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1:09:29

윤혜영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윤혜영(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윤혜영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아시아 양궁 연맹 로고_상하.svg
아시아 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52b848><colcolor=#ffffff> 1회 1980 콜카타 <colbgcolor=#52b848><colcolor=#ffffff> 2회 1981 싱가포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영숙
3회 1983 홍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호 4회 1985 자카르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향순
5회 1988 홍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수녕 6회 1989 베이징
7회 1991 마닐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장미 8회 1993 자카르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욱
9회 1996 촌부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례 10회 1997 랑카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혜영
11회 1999 베이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현지 12회 2001 홍콩 파일:중국 국기.svg 장쥐안쥐안
13회 2003 양곤 파일:중국 국기.svg 린상 14회 2005 뉴델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
15회 2007 시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성진 16회 2009 덴파사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현정
17회 2011 테헤란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양니엔슈 18회 2013 타이페이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레이첸잉
19회 2015 방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혜진 20회 2017 다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경
21회 2019 방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채영 22회 2021 다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해진
23회 2023 방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미선 24회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윤혜영
尹惠榮 | oon Hyeyoung
파일:하계올림픽윤혜영2.png
출생 1977년 3월 15일 ([age(1977-03-15)]세)
충청남도 보령시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홍성여자고등학교 (졸업)
강남대학교 (학사)
용인대학교 (교육학 / 석사)
종목 양궁
소속 현대모비스 (2000~2003)
신체 166cm, 59kg
약력 서울대학교 강사
충남양궁협회 전무이사
1. 소개2. 선수 경력3. 은퇴 이후4. 수상 기록5. 둘러보기

[clearfix]

1. 소개

대한민국의 前 양궁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초등학교에 양궁부가 있어 양궁을 우연히 시작하게 되었다. 사실 처음부터 양궁에 관심이 있었던 건 아니었어고, 4학년이 되던 해, 등교를 하던 어느 날, 복도를 따라 걷는데 화살이 날아가는 소리가 유난히 크게 들려서 신경도 안 쓰고 그냥 지나치는 날이 많았는데, 그날따라 과녁에 꽂히는 소리가 참 통쾌하고 멋있어 보였다고 한다. 복도를 끝까지 걸었을 때 ‘양궁을 해야지’하고 생각하게되었다는 후문이다. 그 때 당시 담임선생님이 또 때 마침 양궁부 감독이어서, 선생님이 팔을 보더니 '양궁을 하기 좋은 팔'이라고 칭찬을 들었고, 팔이 휘어 있으면 양궁을 시작할 수조차 없는데 팔이 곧았기 때문에 양궁을 잘 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을 하게됐다고 한다. '그 말에 힘이 나서 처음부터 양궁을 더 열심히 했던 것 같다'고 한다.

양궁부가 있는 학교로 진학해야 했기 때문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다녔다. 부모님과도 떨어져 지낸 시간이 길다고 한다. 할머니와 둘이서 살게 될 때도 있었는데 힘든 점이 정말 많았다고 한다. 어린 나이에 부모님과 떨어져 산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그녀의 아버지께서 어린시절부터 윤혜영을 많이 지지했다고한다. 어머니는 윤혜영이 떨어져서 혼자 학교에 다니는 걸 엄청나게 많이 반대했지만, 아버지는 “꿈을 위해서라면 가라"며 윤혜영의 꿈을 뒷받침 해주었기에 지금의 윤혜영이 탄생됐다고 해도 무방하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땄을 때는 기분이 좋았다고 한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다는 것, 시상대 맨 위에 올라간다는 경험을 누구나 할 수 있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큰 사람이 되어야겠다, 올림픽에서 1등을 해야겠다, 뭐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은 없었다고 한다. '올림픽 금메달은 그냥 열심히 하다 보니 주어진 것 같은 기분'이라고 한다. 내가 하는 양궁이 좋아서 열심히 했고 그렇게 꾸준히 하다 보니 좋은 기회가 왔고, 죽기 살기로 하는 것도 물론 좋겠지만 즐기면서 운동하는 것도 참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3. 은퇴 이후

아육대 양궁 해설로 매번 명절마다 시청자들을 찾았다. 2020 설날 아육대장혜진에게 넘기고 잠시 1시즌을 쉬었으며, 2022 추석 아육대를 통해 복귀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서 양궁 교양강좌를 강의하고 있다.

4. 수상 기록

올림픽
<colcolor=#373a3c> 금메달 1996 애틀랜타 단체전
아시아 선수권
금메달 1997 랑카위 단체전
금메달 1997 랑카위 개인전

5. 둘러보기

<rowcolor=#ffffff> 남자 여자
김보람 오교문 장용호 김경욱 김조순 윤혜영

파일:대한양궁협회 로고.svg 리커브 여자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colcolor=#004998> 1977 이영숙 · 황숙주
1978 김진호 · 오영숙 · 황숙주
1979 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0 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1 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백종미 · 양경순 · 전문규 · 황숙주
1982 김진호 · 박영숙 · 양경순 · 황숙주
1983 김미영 · 김옥경 · 김진호 · 박영숙 · 서향순 · 서현주 · 신정순 · 이순미 · 정재봉 · 황숙주
1984 김진호 · 김미영 · 박영숙 · 서향순 · 이순미 · 정재봉
1985 김미경 · 김미영 · 김진호 · 김차남 · 박민화 · 박정아 · 서은정 · 서향순 · 양경순 · 오영숙 · 이숙향 · 이유미 · 이혜영 · 임명란 · 정재봉 · 조윤정 · 조은신 · 허복자 · 황은희
1986 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서향순 · 송영미 · 이선희 · 임명란 · 전애자 · 정민자 · 정재봉 · 지인숙
1987 김경욱 · 김미자 · 김수녕 · 박미경 · 박영미 · 박정아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애리 · 이유미 · 이혜영 · 임명란 · 정재봉 · 황은희
1988 김경욱 · 김수녕 · 박정아 · 왕희경 · 윤영숙 · 이선희 · 임은숙
1989 김경욱 · 김수녕 · 박미경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은경 · 정창숙
1990 김경욱 · 김미희 · 김수녕 · 문영희 · 박정아 · 왕희경 · 이문영 · 이은경 · 이장미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 한희정
1991 김수녕 · 김승실 · 문영희 · 이선희 · 이은경 · 조윤정 · 이장미 · 한희정
1992 김수녕 · 김승실 · 이은경 · 이선희 · 이장미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1993 김경욱 · 김효정 · 염연자 · 이명옥 · 이은경 · 이희정 · 임정아 · 조윤정
1994 강경옥 · 강현지 · 김경욱 · 양승숙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한희정
1995 김경욱 · 김정례 · 김조순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조미숙 · 황진해 · 박혜정[자격포기]
1996 강현지 · 김경욱 · 김남순 · 김은진 · 김조순 · 박명화 · 손민정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조미숙 · 최은주
1997 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정창숙 · 조윤정 · 최은주 · 황진해
1998 강현지 · 김남순 · 김조순 · 이미정 · 이은경 · 임정아 · 정창숙 · 조미숙
1999 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정창숙 · 하나영
2000 강현지 · 김남순 · 김수녕 · 박회윤 · 윤미진 · 정창숙 · 최남옥 · 최은정
2001 강현지 · 김경욱 · 김문정 · 박성현 · 우송이 · 최남옥 · 최은정 · 최진
2002 김문정 · 박성현 · 박회윤 · 안세진 · 윤미진 · 임귀숙 · 최은영 · 최진
2003 박미경 · 박선준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이현정 · 최진
2004 김문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정승화 · 정창숙 · 조은지
2005 김유미 · 박성현 · 박회윤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이현정
2006 김유미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7 김문정 · 김희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8 곽예지 · 김원정 · 박성현 · 윤옥희 · 이특영 · 이현주 · 주현정 · 최은영
2009 곽예지 · 김문정 · 김유미 · 박성현 · 윤옥희 · 이수지 · 주현정 · 한경희
2010 곽예지 · 기보배 · 김문정 · 박소희 · 오다미 · 윤옥희 · 장혜진 · 주현정
2011 기보배 · 김문정 · 윤옥희 · 장혜진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현주 · 한경희
2012 기보배 · 김민정 · 김유미 · 심예지 · 윤옥희 · 이성진 · 장혜진 · 전나영 · 정다소미 · 정지민 · 최현주 · 한경희
2013 기보배 · 윤옥희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2014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전훈영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 홍수남
2015 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 홍수남
2016 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2017 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장혜진 · 최미선 · 최민선 · 홍수남
2018 강채영 · 박미경 · 안산 · 이은경 · 장혜진 · 정다소미 · 최미선 · 최민선
2019 강채영 · 안산 · 장혜진 · 전인아 · 정다소미 · 조아름 · 최미선 · 최민선
2020 강채영 · 곽진영 · 안산 · 윤옥희 · 장민희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2021 강채영 · 안산 · 오예진 · 유수정 · 임해진 · 장민희 · 정다소미 · 최민선
2022 강채영 · 김수린 · 안산 · 이가현 · 이은아 · 임시현 · 정다소미 · 최미선
2023 강채영 · 기보배 · 김소희 · 안산 · 임시현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2024 남수현 · 오예진 · 이가현 · 이은경 · 임시현 · 임해진 · 전훈영 · 최미선

[자격포기] 소속 학교 규정에 따른 입촌 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