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22:25:18

음악 퀴즈

음악 퀴즈 오픈소스
<colbgcolor=#000><colcolor=#fff> 제작자 갈대
맵 종류 유즈맵
타일셋 얼음
크기 256×256
플레이어 수 7명
장르 퀴즈
최신 버전 Ver.8
링크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방법3. 제작4. 종류

[clearfix]

1. 개요

음악이 나오면 해당 음악의 제목이나 가수와 같은 정답을 맞히는 스타크래프트퀴즈 유즈맵이다. '노래 맞히기'라고 불리기도 한다.

갈대라는 맵 제작자가 제작하였으며, 맵 파일을 오픈 소스로 공개하고 배포하고 있어 여러 가지 버전을 만들 수 있다. 실제로 다양한 맵들이 있다. 유즈맵 제작 네이버 카페스타 에디터 아카데미에 따로 개설된 '맞히기 유즈맵' 게시판에 해당 오픈 소스를 활용하여 제작된 맵들이 공유되고 있다.

관전자까지 포함해서 11~12명까지 같이 플레이할 수 있다.

여담으로 2024년 하반기 기점으로 맞추기 게임이 유행하여 치지직에서 또 다시 유행하고 있다.

2. 플레이 방법

처음 시작하면 방장이 각종 옵션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소리로 문제가 나오면 해당 문제에 맞는 답을 채팅으로 가장 빨리 맞히는 사람이 점수를 가져간다. 이렇게 정해진 문제 수만큼 진행하여 마지막에 가장 점수가 높은 사람이 우승하는 단순한 퀴즈 유즈맵이다.

채팅으로 진행하다 보니 아무래도 타자가 빠른 사람이 유리하다. 특히나 모두가 알만한 쉬운 문제일 경우 타자 싸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 간혹 차이로 인해 거의 동시에 입력해서 내 화면에서는 내가 먼저 쳤는데도 다른 사람들 화면에서는 다른 플레이어가 먼저 친 것으로 보일 때도 있다.

대부분 맵의 경우 채팅 인식이나 정답의 일관성 등의 이유로 띄어쓰기가 없게 정답을 입력하도록 만들어진다.

정답을 맞히거나 맞히기 이전에 스킵을 하려면 일정 수 이상의 플레이어가 K를 누르면 스킵을 할 수 있다.

스타 유즈맵이지만 타워 디펜스와 더불어 스타 매커니즘이 별로 없어서 스타 했다고 보지는 않으며[1] 정말 빨리 진행되는 편이라 대개는 선 20점시 승리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3. 제작

제작자의 맵 배포 게시물에 만드는 방법이 자세히 적혀있다. 스타크래프트 맵 제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위한 설명도 적혀있지만, 그래도 아예 처음이라면 조금 이해가 안 갈 수도 있다.

원작자의 맵은 복수 정답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복수 정답을 허용하려면 다른 유저가 수정한 버전의 오픈 소스를 사용하면 된다. 원본 맵이 오픈 소스로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유저들이 수정한 소스들도 많아서 자신이 만들고자하는 맵에 가장 잘 맞는 템플릿 맵을 찾아서 만드는 것이 좋다.

맞는 소스를 찾는 방법은 보통 '맞히기 유즈맵' 게시판에 사람들이 올린 맞히기 유즈맵 게시글을 보면 자신이 어떤 소스 맵을 사용했는지 표기해놓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것을 보고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4. 종류

맵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음악 퀴즈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음악의 제목을 맞히는 유즈맵이 많지만, 사운드 파일을 듣고 정답을 입력하는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응용하기 좋아 바리에이션이 굉장히 많다.
  • 음악 퀴즈: 말그대로 음악의 제목을 맞히는 퀴즈이다. 제목 이외에도 가수가사 등을 맞히는 식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음악과 같은 경우 해당 노래가 사용된 애니나 영화의 제목을 맞추거나, 더 나아가 등장인물을 맞히는 맵도 존재한다.
  • 메들리 퀴즈: 문제당 하나의 곡이 나오는 기존 음악 퀴즈와 달리 전체 게임에서 하나의 메들리 음악이 흘러나오면 메들리에서 현재 나오고 있는 음악의 원본 제목을 맞히는 식으로 진행하는 퀴즈이다. 애니송 메들리가 보통 많이 보인다.
  • 상식 퀴즈: 아나운서 같은 TTS를 사용하여 문제를 읽는 퀴즈 음성을 나오게 하여 정답을 맞히는 맵이다.
  • 기타 퀴즈: 이외에도 동물 울음소리 맞히기, 소리 듣고 장소 맞히기, 인터넷 밈 맞히기, 스트리머 맞히기, 스펀지 네모 맞히기 등 소리로 낼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퀴즈를 맞히는 맵들이 있다.

[1] 실제로 2022년 스타대학교 중 무친대프레이 관련 컨텐츠 당시 하이라이트 영상이 대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