 돌아온 셈이다.[22][23]

2023년 12월 31일, TO1이 전속 계약 종료로 공식 해체되었다.[24] 2024년 3월 27일엔 다비치와의 전속 계약 종료가 발표되며, 다비치와의 10년간의 동행이 마무리되었다.

2024년, CJ ENM과 웨이크원의 첫 사내 서바이벌이자 [25] CJ의 첫 7년제 정규 걸그룹[26]을 뽑는 I-LAND2 : N/a를 제작하였다. 해당 프로젝트는 엠넷, THEBLACKLABEL과 협업하며 테디가 프로듀싱을 담당한다.

2024년 6월 1일, 스윙엔터테인먼트가 웨이크원으로 흡수합병된다. 기사

[1] 지방 행사만을 말하는 게 아니라 아티스트 본인의 팬미팅이나 생일 축하 행사 같은 행사까지 포함한 행사 활동을 의미한다.[2] 설립 당시 3월 18일 보도자료를 통해 젤리피쉬, 뮤직웍스 등의 기획사와 함께 CJ E&M 산하 레이블 중 한 곳으로 발표되었으나, 현재 젤리피쉬, 뮤직웍스와는 관계가 청산됐다.[3] MMO는 2015년까지 CJ ENM 음악 사업부의 콘텐츠 관리를 받는 기성 뮤지션들의 매니지먼트사의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언론에 보도자료 제공이나 입장 발표 정도에서만 이름을 볼 수 있었다.[4] #[5] 인수 과정 및 그에 따른 정황은 B2M엔터테인먼트 항목 참조.[6] 참고로 출전한 연습생들은 전원이 CJ ENM과 무관하게 이미 기존에 B2M엔터테인먼트에서 몇 년간 연습해온 상태였다.[7] 당시 MMO의 오디션 공고를 보면 알수있다.#[8] 'MMO엔터테인먼트' 설립 초기부터 회사에서 제공한 보도자료나 기자들이 직접 취재한 기사에 이르기까지 "손호영, 홍대광, 박보람의 소속사 MMO엔터테인먼트"라는 설명은 항상 따라 붙었다.[9] 2014년 설립 초기부터 CJ ENM 음악 사업부 소속 기성 뮤지션들의 매니지먼트 지원 의도로 설립된 회사이기 때문에, 해당 뮤지션들과 CJ ENM 음악 사업부 사이에서의 의견 조율 및 방송 활동 및 행사 기획 그리고 대언론 지원처럼 일반적인 매니지먼트 업무에만 신경 쓰면 되었던 터라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특별히 튀는 부분 없이 일반적인 수준에서 잘 해오던 회사였다. 그러나 2016년 CJ ENMB2M엔터테인먼트 인수 후 해당 회사의 연습생들을 대부분 그대로 받아들이고 다음해인 2017년 그 연습생들 중 일부가 프로듀스 101 시즌2에 참여하는 것을 계기로 대중들에게 일반적인 '아이돌 기획사'로 처음 소개가 되면서, 설립 직후인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줄곧 장점으로 작용하던 튀는 부분 없는 회사의 특성이 프로듀스 101 시즌2로 'MMO엔터테인먼트'의 존재를 알게된 다수의 새로운 팬들에게는 눈에 띄는 부분이 없어 답답하다는 인상을 주게 되면서 긍정적으로 작용하던 요소들이 일순간 부정적인 요소들로 작용하게 된다.[27] 특히 'MMO엔터테인먼트'는 설립 초기부터 쭈욱 CJ ENM 음악 사업부와 자사의 매니지먼트를 받는 기성 뮤지션들의 의견을 연결해주며 기능적으로만 작동하는 회사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아이돌 기획사들처럼 대표가 캐릭터성을 가지고 언론에 노출되는 일도 없는 회사였는데, 이런 부분 또한 일반적인 아이돌 기획사로 'MMO엔터테인먼트'를 처음 인식한 팬들에게는 눈에 띄는 부분이 없어 회사의 정체를 모르겠다는 식의 부정적인 인상으로 작용하게 된다.[10] 그외 MMO엔터테인먼트가 매니지먼트를 담당하고 있던 기성 뮤지션들의 팬들의 경우 매니지먼트만 담당하는 'MMO엔터테인먼트에 자신들의 아티스트가 소속되어 있다'라는 인식 자체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런 논란 자체에 아무런 긍부정 평가를 할 필요가 없이 논외인 상황이었다.[11] #[12] 구 MMO[13] CJ ENM의 지분이 100%인 산하 레이블들을 대상으로 통합이 이루어졌다. 허나 상당수가 속칭 페이퍼컴퍼니이기에 MMO, 원펙트 시절과 그 운영방식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것으로 예상된다. 오프더레코드는 웨이크원의 산하에 편제되어 있고 기사상으로도 통합된 것으로 나오나, 유일한 소속 그룹인 프로미스나인은 웨이크원 아티스트로 합류하지 않았고, 8월 16일 플레디스로 완전히 이적했다.[14] 인스타그램 트위터 페이스북[15] 반면 참가하지 않은 최치훈김민수는 웨이크원과의 계약을 해지했다.[16] 김태래, 이정현, 문정현, 박한빈, 박민석, , 안토니, 하루토 8명이 참가했다.[17] 하이어뮤직 소속이었을 당시에도 사실상 웨이크원 소속이었다고 한다.[18] 다만 2023년에는 ZEROBASEONE이 먼저 데뷔를 앞두고 있는데다가 ZEROBASEONE이 2026년에 활동이 끝나기 때문에 김태래의 재데뷔 여부에 따라 활동 시기가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즉 김태래가 재데뷔한다면 2026년에야 정규 그룹이 데뷔하겠지만, 김태래 없이 활동한다면 그 이전에 데뷔할수도 있다. 이렇게 된다면 김태래는 ZEROBASEONE 활동이 끝난 후 추가 멤버로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24년에 Kep1er의 활동이 끝나다보니 김채현의 재데뷔 여부에 따라 걸그룹이 먼저 데뷔할 수도 있다.[19] #1, #2[20] 정확히 따지면 웨이크원 출범 이후 첫 정규 걸그룹으로, 프로미스나인에 이어 CJ ENM의 2번째 정규 걸그룹이다. 과거 아이오아이, IZ*ONE과 현재 웨이크원 소속인 Kep1er의 경우 7년제 정규 그룹이 아닌 2~3년제 프로젝트성 그룹 이다.[21] CJ ENM은 올해에도 300억 적자를 기록했지만 CJ ENM 음악 산업의 경우 보이즈플래닛ZEROBASEONE의 성공으로 영업이익이 2배 수준인 179억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며 올해 음악 사업에서만 660억원 규모의 흑자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증권가는 웨이크원의 성장과 음악 커머스 쌍끌이로 CJ ENM이 올해 692억의 영업이익을 낼 것이라고 예측했다.#[22] 웨이크원은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의 후신이다.[23] 기사에서 워너원 시절부터 웨이크원(구 스톤뮤직) 전속 계약 아티스트라고 언급한 것을 보아 처음부터 웨이크원 소속이었지만 대외적인 매니지먼트는 스윙이 맡은 것으로 보인다.[24] 기사[25] 따라서 참가자 전원이 웨이크원 소속이다.[26] 출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r12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r12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7] 자세한 사항은 비판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