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2-18 19:08:29

유흥업자(문제아 시리즈)



문제아 시리즈
등장인물 목록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ffdae9,#ffdae9> 노 네임 ||
신규 멤버: 사카마키 이자요이 · 카스카베 요우 · 쿠도 아스카 · 백설공주 · 아르마테이아 · 페스트
구 아르카디아 대연맹 멤버: 흑토끼 · 진 러셀 · 카스카베 코우메이 · 크로아 바론 · 카나리아 · 레티시아 드라쿨레아 · 오르페우스 · 헤라클레스
퀸 핼러윈 / 산하 커뮤니티
퀸 핼러윈: 퀸 핼러윈 · 스카자하 · 페이스리스
윌 오 위스프: 윌라 더 이그니파투스 · 잭 오 랜턴
호무라 팀: 사이고 호무라 · 아야자토 스즈카 · 아스테리오스 · 쿠도 아야토
기타: 아서 펜드래곤
마왕연맹 우로보로스 / 산하 커뮤니티
1~3연합: 크리슈나 · 제임스 · 맥스웰의 마왕 · 라미아 드라쿨레아 · 레티시아 드라쿨레아 · 오르페우스 · 유흥업자 · 혼세마왕
그림그리모어 하멜른: 라텐 · 베저 · 페스트
왕군 아바타라 / 산하 커뮤니티
비슈누의 화신: 칼키 · 쿠르마 · 파라슈라마 · 크리슈나
기타: 진 러셀 · 페스트 · 아르주나 · 아야자토 린 · 그라이어 그라이프 · 혼세마왕
기타
사우전드 아이즈/산하: 백야차 · 루이오스 페르세우스 · 알골
천군: 제석천 · 프리티비 마타 · 제우스 · 헤라클레스
위그드라실: 비다르 · 튀포에우스 · 미노타우로스 · 루이오스 페르세우스 · 알골
칠대성: 우마왕 · 교류 · 가릉 · 슈텐 · 손오공
라스트 엠브리오/종말의 짐승: 아지 다카하 · 엔드 엠프티네스 · 디스토피아 · 백야왕 · 코펠리아 · 튀포에우스 · 발로르
기타: 사이고 토우야 · 두발가인 · 이시 · 알비노 소녀 · 아르토리우스 · 성해용왕 · 샐러 돌트레이크 · 비슈누

1. 개요2. 행적3. 정체에 관한 추측

1. 개요

[ruby(유흥업자, ruby=스토리텔러)]. 문제아 시리즈의 등장인물.

초반에는 언급과 4권의 회상으로만 나온다.

커뮤니티 [ruby(환상마도서군, ruby=그림 그리모와르)]의 마왕. 라텐, 베저, 신데렐라, 백설등 200편의 그림 동화에서 각기 다른 악마를 소환했다는 경이로운 소환사. 실은 카나리아와 같은 인류의 환수 시인으로 상기된 소환능력은 시인의 능력의 일부다. 생전에는 마왕으로 쾌활한 인물이었던 모양으로 모든 평행세계에서 같은 운명에 처한 흑사병 희생자들을 딱하게 여겨 새로운 마왕이자 흑사병의 '신령'으로 페스트를 소환하려 했으나 도중에 토벌되 의식을 그르친 모양. 이 술식은 아우라에게 부활되어 그림 그리모어의 후계인 그림 그리모어 하멜른이란 후계 커뮤니티가 생겨났다. 근데 사실 그냥 본인이 나중에 부활해 완성시키고 아우라는 거든 정도인듯.(...)

2. 행적

과거에 "계층 지배자"제도 시행 초기, 새로운 태양주권을 둘러싼 흡혈귀들의 쿠데타에 자포자기 한 레티시아에게 일갈했으며 그녀의 주최자권한에 블라드 가시공의 일화를 엮어 기프트 게임"SUN SYNCHRONOUS ORBIT IN VAMPIRE KING"로 만들어 마왕으로 떨구는데 일조하였다. 다만 계약서류에 그나름대로 무기한 연기를 설정해 둔 걸 보면 그나름대로 양면성이 있는 인물로 보인다.

죽은 줄 알았지만 11권에서 아지다카하에게 모습을 드러내며 살아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다만 영격은 죄다 잃었다고 한다. 현재는 우로보로스에 소속되어 있으며 어째서인지 레티시아의 옛 커뮤니티의 시녀장이었던 순혈의 흡혈귀인 카라를 시종으로 데리고 있다. 이자요이를 카나리아가 만든 것처럼 우로보로스의 전하를 만든 것도 스토리텔러다.

본인왈 아지다카하의 팬으로 그가 마왕이라고 생각하는건 아지다카하 뿐이라고 한다. 모종의 이유로 노이즈같은 상태가 되었는데, 아지다카하조차도 아베스타를 쓰지 않으면 죽일수 없다고 한다. 보통 영격을 전부 잃어버리면[1] 카나리아처럼 죽게 되는데, 모종의 방법으로 노이즈 상태가 된듯. 영격이 곧 기척이 되는 모형정원에서는 은신상태나 다를게 없다.[2]

2부에선 에프리싱 컴퍼니 소속의 개발부장 '에드워드 그림닐'이란 인물이 카라의 오빠라며 등장하는데 스토리텔러로 보인다. 퀸이 알면서도 묵인하는 건지 퀸에게 자기 존재를 속이는데 성공하고 잠입한 건지는 불명. 경애하는 분을 잃어서 기분이 언짢았으나 호무라를 보고 기분이 좋아진다. 호무라에게 우리들은 자네의 아군이 될꺼야라는 의미심장한 말을 한다. 단순히 에브리싱 컴퍼니를 '우리'라고 칭한걸 수도 있지만, 우로보로스가 영구기관[3]을 노리는 걸 생각하면 조금 묘하다.

이후 독일의 입자연구소 '이미르'에서 성신입자체를 이용한 생명의 대수(게놈 트리) 연구를 하고 있다. 전하와도 계속 커넥션을 가지고 있던듯. 스토리텔러도 우로보로스의 뒤를 후려칠 생각일지도 모른다.

3. 정체에 관한 추측

성인(聖人)에게 공적을 빼앗겼다는 언급이 있는데 일단 그림 동화를 시인의 능력으로 다루었을 뿐이지 그림 형제는 분명히 아니기에 '그림 동화의 마왕'이란 것은 어디까지나 표면적인 위장이 아닐까하는 의구심을 불러온다.

이후 2부에서 그가 외계에서 가명으로 쓰는 에드워드 그림닐(Grimnir)이란 이름을 사용하는 것으로 어느정도 단서를 뿌리고 있다. 12권에서 제석천이 쓸 이름을 고민하는 것도 그렇고 바깥 세계에서 이름에 자신의 정체에 관한 단서를 넣어야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것은 북유럽말로 '가면을 쓴 자'라는 의미로 오딘의 별명 중 하나이다. 여기에 공적을 성인(聖人)에게 빼았겼다고 언급이 10권에서는 몰락신군으로 12권에서 기독교에게 신앙을 뺏겼다고 언급된 북유럽 신군과 공통분모가 있어 의구심을 불어넣는다. 더불어 그림 동화의 발상지인 독일은 북유럽권이고 언어학자였던 그림형제가 흩어져있던 지방의 전승들을 묶어 편찬한 것이라 북유럽 신화이야기가 녹아들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실재로 H.A 거버의 북유럽신화에 의하면 일부 설에서 하멜른의 피리부는 사나이의 원형이 오딘으로 인식되는 것으로도 보인다. 만약 스토리텔러가 오딘이라면 자기 신앙 일부를 때줘 페스트를 신령으로 소환하는 술식을 만들었어도 이상하지 않은 것.

더불어 호무라와 함께 성신입자체에 대한 실험도 독일에서 시행했으며 이미르라던가 생명의 대수라던가 여기저기 북유럽 신화스러운 코드를 넣어놓은 것도 의심의 한축.그리고 밀리언 크라운 세계선에서 환경제어탑의 폭주로 이상진화한 생물군 증 환수종들의 통칭을 Grimm이라고 칭하고 있어 역시 의심스럽다.

그가 만약 오딘이라면 인류의 환수인 시인이자 후천적인 신령인 셈인데 완전소멸을 피한 것도 몰락했지만 그래도 신령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어서 그럴 가능성도 있다. 원수인 성서의 신군이 개입하는 것으로 보이는 우로보로스에 협력하는 것도 페스트처럼 재구축 되 예속된 것이라면 납득이 되는 편. 더불어 태양주권전쟁이나 성신입자체 관련은 여러정황상 몰락 신군이 일어날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실재로 분명 약체 취급당하던 북유럽신군이 2부가 진행될수록 강대한 면모를 드러내고 있는 것처럼 묘사된다.

그리고 본래 신화에서 오딘은 시인의 신이기도 하다. 현대에서 오딘은 시인들이 이야기를 전승하는 과정에서 본래 주신이던 토르의 자리를 꿰차게 됐다는 설이 대세이니 스토리텔러=오딘 설은 나름 가능성이 있는셈. 참고로 현재의 북유럽 신화가 정립되기 전의 오딘은 본래 악령의 무리를 이끌고 다니는 이미지였고(여기서 에인헤야르와 발키리를 이끌어 간다는 이미지가 파생하였다.) 주신자리에 놓여지고도 불길한 점은 그다지 변하지 않았으며(...) 기독교가 퍼진 다음부터는 악마취급까지 덤으로 받는다. 오딘이란 이름부터가 '광기에 찬 자'라는 뜻이다.(...)

가설이 맞다면 아메리칸 갓[4]의 웬즈데이에서 모티브를 따온 게 아닐까 생각된다. 해당 작품에서도 오딘은 웬즈데이 이외 보탄, 그림, 그림닐등으로 불리며 현대의 신들에게서 신앙을 되찾기위해 행동하고 트릭스터스러운 모략꾼같은 성격을 보인다.
[1] 작중에서 아지다카하가 이를 '노 포머'라 칭한다. 요우의 경우 어머니쪽의 영격을 상실한 반쪽짜리 노 포머[2] 12권에서 제석천이 무언가의 기척을 느끼지만 이내 나무에서 난 노이즈라 착각하고 넘어간다. 실제로는 스토리텔러가 숨어서 대화를 엿듣고 있었다.[3] 정확히는 제 3영구기관[4] 미드는 2017년 작품이자만 원작은 2000년대 초반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