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18:25:46

프로미스나인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프로미스나인|{{{#!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2025년 8월 8일부터 진행되는 월드투어}}}에 대한 내용은 [[NOW TOMORROW.]]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NOW TOMORROW.#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NOW TOMORROW.#|]]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25년 8월 8일부터 진행되는 월드투어: }}}[[NOW TOMORROW.]]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NOW TOMORROW.#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NOW TOMORROW.#|]]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 화이트.svg


{{{#!folding [ 전 멤버 ]
[ 한국 음반 ]
||<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파일:유리구두(프로미스나인).jpg ||<width=25%><nopad> 파일:To. Heart.jpg ||<width=25%><nopad> 파일:To. Day.jpg ||<width=25%><nopad> 파일:From.9.jpg ||
[[유리구두(프로미스나인)|유리구두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deec6; font-size: 0.75em; color: #999"
]]
[[To. Heart|To. Heart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f447e; font-size: 0.75em; color: #8aa9d8"
]]
[[To. Day|To. Day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9484c; font-size: 0.75em; color: #fdebeb"
]]
[[From.9|From.9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76ca6; font-size: 0.75em; color: #bbb3d8"
]]
파일:FUN FACTORY.jpg 파일:My Little Society.jpg 파일:9 WAY TICKET.jpg 파일:Talk & Talk.jpg
[[FUN FACTORY|FUN FACTORY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a911f 55%, #f060a0 35%); font-size: 0.75em; color: #ece6fc"
]]
[[My Little Society|My Little Society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785efd; font-size: 0.75em; color: #fff"
]]
[[9 WAY TICKET|9 WAY TICKET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c6b48; font-size: 0.75em; color: #d8dbdc"
]]
[[Talk & Talk|Talk & Talk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415263; font-size: 0.75em; color: #71c4d4"
]]
파일:Midnight Guest.jpg 파일:from our Memento Box.jpg 파일:Unlock My World.jpg 파일:Supersonic(프로미스나인).jpg
[[Midnight Guest|Midnight Guest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26f; font-size: 0.75em; color: #bbbadc"
]]
[[from our Memento Box|from our Memento Box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5ec88; font-size: 0.75em; color: #36bef0"
]]
[[Unlock My World|Unlock My World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fff"
]]
<nopad> [[Supersonic(프로미스나인)|Supersonic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color: #e8382f"
]]
파일:from(프로미스나인).jpg 파일:From Our 20’s.jpg
[[from(프로미스나인)|from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fbfcf; font-size: 0.75em; color: #0bb56c"
]]
[[From Our 20’s|From Our 20’s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color: #5e7842"
]]
[ 참여 음반 ]
||<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파일: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인생의 희노애락을 노래하다 작사가 김병걸).jpg ||<width=25%><nopad> 파일:초면에 사랑합니다 OST Part.6.jpg ||<width=25%><nopad> 파일:싸이월드 BGM 2021 별.jpg ||<width=25%><nopad> 파일:불후의 명곡 - 아티스트 백두산 유현상 편.jpg ||
[[불후의 명곡/2019년#3월 23일 인생의 희노애락을 노래하다 작사가 김병걸 편|다함께 차차차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d9c98b"
]]
[[초면에 사랑합니다#OST|지금부터 시작해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c0cb; font-size: 0.75em; color: #ba61df"
]]
[[싸이월드 BGM 2021#별|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f7992d"
]]
[[불후의 명곡/2021년#11월 20일 백두산 편|
난 사랑을 아직 몰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ec96ff"
2017. 11. 30.
]]
파일:크레이지 러브 OST Part.2.jpg 파일:달빛바다(프로미스나인).jpg 파일:Love Me Back (작전명 순정 X 프로미스나인).jpg 파일:취하는 로맨스 OST Part 8.jpg
[[크레이지 러브/OST#Part 2 : Stay Alive|Stay Alive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69072c; font-size: 0.75em; color: #eddee5"
]]
[[달빛바다(프로미스나인)|달빛바다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ffe7d; font-size: 0.75em; color: #fd86a4"
]]
[[작전명 순정/OST#프로미스나인 - Love Me Back|Love Me Back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05e8a; font-size: 0.75em; color: #f1cbd8"
]]
[[취하는 로맨스/음악#Part 8: 봄처럼 다가와|봄처럼 다가와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7ec0a6; font-size: 0.75em; color: #f4f4f4"
]]
파일:트라이: 우리는 기적이 된다 OST Part 2.jpg
[[트라이: 우리는 기적이 된다/음악#Part 2: Touchdown|Touchdown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5bb00; font-size: 0.75em; color: #fff"
]]
[ 리얼리티 ]
||<tablewidth=100%><width=1000><#9274a6,#9274a6> 파일:프로미스의 방 로고.png ||<width=50%><#bb4059,#bb4059> 파일:fromis_9 THE100 아이돌메이드콘서트 로고.svg ||
[ 관련 문서 ]
||<|2><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nopad> 활동 ||<-4>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33.3%> 활동 ||<width=33.3%> TV 방송 ||<width=33.3%> 라디오 ||
||
라이브 방송 콘텐츠 광고 및 화보 공연 및 행사
음반 음반 음악 방송 직캠 노래방 수록곡
SNS YouTube V LIVE Weverse 네이버 나우
팬덤 flover 응원법 굿즈 갤러리
기타 아이돌학교 멤버 간 케미 수상 경력 사건 사고

파일:From Our 20’s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백지헌 · 이나경 · 송하영 · 이채영 · 박지원
The 6th Mini Album 파일:From Our 20’s 로고.svg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svg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 화이트.svg프로미스나인
fromis_9 · プロミスナイン
}}}
<colbgcolor=#000,#000> 결성일 2017년 9월 29일[1]
(결성일로부터 [dday(2017-09-29)]일, [age(2017-09-29)]주년[2])
데뷔일 2018년 1월 24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8-01-23)]일, [age(2018-01-23)]주년)
데뷔 음반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8aa9d8"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장르 K-POP, 댄스, 발라드, 어쿠스틱
리더 송하영
소속사 어센드엔터테인먼트
{{{-2 {{{#!folding [ 이전 소속사 펼치기 · 접기 ]
유통사 드림어스컴퍼니
팬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flove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54836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000;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flover(플로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flove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54836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000;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flover(플로버)}}}]]
#!if 문단 != null
[[flover#s-|{{{#!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54836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000; border: 0.3px solid transparent"
flover(플로버)}}}]]
'''
응원봉 플로봉
링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로고(2017-2025).svg파일: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로고(2017-2025) 화이트.svg[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프로미스나인 심볼.svg파일:프로미스나인 심볼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ASN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PLEDIS[4]
파일:fromm 아이콘.svg파일:Weverse 아이콘.svg[5]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파일:틱톡 아이콘.svg抖音
}}}}}}}}} ||

1. 개요2. 멤버3. 특징
3.1. 로고3.2. 그룹명3.3. 콘셉트3.4. 실력
3.4.1. 보컬3.4.2. 댄스
3.5. 비주얼
4. 음반5. 뮤직비디오6. 활동7. 수상 경력8. 팬덤9. 여담
9.1. 군통령9.2. 숙소 변천사
10. 논란 및 사건 사고11. 역대 프로필 사진12. 둘러보기


1. 개요

인사드리겠습니다. 둘\, 셋![7] 안녕하세요, 프로미스나인입니다!


엠넷의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아이돌학교》에서 선발되어 2018년 1월 24일 데뷔한 어센드엔터테인먼트 소속 대한민국의 5인조[8] 걸그룹.

2. 멤버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 화이트.svg
파일:From Our 20’s 송하영 프로필.jpg 파일:From Our 20’s 박지원 프로필.jpg 파일:From Our 20’s 이채영 프로필.jpg 파일:From Our 20’s 이나경 프로필.jpg 파일:From Our 20’s 백지헌 프로필.jpg
송하영 박지원 이채영 이나경 백지헌
1997. 09. 29. ([age(1997-09-29)]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리더
메인보컬
메인댄서
1998. 03. 20. ([age(1998-03-20)]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메인보컬
2000. 05. 14. ([age(2000-05-14)]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00. 06. 01. ([age(2000-06-01)]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03. 04. 17. ([age(2003-04-17)]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folding [ 포지션 관련 참고 사항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 5인조로 구성원 개편 후 직접적인 언급이 없었을뿐 송하영이 사실상 팀을 이끄는 주도적 역할을 보였고 첫번째 월드투어 콘서트 NOW TOMORROW.에서 이나경의 발언을 통해 송하영이 이새롬에 이어 캡틴(=리더) 역을 맡았음이 확인되었다.
  • 공식 일본 웹사이트에 포지션이 서술되어 있었으나 일본 마케팅 담당 팀이 임의로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며 공식적으로는 캡틴(리더) 외 포지션을 나눠본 적이 없다고 한다. 형식적으로 분류된 포지션이 아닌 멤버들이 확실히 인지하고 있는 포지션은 캡틴(송하영)[9], 메인보컬(송하영, 박지원)[10]과 메인댄서(송하영)[11]이다.
}}}}}}

2.1. 멤버 간 케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멤버 간 케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멤버 간 케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멤버 간 케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전 멤버 #===
이름 생년월일 포지션 탈퇴일
<rowkeepall>
1997. 12. 27. ([age(1997-12-27)]세)
리드보컬
2022. 07. 31.
<rowkeepall>
1997. 01. 07. ([age(1997-01-07)]세)
캡틴
2024. 12. 31.
<rowkeepall>
1998. 11. 23. ([age(1998-11-23)]세)
서브보컬[12]
<rowkeepall>
2000. 01. 22. ([age(2000-01-22)]세)
메인댄서

3. 특징


3.1. 로고

<nopad>파일:프로미스나인 로고 모션.gif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romis_9 (프로미스나인) Official Logo Film
역대 프로미스나인 로고
파일:프로미스나인 로고.svg파일:프로미스나인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is 로고.svg 파일:프로미스나인 유리구두 심볼.svg 파일:프로미스나인 To. Heart Blue Ver. 심볼.svg파일:프로미스나인 To. Heart Green Ver. 심볼.svg
파일:프로미스나인 유리구두 워드마크.svg 파일:프로미스나인 To. Heart 워드마크.svg
데뷔 전 유리구두 To. Heart
파일:프로미스나인 To. Day 심볼 1.svg파일:프로미스나인 To. Day 심볼 2.svg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9 워드마크 1.svg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9 워드마크 2.svg
파일:프로미스나인 FUN FACTORY 워드마크.svg 파일:프로미스나인 My Little Society 심볼.svg
파일:프로미스나인 To. Day 워드마크.svg
To. Day From.9 <bgcolor=#ece6f2,#ece6f2> FUN FACTORY My Little Society
파일:프로미스나인 9 WAY TICKET 심볼.svg 파일:프로미스나인 Talk & Talk 심볼.svg 파일:프로미스나인 Midnight Guest 심볼.svg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Memento Box 심볼.svg
파일:프로미스나인 9 WAY TICKET 워드마크.svg 파일:프로미스나인 Talk & Talk 워드마크.svg 파일:프로미스나인 Midnight Guest 워드마크.svg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Memento Box 워드마크.svg
<bgcolor=#d8dcdd,#d8dcdd> 9 WAY TICKET Talk & Talk <bgcolor=#bbbadc,#bbbadc> Midnight Guest from our Memento Box
파일:프로미스나인 심볼.svg파일:프로미스나인 심볼 화이트.svg 파일:프로미스나인 Supersonic 심볼.svg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심볼.svg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svg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로미스나인 워드마크.svg파일:프로미스나인 워드마크 화이트.svg 파일:프로미스나인 Supersonic 워드마크 1.svg
파일:프로미스나인 Supersonic 워드마크 2.svg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워드마크.svg
<bgcolor=#efefef,#efefef> Unlock My World Supersonic from <bgcolor=#5e7842,#5e7842> From Our 20’s
데뷔 후 4년간 공식 로고 없이 매 음반의 컨셉과 맞춘 로고를 사용해오다 2021년 12월 29일 공식 로고가 공개하면서 해당 로고를 음반에 맞는 색상으로 변경하면서 사용해왔다.

2025년, 소속사가 어센드엔터테인먼트로 변경되고 컴백과 동시에 새로운 팀 로고가 공개되었다. 이후 송하영이 직접 로고가 바뀌었다 언급하고 한동안 구 로고가 쓰이지 않음에 따라 사용이 중지되는 듯 싶었으나, 새로 공개된 OFFICIAL LIGHT STICK VER.2 본품과 그 패키지에 구 로고와 구 영문폰트까지 새겨진 모습이 공개되면서 기존로고도 병행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3.2. 그룹명

fromis_9(프로미스나인)
'from'과 아이돌학교(idol school)의 약자 'is'를 조합한 것으로, 멤버들이 아이돌학교 출신임을 의미하는 것과 더불어 '최고의 걸그룹이 되겠다는 팬들에 대한 멤버들의 약속(promise)'[13]이라는 뜻을 중의적으로 담고 있다.[14]


5인조 개편 후엔 기존의 '9인조'를 의미했던 뜻과 괴리가 생겼지만[15] 이후 그룹명을 포함한 상표권 등이 어센드엔터테인먼트 측으로 이관되고 기존 그룹명 프로미스나인을 어센드엔터테인먼트에서도 계승하여 사용하기로 공식 결정되면서, 그룹명의 9는 그 수 자체의 의미가 부여되기보다는 그동안의 아이돌 그룹 "프로미스나인"으로서의 역사, 인지도, 상징성이 담긴 고유명사로서 남게 됐다.[16][17]

영문으로 표기할 때, 고유명사나 문장의 첫 부분을 대문자로 표기하는 문법을 따라 'f'를 대문자 'F'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공식 표기로는 소문자 'f'가 맞다.

줄여 부르는 이름이 많은 편. 애칭으로는 '프롬이'라고 부르고, 줄여서는 '프나', '프미나' 라고 줄여서 부르는 편이다. 1글자로 줄여서 '픎'[18]으로 적기도 한다.

3.3. 콘셉트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남성층 대중문화 소비가 폭발, ‘남초 팬덤 기반 걸그룹’도 수익적으로 성립 가능한 모델로서 변모한 것. (중략) 그 수요를 지탱하던 그룹이 기한종료로 해산하고 나니 걸그룹 시장서 불어난 남성 소비층에 대응할 남성향 걸그룹이 크게 부족해지는 현상이 일어났다. 일정 수준 이상 음악적 퀄리티를 보장하며 세련된 콘셉트를 선보일 확장성 있는 팀 차원에선 더더욱 그랬다. 초반의 안일한 교복 콘셉트에서 틴-키치를 거쳐 세련된 도시 여성 콘셉트를 취하고, 확장성 있는 이지 리스닝 계열에서 완성도 높은 곡들을 선보이던 프로미스나인이 여기서 낙점돼 유입을 늘린 흐름. 결국 이미 준비된 스탠스에서 뜻하지 않게 유리한 흐름을 만나 폭발한 셈이다.
- 이문원 대중문화평론가
긍정적인 느낌과 떼려야 뗄 수 없다. 프로미스나인은 언제나 흥겹고 상쾌한 음악을 통해 즐거움을 선사한다.
- 美 빌보드
프로미스나인, 어떻게 대세가 됐나…하이브 걸그룹 척도될 듯

프로미스나인은 데뷔 초반까지만 해도 사카미치 시리즈와 컨셉상 비슷한 부분이 많았다[19]. 데뷔 앨범 To. Heart의 로고가 노기자카46 혹은 케야키자카46의 엠블럼과 유사한 디자인이었고 캡틴이란 명칭과 센터 멤버 버전의 한정판 앨범 그리고 악수회를 연상시키는 약속회가 그 예시이다. 하지만 이러한 노선이 국내에선 통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한성수는 LOVE BOMB으로 획기적인 컨셉트 변화를 추구했고, 이때부터 프로미스나인의 음악적 색깔이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한다.

이후로는 4세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가요계 내 걸 크러시가 지배적인 콘셉트로 자리잡았음에도 대세를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으며 걷고 있다. 전반적으로 상쾌하고 발랄한 사운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밝고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는 키워드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즉 해외 K-pop 팬덤과 여성층이 선호하는 유행 요소들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20] 4세대 이후부터 너도 나도 청량/하이틴이나 힙합/걸크러쉬를 추구하느라 걸그룹 업계 전체가 개성을 잃고 획일적인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는 가운데 그 행보가 독자적이라 할 만하다. 다만 그렇게 대세를 따르지 않았기에 아이돌 역사상 그 어떤 그룹보다도 빛을 보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21]

노래와 춤의 전체적인 분위기 역시 강렬한 비트와 격한 안무가 아닌 밝고 청량한 리듬과 안무에 초점을 맞추었다.[22] 프로미스나인은 데뷔 이후로 단 한 번도 이러한 컨셉에서 이탈한 적이 없으면서도 발표하는 곡들은 모두 현대적이다. 프로듀싱을 맡고 있는 한성수 프로듀서의 곡 제작에 따라 세련되면서도 리드미컬한 곡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것이 K-pop 팬들과 음악평론가들에게 큰 호평[23]을 받고 있다. 결정적으로 3~4세대 걸그룹 중 순수하게 '기분 좋은 에너지'를 전달하는 그룹이 거의 없다시피 한 상황이라, 남성 팬덤 입장에서 따라가기 어려운 걸크러쉬 컨셉에 대한 부담을 가질 필요도 없고, 노래 하나를 듣기 위해 팬이 아니면 이해하기 어렵고 복잡한 세계관에 대해 학습할 필요도 없이, 단순하면서도 확실한 밝고 신나고 기분 좋은 컨셉이 그룹의 독보적인 개성으로 자리 잡았으며 독자적인 영역 확립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소위 말하는 크러쉬류로 유행하는 걸그룹 시장 속에서 국내 남성 팬들의 지지와 응원을 받는데 성공했으며 그 규모와 화력도 탄탄하기 그지없다. 현재까지 기록한 초동 최고 수치는 약 14만 장으로, '남초 팬덤 + 부실한 해외 팬덤[24]'이라는 약점을 감안하면 굉장히 많은 양이다. 프로미스나인이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결성된 그룹임을 감안하더라도 2010년대 이후로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해 많은 K-pop 아이돌 그룹이 외국인 멤버를 최소 1명 이상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고 오디션 프로그램에도 외국인 연습생들이 다수 참여하고 있는데,[25] 전원 한국인으로 구성된 그룹이 남초 팬덤의 지지로 이 정도 판매량을 기록했다는 것은 분명 괄목할 만한 요소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우리 얘기, 내가 듣고픈 노래들. 어쩌면 단순하지만 그게 가장 좋을 수 있거든요. 나, 우리, 우정, 청춘, 좋은 음악 뭐 이런 것들, 시대가 변해도 모두가 사랑할 수밖에 없는 것들로 담고 싶었어요. 누구든 같이 즐길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앨범이요.
백지헌
현재 프로미스나인이 추구하는 바를 한 단어로 요약하면 '좋은 음악'이다.[26] 그렇게 7년 간 포기하지 않고 그저 좋은 음악만을 추구해온 결과가 바로 Supersonic인 셈이다. 5인조로 개편된 후 발매된 LIKE YOU BETTER까지 음원 차트에서 Supersonic 이전과 비교도 안될 성공을 거두면서 마침내 대중에게 인정받는 그룹이 되었다.

3.4. 실력

fromis_9 - LIKE YOU BETTER
SBS 인기가요

비주얼에 묻혀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실력파 아이돌 명가 플레디스의 고강도 트레이닝을 받아온 걸그룹답게 다인원 그룹임에도 평균 실력이 상당한 편이다. 이지리스닝을 추구하는 최근 업계 동향과 달리 데뷔 이후로 쭉 기승전결이 확실한 고전적인 케이팝을 추구해온 덕에 곡들의 난이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이를 뒷받침하는 라이브 실력 또한 굉장한 편.

데뷔 이전엔 멤버 전원이 연습생 신분도 아닌 일반인 신분이었고, 심지어는 연습생 경험조차 단 한번도 없었던 멤버도 여럿 있었다. 때문에 데뷔 초에는 당신의 아이돌로 성장하겠습니다 라는 인사법을 사용하며 데뷔는 했지만 여전히 배우는 마음으로 성장 하겠다는 포부[27]를 다졌고, My Little Society 활동 부터는 해당 인사법을 생략하며 성장을 마쳤음을 시사했다. 해당 앨범부터 그룹의 색이 통통 튀는 밝은 소녀 같은 컨셉에서 화려한 SNS 스타 컨셉으로 탈바꿈한 것은 덤. 멤버 개개인의 실력 또한 해당 앨범 이전의 1년 3개월 간의 공백기[28]를 거치며 비약적으로 상승, 지금의 실력파 걸그룹의 이미지를 다질 수 있는 발판이 됐다.

2024년 들어 HYBE LABELS 산하 몇몇 걸그룹들의 가창력 문제가 거듭 불거지면서, 멤버들의 준수한 실력으로 인해 상대적인 반사 이익을 받고 있다. 특히 AR로 약점을 가릴 수 있는 음악 방송과 달리, 위문열차나 대학 축제 같은 AR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오프라인 무대를 다수 소화한 경험치에 힘입어 프로미스나인을 재평가하고 응원하는 팬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3.4.1. 보컬

fromis_9 - LIKE YOU BETTER
웬디의 영스트리트
공식적인 포지션 구분은 없지만[29] 멤버들은 송하영박지원을 메인보컬로 인지하고 있다. 여기에 넓은 음역대로 저음과 고음을 넘나드며 후렴구를 맡는 이나경까지 보컬 라인으로 묶인다. 여기에 같은 보컬 라인으로 분류되던 전 멤버 장규리프로듀스 48에서 '나는 보컬 멤버가 애초에 아닌데 왜 여기 와서 이렇게[30] 됐는지 모르겠다'고 할만큼 이 팀에서 보컬 라인의 허들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데뷔조가 결성된 순간부터, 더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식스틴이 방영되던 시절부터 '데뷔하면 메인보컬'로 각인된 박지원은 그룹 보컬 중심으로서 시원한 고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역대에서 호소력 짙은 보컬을 보여준다. 송하영이 상대적으로 조금 더 높은 음역대를 가지고 있어 고음파트를 모두 도맡진 않지만, Santa Tell Me 커버 영상에서 '3옥타브 라(A5)'를 진성으로 소화하는 등 만만치 않은 모습을 보여준다.

또 다른 메인보컬 송하영은 걸그룹 메인보컬 중에서도 상당히 독특한 편인데, 메인댄서를 겸하고 있음은 물론 데뷔 직전까지도 댄서에 가까운 커리어를 지녔다는 점이다. 애초에 고등학교 전공이 실용무용과였으며, 작곡과 기타를 취미로 겸하는 평범한 고등학생이었다. 심지어는 연습생 경험 또한 전무한 생판 일반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부적인 재능에 체계적인 트레이닝을 더해 성장에 성장을 거듭하여 원탑 메인보컬이었던 박지원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고, 특유의 시원한 고음으로 곡의 하이라이트를 주로 담당하게 되었다. 특히 미니 4집의 타이틀 'DM'에선 4옥타브 라(A6)까지 올라가는 휘슬 레지스터를 라이브로 선보이면서 또 한 번 자신의 보컬 능력을 입증했다.

메인보컬 라인 외에도 자신이 가진 보컬적인 역량을 노래에 잘 녹여 활용하는 기술이 탁월하다. 그래서인지 커버곡에 특히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단체 커버곡인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Feel My Ryhthm, Alcohol free도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24년 들어 K-POP 팬들이 아이돌의 실력에 대한 잣대가 엄격해지면서 이미 2년 전부터 비주얼이 다가 아니라는 것이 알려진 프로미스나인이 상대적인 반사이익을 보게 됐다.

3.4.2. 댄스

<LIKE YOU BETTER> DANCE PRACTICE
프로미스나인의 가장 큰 강점은 안무 구멍이 없는 것으로, 풀캠으로 볼 때 불편한 멤버 없이 모든 멤버가 수준급의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안무 대형 및 동선, 칼군무 등에서 나오는 퍼포먼스 완성도가 상당한 편. 프로미스나인의 정체성이 파워풀한 안무가 아니다 보니 메인보컬에 비해 언급되는 횟수는 현저히 적지만 송하영이 메인댄서를 맡고 있다.

송하영은 애초에 춤이 주 전공이었던 멤버답게 가녀린 몸에서 나오는 파워풀한 춤선이 인상적이다. 그 실력은 보컬 못지 않게 심상치 않은데, 고등학교 시절 연습생이라던가 연예인이 아님에도 예쁜데 춤까지 잘 추는 선배로 졸업 이후까지 유명했다고 한다. 다만 전공이 하필이면 아이돌 안무와 거리가 먼 '힙합'이었던지라 데뷔초엔 춤선에서 힙합 특유의 바이브를 빼는데 애먹었다고. 물론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은 오히려 힙합이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곤 하나, 몸이 기억하는지 가끔 팬들의 요청에 응할땐 그때 그 시절 춤선이 다시 나오곤 한다.[31]

그 외의 멤버 중에서는 이채영이 메인댄서에 비견되는 멤버로 꼽히며, 큰 키에서 나오는 시원시원한 춤선과 파워풀함이 특징이다. 백지헌의 경우 초등학교 입학도 전부터 아이돌이나 가수에 관심이 많아서 멤버들 중에서도 K-POP 안무에 대해 압도적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2000년대 후반부터 현대까지 웬만한 아이돌 히트곡은 모르는 안무가 없을 정도이고, 그 안무들을 대부분 눈으로 보며 어렴풋이 외워온 덕에 한번 보고 외우는 습득력도 빠른 편이라 챌린지 맞교환의 단골이기도 하다.

3.5. 비주얼

파일:프미나 카톡선물하기 비주얼.gif
전 진짜로 프로미스나인분들 너~~~~~~~~~무[32] 예쁜 거 같아요. 진짜! 제가 샵에서 마주칠 때마다 누구 한 명 붙잡고 얘기해요. 진짜... 저는 프로미스나인 분들이 진짜 제일 예쁜 거 같아요. 진짜 예뻐요, 너무 예뻐요. 진짜 아이돌 분들 다 너무 예쁘시지만 물론. 근데 진짜 프미분들... 진짜 예쁜 거 같아요.
김세정 #

프로미스나인을 대표할 수 있는 키워드는 바로 비주얼이다. 최근 아이돌들이 많이들 내세우는 '전원센터돌' 등의 수식어로 회사 차원에서 비주얼을 강조하는 마케팅[33]은 하지 않지만, 그런걸 떠나서 대중들의 평가가 매우 좋은 편. 프로미스나인과 관련된 영상에서 일반인 혹은 타팬들이 남긴 비주얼과 관련된 댓글을 언제나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실물에 대한 평가도 매우 좋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김세정의 언급이다. 멤버 피셜 메인 비주얼[34]이나경의 경우, 그 정형돈[35]이 멘트 흐름을 끊고[36] 나경씨는 얼굴이 진짜 작네요? 라며 짚고 넘어갔을 정도로 베테랑 아이돌 프로그램 MC의 눈에도 띄는 비주얼을 가졌다.

4세대 아이돌들이 대거 등장하고 각 팀의 메인 비주얼들이 세간의 관심을 한몸에 받는 상황 속에서, 프로미스나인의 경우 어느 특출난 멤버 하나가 SNS 등지에서 비주얼로 화제가 된다거나 하는 경우는 없지만 이들의 진가는 바로 평균 비주얼에서 나타난다. 여타 걸그룹들과는 달리 각종 댓글에서 특정 멤버를 지칭하는 댓글보다는 비주얼 융단 폭격 등 팀 전체를 대상으로 한 댓글이 훨씬 주를 이루는 편.[37]

멤버들이 전부 예쁘기도 힘든데 단순히 예쁘기만 한 데서 그치지 않고 멤버들이 모두 다르게 생긴 것도 프로미스나인의 비주얼이 강조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특히 잇츠라이브 등으로 멤버들의 실력도 주목받기 시작한 이후에는 예쁘기만 한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라는 반응도 심심치않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프로미스나인의 정체성을 비주얼로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 많다.

4. 음반

파일:유리구두(프로미스나인).jpg 파일:To. Heart.jpg 파일:To. Day.jpg 파일:From.9.jpg
[[유리구두(프로미스나인)|유리구두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deec6; font-size: 0.75em; color: #999"
]]
프리 데뷔
[[To. Heart|To. Heart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f447e; font-size: 0.75em; color: #8aa9d8"
]]
정식 데뷔
[[To. Day|To. Day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9484c; font-size: 0.75em; color: #fdebeb"
]]
장규리 외 8인 체제
[[From.9|From.9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76ca6; font-size: 0.75em; color: #bbb3d8"
]]
파일:오프더레코드엔터테인먼트 로고.svg 이적
장규리 복귀
파일:FUN FACTORY.jpg 파일:My Little Society.jpg 파일:9 WAY TICKET.jpg 파일:Talk & Talk.jpg
[[FUN FACTORY|FUN FACTORY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a911f 55%, #f060a0 35%); font-size: 0.75em; color: #ece6fc"
]]

-
[[My Little Society|My Little Society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785efd; font-size: 0.75em; color: #fff"
]]

-
[[9 WAY TICKET|9 WAY TICKET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c6b48; font-size: 0.75em; color: #d8dbdc"
]]

-
[[Talk & Talk|Talk & Talk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415263; font-size: 0.75em; color: #71c4d4"
]]
파일: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로고(2017-2025).svg 이적
파일:Midnight Guest.jpg 파일:from our Memento Box.jpg 파일:Unlock My World.jpg 파일:Supersonic(프로미스나인).jpg
[[Midnight Guest|Midnight Guest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26f; font-size: 0.75em; color: #bbbadc"
]]

-
[[from our Memento Box|from our Memento Box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5ec88; font-size: 0.75em; color: #36bef0"
]]
마지막 9인 체제
[[Unlock My World|Unlock My World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fff"
]]

-
[[Supersonic(프로미스나인)|Supersonic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color: #e8382f"
]]
-
파일:from(프로미스나인).jpg 파일:From Our 20’s.jpg
[[from(프로미스나인)|from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fbfcf; font-size: 0.75em; color: #0bb56c"
]]
마지막 8인 체제
[[From Our 20’s|From Our 20’s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color: #5e7842"
]]

파일:어센드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이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음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뮤직비디오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 화이트.svg

M u s i c V i d e o
2025. 8. 12. 21:12 KST 기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순위 게시일 앨범/싱글 곡명 조회수 비고
1 2022. 1. 17. [[Midnight Guest|
Midnight Guest
]]
[[https://youtu.be/4gXmClk8rKI|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M
]]
43,309,177 [HL]
2 2020. 9. 16. [[My Little Society|
My Little Society
]]
[[https://youtu.be/jLmJhjCzOTw|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eel Good (SECRET CODE)
]]
29,402,507 [Of]
[[https://youtu.be/1nvnQcr3Cq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eel Good (SECRET CODE)
]]
3,486,392 [SE]
합계 32,888,899
3 2018. 10. 10. [[From.9|
From.9
]]
[[https://youtu.be/-SK6cvkK4c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OVE BOMB
]]
30,289,626 [Of]
2018. 10. 12. [[https://youtu.be/d4tBlQ5yTw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OVE BOMB
]]
594,761 [SE]
합계 30,884,387
4 2024. 8. 12. [[Supersonic(프로미스나인)|
Supersonic
]]
[[https://youtu.be/0LiQp7y8Wwc|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upersonic
]]
30,850,957 [HL]
5 2022. 6. 27. [[from our Memento Box|
from our Memento Box
]]
[[https://youtu.be/JC6budcAC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tay This Way
]]
27,923,600 [HL]
6 2021. 5. 17. [[9 WAY TICKET|
9 WAY TICKET
]]
[[https://youtu.be/HM6UpQZvbh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E GO
]]
27,631,742 [Of]
7 2021. 9. 1. [[Talk & Talk|
Talk & Talk
]]
[[https://youtu.be/BjmmvBMXbSU|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alk & Talk
]]
25,302,160 [HL]
8 2019. 6. 4. [[FUN FACTORY|
FUN FACTORY
]]
[[https://youtu.be/zsRyyLtcXho|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UN!
]]
23,250,249 [Of]
9 2023. 6. 5. [[Unlock My World|
Unlock My World
]]
[[https://youtu.be/QrYIOjs7K8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enow
]]
20,371,774 [HL]
10 2025. 6. 25. [[From Our 20’s|
From Our 20’s
]]
[[https://youtu.be/r1QapH1SIAI|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IKE YOU BETTER
]]
17,617,772 [f9]
11 2018. 6. 5. [[To. Day|
To. Day
]]
[[https://youtu.be/B3KuJqe3Ep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두근두근(DKDK)
]]
11,788,554 [SE]
[[https://youtu.be/eiVr8AjdrFk|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두근두근(DKDK)
]]
426,823 [Of]
합계 12,215,377
12 2017. 11. 30.[52] [[유리구두(프로미스나인)|
유리구두
]]
[[https://youtu.be/n2TtQYuFfWw|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리구두 (Glass Shoes)
]]
9,649,019 [SE]
[[https://youtu.be/hXK6tWnvKR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리구두 (Glass Shoes)
]]
550,244 [Of]
합계 10,199,263
13 2018. 1. 24.[55] [[To. Heart|
To. Heart
]]
[[https://youtu.be/iFUHS1Ei7qw|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o. Heart
]]
5,903,251 [SE]
[[https://youtu.be/BzZ8NmYUld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o. Heart
]]
511,396 [Of]
합계 6,414,647
}}}}}}}}} ||
프로미스나인 (fromis_9) 실시간 뮤직비디오 조회수 추이

6.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활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 YouTub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유튜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유튜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유튜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라이브 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라이브 방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라이브 방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라이브 방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음악 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음악 방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음악 방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음악 방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1. 방송 직캠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 화이트.svg
그룹 및 개인 음악 방송 직캠 문서 모아보기 틀



{{{-2 {{{#!folding [ 전 멤버 ]

6.4. 광고 및 화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광고 및 화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광고 및 화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광고 및 화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공연 및 행사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 화이트.svg
프로미스나인 단독 공연 문서 모아보기 틀

[ 약속회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33.3%><nopad> 파일:약속회 To. Heart.jpg ||<colbgcolor=#e2d9a2,#e2d9a2><width=33.3%><nopad> FROMISE
파일:약속회 To. Day.jpg
||<colbgcolor=#fff,#fff><width=33.3%><nopad> 파일:약속회 소중히 간직해.png ||
[[약속회#미니 1집 《To. Heart》|約束,一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474749; font-size: 0.75em; color: #f0eff4"
]]
[[약속회#미니 2집 《To. Day》|FROMISE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2632c; font-size: 0.75em; color: #e2d9a2"
]]
[[약속회#스페셜 이벤트 《소중히 간직해》|소중히 간직해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7a8ca; font-size: 0.75em; color: #fff"
]]
[ 팬미팅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33.3%><nopad> 파일:fromis day 포스터.jpg ||<width=33.3%><nopad> 파일:투명.png ||<width=33.3%><nopad> 파일:투명.png ||
[[fromis day|fromis day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d45da; font-size: 0.75em; color: #dad2ff"
]]
[ 콘서트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33.3%><colbgcolor=#bb4059,#bb4059> 파일:fromis_9 THE100 아이돌메이드콘서트 로고.svg ||<width=33.3%><nopad> 파일:LOVE FROM. 포스터.jpg ||<width=33.3%><nopad> 파일:LOVE FROM. IN JAPAN 포스터.jpg ||
[[fromis_9 THE100 아이돌메이드콘서트|THE100 아이돌메이드콘서트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ee9f6; font-size: 0.75em; color: #bb4059"
]]
[[LOVE FROM.|LOVE FROM.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fd3bd; font-size: 0.75em; color: #3b2d24"
]]
[[LOVE FROM.|LOVE FROM. IN JAPAN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fd3bd; font-size: 0.75em; color: #3b2d24"
]]
파일:FROM NOW. 포스터.jpg 파일:NOW TOMORROW..jpg
[[FROM NOW.|FROM NOW.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0b9da; font-size: 0.75em; color: #58595b"
]]
[[NOW TOMORROW.|NOW TOMORROW.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color: #274534"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공연 및 행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공연 및 행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공연 및 행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수상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수상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수상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수상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팬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lover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lover#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lover#|]]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1. 응원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응원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응원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응원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굿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굿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굿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굿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

  • 모든 멤버가 본명을 활동명으로 사용한다. 다만 방송에서는 편의상 성을 떼고 이름만 부르는 경우가 많다.
  • 아이돌학교의 주요 콘셉트가 일반인들을 데려와서 가르치고 성장시키는 '성장형 아이돌'인 만큼, 모두 일반인 상태에서 참가하여 데뷔했다. 즉, 현역 걸그룹/연습생/연예 기획사 소속은 한 명도 없다. 연습생 출신은 있지만 모두 소속사를 나온 상태에서 참가했다[58].
  • 같은 엠넷에서 제작한 프로듀스 시리즈, 플래닛 시리즈 등에서 탄생한 프로젝트성 아이돌 그룹과 달리 정규 걸그룹이다. 실제로 플레디스와의 계약이 종료된 시점은 결성 및 프리데뷔 이후 약 7년으로, 일반적인 아이돌과 같은 계약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 그룹 내 막내맏언니의 나이 차이가 6살이다. 비슷한 시기 데뷔한 걸그룹 중에서는 이렇게 나이 차가 큰 그룹이 적은 편이었다[59].
  • 멤버 전원이 여동생이 없다.[60]
  • 데뷔 초 멤버 전원이 함께 살던 시절엔 옷을 같이 돌려 입기도 했다.[61]
  • 모든 멤버들의 혈액형이 A형이나 B형으로, A형인 멤버가 3명[62], B형인 멤버가 2명.[63]이다[64] # 그래서 숙소와 연습실 청소를 A형 조와 B형 조로 나눠서 하기도 했다.
  • 데뷔 당시 9인조로 다인조 그룹임에도 불구하고 데뷔 초엔 차량 1대로 움직였다. 차종은 현대 쏠라티.
  • 모든 멤버가 MBTI I 성향이며, 전 맴버까지 포함해도 노지선을 제외한 모든 멤버가 I 성향이다.
  • 멤버들이 Weverse 라이브 중 가끔씩 나무위키 본인 문서를 정독할 때가 있다. 이로 인해 나무위키 정독 콘텐츠를 진행하면 해당 멤버의 이름이 나무위키 실검에 오르기도 하며, 멤버들이 실시간으로 말하는 피드백들이 곧바로 반영되는 진풍경이 일어나기도 한다.
  • 여러모로 ENHYPEN과 공통점이 많았다. 둘 다 하이브지만 CJ E&M 태생이고 둘다 각각 엠넷 정규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졌고 소속사도 CJ ENM에서 HYBE로 옮겨졌다. 다만 ENHYPEN의 경우 I-LAND 당시부터 방시혁과 그 휘하의 프로듀서, 디렉터들이 직접 등판했고, HYBE LABELS 소속 아티스트들이 출연하는 등 서바이벌 프로그램이 HYBE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 반면 프로미스나인은 서바이벌 프로그램인 아이돌학교HYBE와 연관이 일절 없다는 차이점이 있다. 당연한 것이 아이돌학교와 그나마 연관이 있었던 연예 기획사는 프로미스나인의 2021~2024년 소속사인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와 그 수장 한성수인데,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HYBE에 인수된 것은 방송 후 3년이나 더 지난 후에 일어난 일이다. 때문에 엔하이픈과 달리 프로미스나인은 HYBE LABELS 내에서 노골적인 서자 취급을 벗어나지 못한 채 계약이 종료됐다.
  • 군대에서 특히 인기가 많은 그룹으로, 21군번 이후라면 이 그룹의 존재를 모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21년~2022년 당시엔 Genie TV 뮤직비디오 차트 Top 10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여전히 군통령 하면 가장 자주 언급되는 걸그룹으로, 각종 군인 대상 앙케이트에선 aespa와 1-2위를 다툴 정도로 군대 내 위상은 압도적이다.
  • 2024년 11월 29일,[65]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계약이 2024년 12월 31일부로 종료됨을 알렸다. # 소속사는 해당 공지에서 "향후 개개인의 미래와 활동 방향에 대해 멤버들과 오랜 시간 논의했으며, 상호 간 충분한 대화 끝에 전속 계약 종료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멤버 전원이 약 3년 4개월 만에[66]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를 떠났다.
  • 2025년 1월 26일, 신생 기획사 어센드엔터테인먼트가 송하영, 박지원, 이채영, 이나경, 백지헌과 전속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됐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공식 입장문으로 전속계약 체결을 발표했다. 이후 약 한 달 뒤인 2월 18일 20시 어센드엔터테인먼트 공식 인스타그램 개설과 함께 송하영, 박지원, 이채영, 이나경, 백지헌이 인스타그램 스토리로 이를 공유하며 어센드엔터테인먼트 이적을 공식화했으며, 캡틴 없이 활동하게 됐다.
  •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다섯 멤버들은 모두 2022년 6월 24일 진행된 뮤직뱅크 상반기 결산에서 feel my rhythm을 커버했던 멤버들이다.[69]
  • 2025년 2월 24일, 신규 소통 플랫폼 fromm에 입점했다. 다만 당시엔 그룹명 사용에 대한 협의가 끝나지 않은 상황이라 '하영,지원,채영,나경,지헌'[70]과 같이 5인의 이름을 나열한 형태로 입점했다.
  • 활동을 이어나가기로 결정한 5인의 멤버들이 그룹명과 팬덤명 모두 유지하고 싶다는 의견을 직접 내비침으로써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측과의 협의만 잘 마무리 된다면 두 가지 모두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될 것으로 보였으나, 당시 협상에서 꽤 난항을 겪었었다. #
  • 2025년 3월 26일 오후 1시 24분, 어센드엔터테인먼트 공식 SNS에 신규 프로필 티저와 함께 그룹명이 인수된 사실을 공표하며 프로미스나인이 공식적으로 어센드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됐다. 이에 따라 '하영,지원,채영,나경,지헌'[71] fromm 채널명이 'fromis_9'으로 변경됐다. 이후 박지원, 백지헌, 이채영, 이나경, 송하영의 순서대로 각각 3시 20분, 4시 17분, 5시 14분, 6시 1분, 9시 29분에 프로필이 공개됐다. 보도자료가 배포된 시간인 1시 24분은 프로미스나인의 데뷔일인 1월 24일에 맞춰 배포된 것이고, 멤버 각각의 프로필 공개 시간도 각자의 생일에 맞춰 공개됐다.
  • 2025년 4월 24일 기준, 공식 유튜브를 제외한 모든 SNS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로부터 이관 받은 것으로 보인다. 공식 유튜브는 양도 받지 못해 4월 18일에 새로 개설한 상태이다.
  • 상대적으로 대중의 관심을 받게 된 시기가 늦어 많이 간과되는 부분이지만, 프로미스나인은 2025년 현재 현역 걸그룹 중 최고참에 속하는 걸그룹이다. 모든 멤버가 같은 소속사에 소속되어 주기적인 활동을 이어나가는 걸그룹 중 프로미스나인보다 연차가 높은 그룹은 TWICE, 드림캐쳐 정도로 이젠 거의 남지 않았다.
  • 매체에선 주로 8년차[2025년] 걸그룹으로 불리지만, 이채영의 언급처럼 2017년 11월에 프리데뷔라는 명목으로 선행 싱글을 공개한 바 있어, 본인들도 8년차~9년차 사이 그 어딘가 조금 애매한 위치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9.1. 군통령

프로미스나인은 ‘군통령’ 춘추전국시대를 통일한 그룹이다. 셋톱박스에 저장된 음악방송 회차 속 클립으로부터 유튜브와 틱톡 등 영상 플랫폼의 숏폼 콘텐츠까지 세를 넓혀 나가던 그들은 어느새 모두가 인정하는 군인들의 원 톱 그룹으로 확고한 명성을 다졌다.
김도헌 대중음악 평론가 살아있는 성장 서사…‘군통령’ 천하통일
2010년대를 대표하는 군통령인 브레이브걸스, 라붐 등을 잇는 신세대 군통령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방TV 등에서 진행하는 연예인과 관련된 다양한 앙케이트에서 항상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컴백만 했다하면 기가지니 뮤비차트에서 매우 오랜기간 1위를 지킨다. 신병이 오면 군가 대신 노래 가사부터 외우게 한다던가, 아이돌에 아무런 관심도 없던 지인이 군대에 다녀오더니 플로버가 되어 돌아왔다는 이야기 등을 심심찮게 들어볼 수 있을 정도로, 육해공을 가리지 않고 압도적인 인기를 자랑한다. 든든한 응원소리 1위 걸그룹 2020년~2021년을 기점으로 현역 군인들의 워너비이자 원탑에 가까운 위치에 서 있는데, 이전 군통령에 비해 집권기간이 상당히 긴 편이다. 벌써 5년째 정상을 지키고 있는 셈. 다만 2025년 조사에선 aespa에 한끗 차이로 밀려 2위를 차지했는데, aespa의 위상을 생각하면 군대 내에선 두 그룹이 비슷한 위치라는 것 부터가 이들이 군통령이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73]

남성층에서 이렇게 많은 인기를 누리는 이유에 대해선, 단순히 예쁘기만 한 것이 아니라 멤버 중 닮은 사람 하나 없이 모두가 개성이 매우 뚜렷하게 달라 적어도 한명쯤은 자기 취향이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74] 군대에서 반강제로 주입당하더라도, 그 중 자기 취향이 최소 한명 이상은 있기에 자연스레 좋아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생활관에서 절대 이상형이 겹치지 않는 그룹이라는 말도 있다.

9.2. 숙소 변천사

파일:플레디스 청담동 사옥 외관.jpg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1층 거실 01.png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1층 거실 02.png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1층 3인실 02.png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1층 부엌.png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1층 테라스.jpg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1층 3인실 01.png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1층 2인실.png
거실 및 부엌
거실 및 테라스
3인실
2인실
숙소 1층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2층 다락방 통로.png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2층 다용도실.jpg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2층 4인실.png 파일:프로미스나인 구 숙소 3층 다락방.png
다락방 통로
다용도실
4인실
다락방
<rowcolor=#fff,#fff> 플레디스 청담동 사옥 외관 숙소 2층 숙소 3층
일반적인 경우 기획사의 사옥 근방에 있는 맨션, 아파트 등을 소속 아티스트의 숙소로 활용하는 것과는 달리, 프로미스나인은 청담동에 위치한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의 사옥 윗층에 마련된 거주 공간을 첫 숙소로 사용했다.[75]

숙소는 복층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방송에서는 비춰지지 않았지만 부엌 양측으로 욕실과 다용도실이 있어 탈의실로 활용됐다. 2층의 경우 1층과 마찬가지로 욕실과 테라스가 있는데 테라스 계단을 통해서도 3층 옥상에 출입이 가능하며 각종 소품과 함께 화장대가 놓여있는 방이 하나 더 있다. 더불어 다용도실은 4인실과 구분 짓는 벽면에 큰 거울이 설치돼있는 공간인데, Channel_9을 보면 바닥이 따뜻하다는 이유로 이새롬이 자주 터를 잡는 듯하다.

또 숙소 자체가 사옥인 만큼 지하 층에 연습실이 있어서 차량 이동 없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바로 내려가면 된다.

게다가 웹 예능 '방판소년단'를 통해 사옥 1층에 카페테리아도 있음이 확인됐다.

2020년 기준, 옛 숙소의 룸메이트는 다음과 같았다.
<colbgcolor=#000,#383b40><colcolor=#fff,#fff> 1층
장규리
백지헌
송하영
박지원
이채영
2층
이새롬
노지선
이서연
이나경
첫 숙소에서 살기 시작했을 때, 룸메이트 선정 방식을 트위터에서 투표로 결정했다. 선정된 방식은 해적 룰렛. 그 결과, 2인실에 장규리, 노지선이, 3인실에 송하영, 박지원, 이채영이, 4인실에 나머지 멤버인 이새롬, 이서연, 이나경, 백지헌이 거주하게 됐다. 이후 생활스타일의 차이로 2인실의 노지선과 4인실의 백지헌이 서로 방을 바꾸었다.
그러다 2020년 7월 플레디스 사옥 인근의 아파트로 숙소를 옮기며 동시에 두 채로 나눠 쓰게 되었다고 한다.

숙소1 - 서연, 채영 / 하영, 지원 / 새롬
숙소2 - 나경, 지헌 / 지선 / 규리

그러다 숙소 2가 또 다시 다른 곳(2채)으로 이사를 갔는데, 여기서는 4명이 전부 각 방을 사용한다.

2023년 9월 기준, 숙소의 룸메이트는 다음과 같다.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1채
송하영
박지원
이채영
2채
이새롬
이나경
백지헌
3채
노지선
이서연
2023년 4월 30일 위버스 라이브까지는 새롬이 1채에 살았던 것으로 보이나 2023년 6월 25일 위버스 라이브에서 숙소에서 지헌과 피자를 나누어 먹었다는 채팅이 있었는데 다음날인 26일 새롬 피셜로 하영, 지원이 각방을 쓸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해 2채로 이사했으며 29일에 진행된 하영, 지원의 라이브 방송에서 결성 6년만에 각방을 쓰게 됐음을 알렸다.하영은 기존 방을 그대로 쓰며 지원이 방을 옮겼다고 한다.

현재 노지선과 이서연이 새로운 숙소인 3채에서 거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노지선이 숙소에서 라이브를 했을 당시 이서연이 합류했고, 채팅으로 참여한 백지헌을 보고 같이 합류하라며 얼마 안 걸리지 않냐는 말을 했기 때문에 같은 숙소는 아닌 것으로 보이며 2채와 3채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서연과 노지선은 위버스를 통해 서로 퇴근하면서 사갈 음식을 자주 물어보았기 때문에 같이 사는 것이 확실해 보인다. 또한 이새롬이 2채로 이사온 후 라이브를 했을 때 백지헌이 이새롬의 약과를 먹어도 되냐며 방 밖에서 물어본 적이 있었고 백지헌은 숙소 라이브에서 이새롬과 이나경 만을 언급했기 때문에 현재 숙소는 총 3채로 구성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2024년 3월 31일 기준, 숙소의 룸메이트는 다음과 같았다.
<colbgcolor=#000,#383b40><colcolor=#fff,#fff> 1채
송하영
이나경
이채영
2채
이새롬
백지헌
3채
이서연
노지선
2023년 하반기 이후 1채의 박지원은 서울로 본가가 이사를 오면서 숙소를 나가게 되었고, 이채영 역시 서울 언니집을 오가며 거주하면서 숙소에는 송하영 혼자만 남는 일이 잦았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이나경이 박지원이 쓰던 방으로 옮겨왔다. 3채의 경우 노지선은 서울 집이 가까워서 오가며 거주하고 있고 이서연은 서울 집이 멀어서 거의 숙소에 있다고 한다.

계약 만료를 3일 앞둔 2024년 12월 28일, 백지헌Weverse 라이브에서 '이 방에서 찍는 마지막 라이브'라고 언급한 것을 보아 공식적으로 계약 만료가 된 2025년 1월 1일 부터는 전원 숙소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1월 17일 백지헌의 인스타그램 라이브에서 아직 숙소에 잔류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6] 약 한달 뒤인 2월 12일에 진행된 백지헌의 인스타그램 라이브에서도 여전히 기존 숙소에 잔류하고 있었고, 2월 24일 공식 소통앱 fromm에서 침대를 비롯한 각종 물품들을 모두 새로 구매하고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각 멤버들이 숙소 또는 개인 집을 마련하기 전까지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측에서 편의를 봐준 듯 하다. 이후 3월 7일 송하영이 fromm 라이브에서, 백지헌이 3월 12일 인스타그램 라이브에서 이사를 완료했음을 알렸다. 5명 전원 숙소 생활을 끝내고 가족과 같이 살거나 따로 자취를 한다.

10.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미스나인/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로미스나인/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역대 프로필 사진

<nopad> 파일:유리구두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nopad> 파일:To. Heart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nopad> 파일:To. Day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파일:From.9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유리구두 To. Heart To. Day From.9
<nopad> 파일:FUN FACTORY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nopad> 파일:LOVE BOMB (Japanese ver.) 프로미스나인.jpg <nopad> 파일:My Little Society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nopad> 파일:9 WAY TICKET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bgcolor=#ece6f2,#ece6f2> FUN FACTORY LOVE BOMB (Japanese ver.) <nopad> My Little Society <bgcolor=#d8dcdd,#d8dcdd> 9 WAY TICKET
파일:Talk & Talk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nopad> 파일:Midnight Guest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nopad> 파일:from our Memento Box 프로미스나인 9인 프로필.jpg 파일:from our Memento Box 프로미스나인 8인 프로필.jpg
Talk & Talk <bgcolor=#bbbadc,#bbbadc> Midnight Guest from our Memento Box
파일:Unlock My World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파일:Supersonic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nopad> 파일:From Our 20’s 프로미스나인 프로필.jpg 파일:프로미스나인 가로형 로고.svg
Unlock My World Supersonic From Our 20’s

12. 둘러보기


파일:아이돌학교 로고 화이트.svg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ddd,#383b40><colbgcolor=#5b69ab,#5b69ab><colcolor=#fff> 방영 목록 ||<width=75%>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참가자 학생 | 순위표 | 점수표
데뷔 그룹 프로미스나인
관련 문서 비판 및 논란 | PLAY아이돌학교 | 특별 온라인 생방송 | 갤러리

파일:CJ ENM 로고.svg파일:CJ ENM 로고 컬러 화이트.svg
출신 아티스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 0 -10px -5px; min-width: 33.3%"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연도 아티스트 비고
2012년 TimeZ
슈퍼 제트 엔터테인먼트 합작
2016년 계약 종료
2016년 아이오아이 2017년 활동 종료
2017년 Wanna One 2019년 활동 종료
IN2IT 2020년 계약 종료
2018년 프로미스나인 2021년 계약 종료
IZ*ONE 2021년 활동 종료
2019년 X1 2020년 활동 종료
2020년 JO1 요시모토 흥업 합작
TO1 nCH 엔터테인먼트 합작
2023년 활동 종료
ENHYPEN HYBE 합작
2023년 산하 제외
2021년 INI 요시모토 흥업 합작
2022년 Kep1er 클렙엔터테인먼트 합작
Mbitious
ER콘텐츠미디어그룹 합작
2024년 계약 종료
2023년 DXTEEN 요시모토 흥업 합작
ZEROBASEONE -
EL7Z UP 애플몬스타 소속
2024년 ME:I 요시모토 흥업 합작
IS:SUE
B.D.U 오르카뮤직 소속
izna -
}}}}}}}}}
[ 솔로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bgcolor=#000><rowcolor=#fff> 연도 ||<width=40%> 아티스트 ||<width=40%> 비고 ||
2013년 홍대광 2017년 계약 종료
박재정 2015년 계약 종료
2014년 박보람 2018년 계약 종료
2016년 트루디 2018년 계약 종료
2017년 케빈 오 2017년 계약 종료
2018년 미아 2023년 계약 종료
2019년 김재환 Wanna One 멤버
2020년 나띠 2022년 계약 종료
2021년 김영흠 2024년 계약 종료
2021년 조유리 IZ*ONE 멤버
2022년 송수우 2022년 계약 종료
[ 영입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
[ 그룹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bgcolor=#000><rowcolor=#fff> 연도 ||<width=40%> 아티스트 ||<width=40%> 비고 ||
2014년 다비치 2024년 계약 종료
2015년 SG워너비 2019년 계약 종료
와블 2017년 계약 종료
스피카 2017년 활동 종료
2018년 훈스 2019년 계약 종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솔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연도 아티스트 비고
2006년 옥주현 2010년 계약 종료
이효리
2012년 손호영 2021년 계약 종료
나튜 2014년 계약 종료
2013년 정준영 2016년 계약 종료
2014년 로이킴 -
김필 2020년 계약 종료
2015년 에릭남 2021년 계약 종료
2016년 우잉제 2017년 계약 종료
헤이즈 2020년 계약 종료
2018년 애쉬비 2018년 계약 종료
2019년 하현상 -
2022년 임슬옹 -
}}}}}}}}} ||
||

파일:웨이크원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출신 아티스트

[ 그룹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bgcolor=#101920><rowcolor=#fff> 연도 ||<width=40%> 아티스트 ||<width=40%> 비고 ||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12년 TimeZ
슈퍼 제트 엔터테인먼트 합작
2016년 계약 종료
2016년 아이오아이 2017년 활동 종료
2017년 Wanna One 2019년 활동 종료
IN2IT 2020년 계약 종료
2018년 프로미스나인 2021년 계약 종료
IZ*ONE 2021년 활동 종료
2019년 X1 2020년 활동 종료
2020년 TO1 nCH 엔터테인먼트 합작
2023년 활동 종료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2년 Kep1er 클렙엔터테인먼트 합작
2023년 ZEROBASEONE -
2024년 izna -
[ 솔로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bgcolor=#101920><rowcolor=#fff> 연도 ||<width=40%> 아티스트 ||<width=40%> 비고 ||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13년 홍대광 2017년 계약 종료
박재정 2015년 계약 종료
2014년 박보람 2018년 계약 종료
2016년 트루디 2018년 계약 종료
2017년 케빈 오 2017년 계약 종료
2018년 미아 2023년 계약 종료
2019년 김재환 Wanna One 멤버
2020년 나띠 2022년 계약 종료
2021년 김영흠 2024년 계약 종료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1년 조유리 IZ*ONE 멤버
2022년 송수우 2022년 계약 종료
[ 영입 ]
||<tablewidth=100%><width=1000><#101920>
[ 그룹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bgcolor=#101920><rowcolor=#fff> 연도 ||<width=40%> 아티스트 ||<width=40%> 비고 ||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14년 다비치 2024년 계약 종료
2015년 SG워너비 2019년 계약 종료
와블 2017년 계약 종료
스피카 2017년 활동 종료
2018년 훈스 2019년 계약 종료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3년 Mbitious
ER콘텐츠미디어그룹 합작
2024년 계약 종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 27px"
{{{#!folding [ 솔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연도 아티스트 비고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06년 옥주현 2010년 계약 종료
이효리
2012년 손호영 2021년 계약 종료
나튜 2014년 계약 종료
2013년 정준영 2016년 계약 종료
2014년 로이킴 -
김필 2020년 계약 종료
2015년 에릭남 2021년 계약 종료
2016년 우잉제 2017년 계약 종료
헤이즈 2020년 계약 종료
2018년 애쉬비 2018년 계약 종료
2019년 하현상 -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2년 임슬옹 -
}}}}}}}}} ||



[ 그룹 ]
||<tablewidth=100%><bgcolor=#fff><tablebgcolor=#ffffff,#1F2023><rowbgcolor=#fff><tablecolor=#000,#fff><rowcolor=#000><width=100000> 데뷔년도 ||<width=30%> 아티스트 ||<width=30%> 비고 ||
2009년 애프터스쿨 -
2010년 오렌지캬라멜 애프터스쿨 유닛
2012년 뉴이스트 -
헬로비너스 판타지오 합작
2013년 뉴이스트 M 위에화 합작
2015년 세븐틴 -
2017년 프리스틴 -
뉴이스트 W 뉴이스트 유닛[1]
2018년 프로미스나인 [2]
PRISTIN V 프리스틴 유닛
2023년 부석순 세븐틴 유닛
2024년 TWS -
정한X원우 세븐틴 유닛
2025년 호시X우지 세븐틴 유닛

[1] Wanna One으로 재데뷔한 황민현을 제외한 4인조 유닛[2] 2020년 CJ ENM 산하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
[ 솔로 ]
||<tablewidth=100%><bgcolor=#fff><tablebgcolor=#ffffff,#1F2023><rowbgcolor=#fff><tablecolor=#000,#fff><rowcolor=#000><width=100000> 데뷔년도 ||<width=30%> 아티스트 ||<width=30%> 비고 ||
2006년 메이비 -
2007년 손담비 -
2011년 가희 애프터스쿨
2013년 BUMZU [3]
2014년 한동근 -
2017년 레이나 애프터스쿨
오렌지캬라멜
2022년 백호 뉴이스트
2023년 황민현 뉴이스트
Wanna One[4]

[3] 2014년부터 프로듀싱 협업을 진행했고, 2017년 소속사를 플레디스가 인수하면서 아티스트로도 합류[4] CJ ENM 산하의 프로듀스 101 시즌2 데뷔 보이그룹

파일:어센드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어센드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웬디 워드마크 (ASND).svg파일:웬디 워드마크 화이트 (ASND).svg
웬디
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svg파일:프로미스나인 From Our 20’s 로고 화이트.svg
프로미스나인
}}}}}}}}}

[1] 엠넷 아이돌학교 마지막 방송은 9월 29일에 방영이 시작됐지만, 자정을 넘겨 데뷔 확정자 9명이 발표되었는데, 송하영 생일 기념 V LIVE에서 멤버들이 9월 29일이 결성일이라고 언급했다. 더불어 9월 29일은 송하영의 생일인 만큼 그야말로 엄청난 생일선물을 받은 셈.[2] 아이돌학교로부터 [dday(2017-07-13)]일, [age(2017-07-13)]주년[3] 이전 소속된 기획사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홈페이지[4] 이전 소속된 기획사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유튜브 채널[5] 2025년 1월 1일 0시 이후로 읽기 전용 커뮤니티가 되었다.[6] 공식 팬카페(Daum)는 2023년 3월 31일 24시(KST)을 기점으로 모든 업데이트가 종료됐다. #[7] My Little Society 활동 이전까지 해당 구간에 이제는 약속해 소중히 간직해, 당신의 아이돌로 성장하겠습니다!라는 멘트가 있었다.[8] 본래 9인조로 데뷔하였으나, 2022년 8월 1일 멤버 장규리의 탈퇴로 8인조가 되었다. 이후 2024년 12월 31일 플레디스에서의 전속계약이 종료된 뒤 소속사를 옮기는 과정에서 이새롬, 노지선, 이서연이 여기에 합류하지 않고 각자의 길을 가기로 했고 2025년 3월 26일 신생 소속사 어센드엔터테인먼트가 상표권을 취득하여 '프로미스나인' 그룹명 그대로 5인조가 되었다.[9] 8인조 구성 2024. 12. 31.까지 캡틴 이새롬, 부캡틴 송하영이였다. 캡틴 이새롬이 휴식기를 갖고 있을 때 송하영이 캡틴 대행을 맡기도 했었다.[10] 오프더레코드엔터테인먼트 시절 발매된 FUN FACTORY 앨범에서 두 메인보컬이라고 밝힌 바 있고 멤버들도 직접 언급했다.[11] 혀니콤보에 출연했을 때 멤버들이 송하영을 메인댄서라고 불렀다.[12] 아이돌학교 1위 혜택으로 데뷔 앨범 센터.[13] 상술한 fromis를 그대로 발음하면 약속을 의미하는 영단어 promise와 발음이 같아진다. 물론 f 발음과 p 발음의 차이는 있지만.[14] 나인 이라는 숫자에 대한 설명이 없는것은 원래 아이돌학교 마지막 방송에서 'fromis_'로 결정되었다가, 2017년 11월 23일 프로미스의 방 종영 직후 엠넷과 티저에서 그룹명이 fromis_(프로미스)가 아닌 fromis_9(프로미스나인))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그룹명 한글 명칭은 공식 SNS계정에서 2017년 11월 24일부터 며칠 동안 프로필 사진을 공개하면서 #프로미스나인 이라고 공식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보도 자료를 통해 팀명 변경 확정이 알려졌다. 한동안은 여전히 '프로미스'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많고, 그룹명에 밑줄이 들어가 있어 "프로미스 언더스코어 나인"이라고 읽는 외국인도 많았다. 한 편에서는 걸그룹 흥행 공식인 네글자 이름을 버리고 쓸데없이 숫자를 왜 넣냐는 반응도 있었지만 지금은 약속시(9시), 채널나인, 9 WAY TICKET 등 나인 을 알차게 써먹으며 팬들 사이에선 잘 넣었다는 평가도 나왔었지만, 멤버 변화 이후로는 멤버들에게나, 팬들에게나 고민거리가 된 것은 덤. 이는 숫자 그룹명의 고질적인 문제이다.[15] 사실 전치사 from으로 유래를 따지는 것이기에 의미상 문제는 없다.[16] 프로미스나인은 변천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의미가 달라졌지만, 기존에도 그룹명에 숫자가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멤버의 수가 그 숫자와 서로 다르거나 직접 관련이 없는 그룹들도 제법 많다. 프로미스나인 이전에도 1997년부터 2000년까지 활동한 1세대 아이돌 젝스키스(Sechs Kies-독일어로 6개의 수정)의 경우는 2016년부터 2024년까지 재결합 활동을 하면서도 1명의 멤버가 개인사정으로 참여하지 않아서 5인조로 재시작했고, 얼마 후에는 한 멤버가 물의를 빚고 탈퇴당해서 4인조가 되었지만 그룹명을 끝까지 유지했다. 그리고 9명으로 데뷔했지만 탈퇴한 멤버가 생긴 후에도 그룹명을 유지한 SF9GHOST9, 6명으로 시작한 DAY6 또한 멤버 변화 이후에도 그룹명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일주일에서 모티브를 따와 7명으로 데뷔했지만 신지윤이 탈퇴한 후에도 그룹명을 유지한 Weeekly, 10명으로 데뷔하며 그룹명에 10의 로마 숫자인 X를 넣었다가 멤버가 탈퇴하며 X의 의미를 미지수 X로 바꾸고 그룹명을 유지한 NTX 등의 선례가 있다.[17] 다만 외부 컨텐츠 등에서도 '프로미스파이브로 가는 것이냐?'는 질문을 받을 정도로 타 그룹에 비해 나인이라는 숫자에 조금 이목이 집중되는 부분이 있긴 하다. 아무래도 상술한 예시와 달리 인원이 꽤 많이 줄었기 때문인 듯하다. 장규리 탈퇴 당시엔 딱히 나인이라는 숫자에 의문을 제기하는 반응이 많지 않았다.[18] 공식 유튜브에서 채널나인 콘텐츠의 하이라이트를 멤버별로 하루에 3개씩 올리며 제목을 '1일 3픎'으로 칭하기도 했다.[19] 공교롭게도 프로미스나인을 프로듀싱한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대표 한성수는 프로미스나인이 데뷔하던 시기에 사카마치 시리즈의 프로듀서 아키모토 야스시와 함께 프로듀스48 제작에 참여했다.[20] 사실 4세대 걸그룹 대부분의 컨셉이 소위 여성향인 걸크러쉬/힙합 혹은 청량/하이틴 성향이 된 이유에는, 2016년 BLACKPINK의 데뷔와 K-POP의 해외 진출로 인해 걸그룹 팬덤 내에서도 해외 팬덤의 지분이 높아져서 영미권 시장 입맛에 맞는 컨셉이 유리해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그 이후부터는 영미권에서 주로 보여지던 "청량/하이틴"이나 "힙합/걸크러쉬"이 콘셉트인 걸그룹이 늘어나기 시작하더니 4세대 때부터는 이 두 콘셉트가 주류가 된 상황이다.[21] 다만 프로미스나인은 상당히 독특한 케이스인게, 애매한 위치에서 굉장히 오랜 세월동안 활동해 왔다. 프로미스나인이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것은 프리 데뷔 약 1년 후인 LOVE BOMB이었고, 첫 1위를 거머쥔것은 프리 데뷔 후 약 4년이 흐른 Talk&Talk였다. 이후로 초동 10만장 달성, 멜론 TOP100 중하위권 진입 등 어느정도 성공은 거두었으나, 누가봐도 성공한 걸그룹이라고 이야기할 수준은 아니었다. 뒤늦게 빛을 본 케이스가 최근엔 없어지기도 했고, 있다 해도 빛을 보기 직전까지 아예 무명에 가까운 경우가 많았던 다른 사례들에 비하면, 프로미스나인은 계단식 성장이 아닌 천천히 우상향 곡선을 그린 셈이다.[22] 물론 앨범에 걸크러쉬 컨셉의 가사와 안무로 구성된 일부 수록곡이 포함되어 있긴 하나, 이것이 메인은 아니다. 뮤직비디오 구성으로만 보면 데뷔 초반에는 교복을 입은 학생, 중반 이후부터는 인스타그램SNS에서 인기를 얻는 세련된 SNS 스타 이미지로 등장한다. 유튜버 비디터가 올린 WE GO 댓글 모음 영상에서도 인스타그램 스타들을 모아놓은 것 같다는 댓글을 찾아볼 수 있으며, 다른 곡들의 댓글 모음을 봐도 이런 컨셉이 성공적으로 통했다고 평가하는 댓글들이 많다.[23] 대표적으로 프로미스나인의 본격적인 상승세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 Feel good - We Go - DM - Stay This Way로 이어지는 소위 SNS 3부작과 그 스핀오프에 해당하는 스디웨까지 아이돌 팬들 사이에서 큰 호평을 받았다. 특히 '코로나19로 밖에 나갈 수 없는 현실 속에서 떠나는 랜선 여행'을 주제로 삼은 '9 WAY TICKET' 앨범(타이틀곡 'We Go')의 경우, 아이돌 그룹 앨범에 현실 상황을 반영하는 것은 극히 드문데 이를 직접 반영하며 참신함을 줌과 동시에 높은 퀄리티로 내놓았다는 호평을 받았고 빌보드가 선정한 2021년 최고의 K-POP 중 한 곡으로도 이름을 올렸으며, 2022년 1월에 발매된 'DM' 또한 같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24] 현재 수십만장의 초동을 과시하는 아이돌들은 대부분 중국 공구량이 엄청나다. 하지만 프로미스나인은 그쪽에선 영 힘을 못쓰는 편.[25] 프로미스나인이 결성된 오디션인 아이돌학교 또한 나띠, 나타샤 로우 등 외국인 참가자들이 있었다.[26] 실제로 프로미스나인의 음악은 Supersonic으로 빛을 보기 전 음원 차트 등지에서의 성과가 좋지 못해도 그 곡 자체는 높게 평가 받는 일이 많았다. 차트인을 못했거나 했어도 하위권에 잠깐 머물다 나갔음에도 많은 사람들이 K-POP 굴지의 명곡으로 꼽는 WE GO와 DM이 그 예이다.[27] 특히 멤버가 결정된 이후부터 데뷔 직전까지는 연습생 기간이 없었던 만큼 짧은 기간 내에 데뷔가 가능할 정도의 최소한의 실력과 팀워크를 다지기 위해 굉장히 혹독한 트레이닝을 거쳤다고 한다. 새벽 4-5시 퇴근은 기본이고, CCTV로 24시간 촬영 중이라 사담을 나누거나 쉬기 위해선 둘러앉아 회의하는 척을 하곤했다고 한다. 게다가 숙소가 회사 건물 꼭대기라 쉽게 건물 밖을 나가기조차 어려웠다고.[28] 해당 공백기는 코로나 19가 세상을 덮친 2020년 9월까지 이어졌기에, 숙소가 회사 건물 꼭대기 였던 멤버들은 매일 새벽까지 연습실에 살다시피 했다고. 다만 데뷔 초에는 반강제에 가까운 트레이닝이었지만, 당시엔 연차가 조금 찬 만큼 자의에 의한 밤샘이었다.[29] 포지션을 확실히 나누던 거의 마지막 세대 아이돌이기도 하고, 한때 일본 공식 사이트에 멤버들의 포지션이 표기된 적이 있지만 멤버들의 언급에 의하면 포지션을 따로 나눠본 적이 없다고 한다.[30] 2ㆍ3차 평가 메인보컬[31] 심지어 2025 프로미스나인 월드투어 NOW TOMORROW.에서는 솔로무대에서 힙합 댄스를 선보이기도 하였다.[32] 실제로 이렇게 강조해서 말했다.[33] 플레디스가 해온 수식어 마케팅이라곤 멤버들도 부끄러워하는 프톤치드돌 정도 뿐이다. 최근에는 썸머퀸 쪽으로 보도자료가 많이 뜨지만, 이를 여름과 전혀 관련없는 곡인 #menow 때도 남발하는 등의 행태를 보여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팬들도 있는 편이다.[34] 멤버들끼리 그냥 암묵적으로 정한 것이다. 여타 다른 그룹과 달리 회사 차원에서 따로 메인 비주얼, 비주얼 에이스로 내세우는 멤버는 없다.[35] 오랜 연예계 생활로 못 본 연예인을 찾기가 힘들테고, 아이돌 전문 MC로만 10년 가까이 활동한 방송인이다. 심지어 그 자리만 해도 무려 21명의 아이돌이 있었다.[36] 얼굴 크기에 대해 이야기 중인 것도 아니었고, 멤버들이 지목한 것도 아닌 정형돈이 이나경을 바라보다가 뜬금없이 언급한 것이다. 자막에도 갑자기? 라 써있을만큼 돌발 멘트였다는 것.[37] 흔히 말하는 "이 중에 네 이상형이 하나 쯤은 있겠지"의 걸그룹 판.[HL] HYBE LABELS 채널(이전 소속된 기획사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의 모회사 HYBE)의 영상 조회수 기준[Of] Official fromis_9 채널(이전 소속된 기획사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의 영상 조회수 기준[SE] Stone Music Entertainment 채널(이전 소속된 기획사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의 영상 조회수 기준[Of] [SE] [HL] [HL] [Of] [HL] [Of] [HL] [f9] fromis_9 Official 채널(현재 소속된 기획사 어센드엔터테인먼트)의 영상 조회수 기준[SE] [Of] [52] 선공개 데뷔일[SE] [Of] [55] 정식 데뷔일[SE] [Of] [58] 오디션 프로그램을 한 번이라도 경험해 본 사람은 SIXTEEN에 출연했던 박지원이 유일하다.[59] 이는 맏언니 라인이 늦었다기보단 백지헌이 아이돌 역사를 통틀어 손에 꼽을 만큼 데뷔가 빨랐던 탓이 크다. 프리데뷔 당시 백지헌은 중학교 2학년으로, 2025년 기준 2011년생이 데뷔한 것과 같다. 당장 2025년 방영되는 보이즈2플래닛의 최연소 참가자가 2010년 생으로 데뷔 당시 백지헌보다 나이가 많다.[60] 유일한 자매 지간인 멤버 이채영은 3녀 중 막내, 집에서 유일한 첫째인 백지헌은 남동생 1명, 부캡틴인 멤버 송하영은 언니와 남동생, 그리고 박지원, 이나경은 위로 오빠밖에 없다.[61] 이나경백지헌이 서로의 옷을 입는 것이 포착되기도 했고, V LIVE 한림즈의 등굣길에서 이채영이 전 멤버 이서연의 티를 입고 나오기도 했다. 하영, 지원, 채영의 경우 채널나인에서 일정한 기준의 '저렴이' 들은 네 거 내 거 없이 공유한다고 직접 언급했다.[62] 송하영, 박지원, 이나경[63] 이채영, 백지헌[64] 심지어 전 멤버들도 모두 A형 또는 B형으로, 9인조 시절 멤버들의 혈액형을 나이순으로 나열하면 BABABABAB 이었다.[65] MAMA에서 프리데뷔를 한 지 정확히 7주년 되는 날이다.[66] 다만 서류상으로 3년 4개월인 것과 별개로 플레디스는 데뷔조 결성 직후부터 프로미스나인을 트레이닝, 프로듀싱, 매니지먼트까지 도맡아 왔기에 실질적으론 7년을 함께 했었다.[67] 2025년 1월 29일[68] 이날 MBC 측은 출연팀 당 4석밖에 배정이 안 되어 있던 팬석을 프로미스나인에 한해서는 두 배 많은 8석으로 배정했고, 팬석 위치도 스탠딩석, 그것도 무대 바로 앞으로 배정했다. 8인조로서는 마지막이라는 것을 알고 팬들을 배려해 준 것으로 보인다.[69] 멤버들을 영입한 지 약 3달이 지난 2025년 4월 25일, 해당 곡의 원곡자인 웬디가 어센드엔터테인먼트에 합류한 점도 흥미로운 부분이다.[70] , 뒤에 띄어쓰기가 아닌 붙여 쓰기로 표기됐었다.[71] , 뒤에 띄어쓰기가 아닌 붙여 쓰기로 표기됐었다.[2025년] 기준[73] 이 조사를 박지원이 우연히 보고 단톡방에 링크를 보내며 아 2등됨;; 이라고 했다고. 물론 1등이 aespa라서 이해가 갔다고 하며, 이채영은 나라도 aespa랑 가고싶을듯 이라며 자학개그를 날렸다.[74] 프로미스나인 이전의 군통령으로 명성을 모았던 브레이브걸스라붐도 비슷한 특징을 갖고 있다.[75] 해당 사옥은 한승연이 건물주로도 알려져 일본 카라 팬들에게는 '슨욘비루(スンヨンビル)'라고도 불린다.[76] 라이브 중 원래 같은 숙소에 살고 있던 이새롬이 집에 들어오자 라이브 중임을 알렸고, 이사 날짜가 미뤄졌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