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의 먹방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유노(먹방 유튜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노(먹방 유튜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노(먹방 유튜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의 먹방 유튜버: }}}[[유노(먹방 유튜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노(먹방 유튜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노(먹방 유튜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ff9d52><colcolor=#fff> 유노[1] Unoh | |
본명 | 노찬영 |
출생 | 1995년 5월 10일 ([age(1995-05-10)]세) |
MBTI | INFJ[2] |
콘셉트 | 주황색 모자와 후드티를 깔맞춤한 안경을 쓴 주황안의 소년 # |
팬닉 | 무지단[3] |
구독자 수 | 4.15만 명[기준] |
링크 |
1. 개요
SD캐릭터와 따뜻한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하는 '유노'입니다😊
- 유튜브 자기소개
유튜브와 치지직에서 활동하는 그림 크리에이터. 다양한 그림 컨텐츠들을 올리고 있다.- 유튜브 자기소개
2. 콘텐츠
2.1. 그림
- 빈티지하고 온화한
주황주황한[6]그림을 그린다. 그림영상에서 조명효과와 음악을 적절히 이용하는 편. - 유튜브 초기에는 '피그먼트 라이너'와 '마하펜'이라는 펜으로 그림을 그리고 그것을 스캔하여 포토샵으로 채색하였다.
- 현재는 와콤 타블렛을 사용하여 포토샵으로 러프부터 선 그리고 채색까지 진행하고 있다.
2.1.1. 스피드페인팅
- 게임# 및 애니메이션# 캐릭터부터 유튜브 크리에이터#, 아이돌 및 가수#, 그리고 창작 그림까지 다양한 스피드페인팅 영상이 있다.
- 종종 창작 그림으로 월페이퍼를 만들어 영상 하단란에 공유하기도 한다.
2.1.2. 야매 그림 강좌
"유노의~ 유노의~ 유노의~ 야매 그림 강좌~!"
- 야매 그림 강좌 오프닝멘트
- 야매 그림 강좌 오프닝멘트
- 그림을 시작할 때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여러 팁들을 간단히 설명해주는 그림강좌 시리즈이다. #
- 유튜브 커뮤니티에서 새로운 컨텐츠에 대한 투표를 실시하여 그 결과로 탄생하게 되었다.
- 영상 오프닝에서 '유노의~ 유노의~ 유노의~ 야매 그림강좌~'라고 화음을 쌓는 것이 일종의 재미포인트이다.[7]
2.1.3. 유노의 서일페 도전기
- 서울 일러스트레이션 페어를 대비해 준비하고 참여하는 과정을 담은 브이로그 시리즈이다. #
2.2. 생방송
- 일주일 중에 1~2번[8] 생방송을 진행하고 있다.[9]
- 기존에는 유튜브와 치지직에서 동시송출을 진행하였으나, 현재는 치지직 단독 송출을 진행중이다.
- 종종 치지직에서 새벽방송을 진행하기도 한다.[10]
- 주로 그림 컨텐츠를 진행하며, 가끔씩 게임을 하기도 한다.
- 생방송에서 시청자들의 채팅을 잘 읽어주고 소통이 원활한 편이다.
- 인터넷을 새로 바꾸기 전에는 인터넷 상태가 안좋은 적이 많아서 방송이 연기된 적이 꽤나 있다.[11]
2.2.1. 프사 그려드리기 이벤트
- 생방송에서만 진행하는 컨텐츠로, 매달에 한 번 시청자들 중 일부를 추첨하여 유튜브 프로필 사진을 그려준다.
- 이벤트 당첨자들의 프사를 그린 그림들은 팬카페나 유튜브 커뮤니티에 올려준다.
- 퀴즈 난이도
- 초반에는 추첨으로만 진행되었으나, 경쟁률이 높아[12] 현재는 유노가 낸 퀴즈를 맞춘 시청자들 중 추첨해서 진행한다.
- 퀴즈 난이도가 왔다갔다 한다.
- 2025년 1월 26일을 기준으로 재개되었다.
- 프사 이벤트 버전을 초기화하여 다시 1로 돌아갔다.[15]
- 프사 이벤트가 리뉴얼됨에 따라 기존 당첨자들도 재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2.2.2. 말실수
생방송 말실수 모음집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시청자의 이름을 이상하게 부르거나 다른 시청자 이름과 바꿔부르는 경우가 자주 일어난다. |
제주도 다녀온 사진을 보여주다가 어미고양이를 어미새라고 잘못 말하였다. [16] | |
방이 습해서 타블렛 usb 단자가 녹슬었다고 하는 채팅에 제습기와 가습기를 혼동하여 가습기를 틀으라 말하였다. [17] | |
네잎클로버를 네이버클로버라고 잘못 말하였다. [18] | |
군단을 단군으로 잘못 말하였다. [19] | |
방송을 방신으로 잘못 말하였다. [20] | |
기프티콘을 이모티콘이라고 잘못 말하였다. [21] | |
컨베이어 벨트를 컨테이너 벨트라고 잘못 말하였다. [22] | |
어노잉 오렌지를 어노잉 노렌지라고 잘못 말하였다. | |
'안경 쓴 대학생 누나'를 읽을 때 '대학생을 쓴'이라고 잘못 읽었다가 정정하였다. [23] | |
보색대비를 보석대비라고 잘못 말하였다. [24] | |
원리원칙적을 원리원리적으로 잘못 말하였다. [25] | |
콤플렉스를 컴플레인이라고 잘못 말하였다. [26] | |
젠가를 젤다라고 잘못 말하였다. [27] | |
멤버십을 유노유료화 라고 잘못 말하였다. | |
파피 플레이타임 챕터 3 에 나오는 캣냅을 캣닢으로 잘못 말하였다. | |
원신 에 나오는 타이나리를 티이나리로 잘못 말하였다. | |
우마무스메를 우마메무스로 잘못 말하였다. [28] | |
원신에 나오는 호두를 버터라고 잘못 말하였다. [29] | |
초록색을 배추색이라고 잘못 읽었다. | |
갈색을 보고 녹색이라고 말하였다. [30] | |
7개의 대죄을 칠곱개의 대죄라고 잘못 읽었다. | |
시청자에게 받은 편지에 붙어있는 실링 왁스를 녹은 촛농이라고 잘못 말하였다.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수상한 나라의 앨리스라고 잘못 말하였다. | |
오드아이를 매직아이라고 잘못 말하였다. | |
바리에이션을 바이브레이션이라고 잘못 말하였다. | }}} |
2.2.3. 별명 및 밈
- 유하/유바: 유노 하이 / 유노 바이를 줄인 말. 주로 시청자들이 유노에게 인사할 때 사용한다.
- 무하/무바: 무지단 하이 / 무지단 바이를 줄인 말. 주로 유노가 시청자들에게 인사할 때 사용한다.
- 무지단: 유노의 팬닉. 유노 캐릭터의 앞머리가 단무지 닮았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설정표]
- 비트무지단: 악질 시청자를 지칭하려 나왔었지만, 현재는 유노를 놀리기 좋아하는 장난끼 많은 시청자를 지칭하는 말.
- 얼터무지단: 얼터 유노의 팬을 지칭하는 말.
- 피클/치킨무: 악질 시청자를 지칭하는 말. 최근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 얼터 유노: 유노와 정반대의 색, 디자인, 성격[34]을 가진 캐릭터. 시청자가 제작하였으나 인기에 힘입어 공식화되었다. [설정표]
- 평소의 그림방송과 달리 게임방송을 진행할 때에는 얼터유노로 캐릭터를 바꾸어 플레이하고 있다.
- 유노를 놀릴 때 얼터 유노와 비교하면서 놀리는 시청자들이 많다.
- 최근에 얼터 유노라는 이름으로 게임 채널을 생성하였다.
- 오봉숙: 시청자들이 OBS의 글자를 따서 이름 붙인 것. 유노가 캐릭터를 만들면서 공식화되었다. [설정표]
- 방송에서는 주로 오봉숙씨나 봉숙씨로 불린다.
- 방송에서의 송출 문제가 있을 때 유노가 오봉숙씨를 괴롭혀서 그런 것이라고 놀림을 받는 편이다.
- 유노바보/유바노보: 방송에서 자주 실수하는 탓에 붙은 별명이다. 초성을 따서 'ㅇㄴㅂㅂ', 'ㅇㅂㄴㅂ'라고 사용한다.
- 유노천재: 유노바보와 반대되는 말. 그림 잘 그렸을 때 시청자들이 종종 사용한다.
- 시청자들이 유노바보 칠 때, 유노는 유노천재라고 친다.
- 초성을 따서 'ㅇㄴㅊㅈ'라고 하는데, 초성을 이용해 다양하게 바꿔부른다. [37]
- 쿼카방장: 실제 모습이 쿼카의 웃는 느낌과 닮았다고 해서 붙은 별명이다. 현재는 잘 사용되고 있지 않다.
- 유단지: '유노 + 단단지'. 포켓몬 단단지의 맹한 표정과 닮았다고 해서 시작된 별명이다.
- 단묶귀: 좋아하는 캐릭터들이 주로 '단발'이거나 '묶은 머리'이고, '귀여운 외모'인 유노의 취향을 줄인 말이다.
2.3. 콜라보
- 유노의 이상형 그리기? [미니유메[40] : 부위별 그리기] : #
- 막장 드라마 콩가루 집안 만들기 [미니유메 : 미래의 친구들 그려주기] : #
- 운학님의 그림을 나만의 스타일로 그려보자 : #
- '고독과 증오(Lonely and Hate)' Speedpaint [ Sen K X 유노 ] : #
3. 여담
- 전공은 산업 디자인이라고 한다.
- 취미로 일러스트를 그리다가 쁘허의 추천[41]으로 2015년 초반부터 유튜브를 시작하여 샌드박스 네트워크[42]에 합류하였다.
- 가장 좋아하는 색은 자신의 캐릭터 색과 같은 주황색이라고 한다. 하지만 주황색 야채인 당근은 싫어한다.[43]
- 크리스마스 이브 특별방송에서 크리스마스 스펠링에 h를 빼먹었다.
- 보통 나무보단 숲을 보는 경향이 있다.
- 어린시절 팔이 부러진 적이 있다고 한다.
- MBTI에서 F와 T가 거의 비슷하게 나온다고 한다.
- 자다가 새벽방송에 지각하거나 안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44]
- 종종 게임방송을 진행하기도 한다.
- 라이브를 할 때마다 자주 빵이나 면을 먹고 오는 경우가 많아서 시청자들에게 든든하게 좀 먹으라고 혼날 때가 많다.[45]
- 구독자가 10만 명 이하임에도 유튜브 채널이 인증 배지를 받았다.[46]
[1] 이름의 유래는 자신이 롤러코스터 타이쿤을 하던 시절 존경한 유저의 이름이라고 Q&A에서 밝혔다.[2] 2024년 1월 27일 새벽방송에서 MBTI검사를 한 결과, ISTJ에서 INFJ로 바뀌었다.[3] 유노 캐릭터의 앞머리가 마치 단무지와 닮았다고 해서 선정된 팬닉이다.[기준] 2025년 4월 2일[5] 얼터유노 이름으로 되어있는 게임 채널이다.[6] 팬들이 그렇게 부르는 듯.[7] 초기 버전에서는 에코만 들어가있고 화음은 존재하지 않는다.[8] 평일에는 오후 8시, 주말에는 오후 7시[9] 생방송 일정을 확인하고 싶다면 매주 유튜브 커뮤니티, 팬카페, 디스코드 채널에 일정 공지를 올리니 참고하면 된다.[10] 새벽방송은 오전 2시에 시작한다.[11] 대표적으로 크리스마스 이브 방송. 그 당시 약 40분 정도 지각하였다. OBS스튜디오도 다시 깔고, 컴퓨터 재부팅도 하고, 랜 선도 뽑았다 다시 꽂고.....[12] 평소의 방송보다 프사 그려드리기 이벤트 방송에서 시청자 수가 2배가량 증가한다.[13] 문제의 정답은 세는나이 기준이었다. 문제에 나이 기준을 표기하지 않았고, 실시간으로 기준을 말해주었으나 듣지 못한 사람도 많았다.[14] 이번 이벤트에서는 다른 때보다 많은 인원(9명)을 뽑는다 해서 기대가 높았다.[15] 이는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한다는 뜻이었다고 한다.[16] 2023.9.24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 (2:11:52 경)에서 확인 가능하다. #[17] 2023.9.24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 (2:58:30 경)에서 확인 가능하다. #[18] 2023.10.22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 (4:51:08 경)에서 확인 가능하다. #[19] 2023.11.1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 (1:35:30 경) 에서 확인 가능하다. #[20] 2023.11.5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 (1:37:30 경) 에서 확인 가능하다. #[21] 2023.11.11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에서 확인 가능하다. #[22] 2023.12.09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에서 확인 가능하다.#[23] 2024.01.21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에서 확인 가능하다.[24] 2024. 01. 26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에서 확인 가능하다.[25] 2024. 01. 27에 진행한 새벽 트위치방송에서 발생하였다.[26] 2024. 01. 28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에서 확인 가능하다.[27] 2024. 02. 09에 진행한 생방송 영상에서 확인 가능하다.[28] 거기다가 아이마스와 우마무스메를 헷갈려했다.[29] 전에 앙버터 호두과자 이야기를 했기에 헷갈린 듯 하다..[30] 유노도 갈색인걸 인지했지만 말이 잘못나왔다고 한다.[31] 매 방송마다 꼭 한번씩은 한다고 보면 된다.[32] 벌칙은 '내꺼하는 법' 부르기였다. 팬카페에 올라간 노래영상은 삭제되었지만 2023년 11월 8일자 방송 다시보기(34:35~)에 남아있다. 정작 유노 본인은 다시보기에 남아있다는 사실을 까먹고있다. #[설정표] #[34] ENFP[설정표] #[설정표] #[37] 유노치질, 유노초장, 유노추잡, 유노처절 등[38] 돼지감자, 감자방장, 돼감방장, 뿡돼감 등[39] 감자렐라, 돼감렐라 등[40] 민울, 이춘향, 유노, 메이비[41] 쁘허가 관심 있게 보던 시청자 중 한 명이었으며 이로 인해 샌드박스로 유입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42] 현재는 샌드박스 네트워크와의 계약이 끝났다고 한다.[43] 그래서 시청자들이 생방송이나 팬카페에서 당근으로 장난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44] 시청자들이 항상 이걸로 놀린다.[45] 특히 파스타, 햄버거를 즐겨먹는다.[46] 상당히 오랜 기간 운영된 채널인 만큼 과거에 받았을 수도 있고, 유튜브 고객센터의 설명에 따르면 "구독자 수가 100,000명이 안 되지만 YouTube 밖에서 유명한 채널이라면 YouTube에서 사전 인증해주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