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자: 陸軍硏成學校육군연성학교는 대한제국군의 보수교육기관이었다. 1904년 9월에 대한제국군 교육부가 창설되면서 그 휘하에 1905년 2월에 생겨났다. 육군유년학교와 동시에 생겨났다.
당시 육군무관학교는 신규 참위(소위)를 양성하는 양성교육기관이었고, 연성학교는 장교나 하사관의 병과와 직무 교육을 담당하였다. 오늘날 한국과 비교하자면 연성학교는 육군교육사령부의 예하 학교들과 비슷한 역할을 했다. 이 시점에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면서 일본은 대한제국군을 군축하도록 요구했다. 그런 와중에 연성학교와 유년학교가 세워졌다.
교육기간은 6개월이었으나, 이 시기에 이미 구한국 정부는 권한을 잃고 있었다.
2. 구성
티오상 교장은 참장(소장)이나 정령(대령) 1인으로 두며, 부관은 정위(대위), 교관은 31명으로 영관급이 3명에 위관급이 28명이다. 영관급 교관은 아래 3개의 교육과의 과장을 맡았다. 그 외에 군의관을 맡는 의관 1명, 경리를 맡는 향관 1명의 장교가 있다. 번역관 2명에 서기 3명은 기타 공무원으로 두었다.인원을 관리하는 교성대에는 영관급 교성대장 1명, 중대장 4명과 교성대 소속에 장교 16명, 특무정교(원사) 4명에 조교로 정교(상사)나 부교(중사) 40명을 두었다.
- 전술과(戰術科)
- 사격과(射擊科)
- 체조검술과(體操劍術科)
- 교성대(敎成隊)[1]
3. 여담
독립운동가인 노백린이 육군연성학교의 교성대장과 교장 등을 지낸 적이 있다. 승정원일기 기록4. 역대 지휘관
4.1. 학교장
- 정령 노백린(盧伯麟) 육군 보병 정령 노백린에 대해 징계를 사면할 것을 청하는 의정부 대신 훈2등 이완용 등의 계- 부령 이희두(李煕斗) 교육부 참모관에 육군 참령 이남하 등을 보하였다
- 참장 김승규(金昇圭) 군부 군무국장에 육군연성학교장 이희두를 제수하라는 조령
5. 링크
(대한제국 관보) 육군연성학교 관제[1] 교육인원을 관리하는 부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