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태 묘 출토 편지 (李應台 墓 出土 便紙) |
[clearfix]
1. 개요
이응태(李應台, 1556~1586)의 부인이 세는나이 31살의 나이로 아내와 뱃속 아이를 남겨둔 채 요절한 그를 그리며 쓴 간찰이다.
조선시대 선조 19년(1586) 음력 6월 1일 안동에 살던 어느 여인이 남긴 편지로 문학사, 여성사적으로 연구할 가치가 높다. 또한 이응태의 가문인 고성 이씨 문중에는 수백여 년간 문중 인물들이 썼던 수많은 친필 간찰들이 전해 내려오는데, 이중 이응태와 관련된 여러 편지들과 함께 대조하여 당시 경상도 지역 사회문화생활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이다.
필사본이 아닌 친필 원본은 세계적으로도 흔치 않기 때문에 미국의 내셔널 지오그래픽과 중국 국영 TV에서도 관련 방송을 통해 소개되었다. 미라 상태로 무덤에서 출토된 이응태의 할머니 일선 문씨(一善 文氏) 문계창(文繼昌)의 딸이나 그 외 가족들과는 달리 이응태 부인의 본명이나 기록은 전혀 남지 않았고, 부인이 묻힌 묘 역시 정확한 위치가 알려지지 않았다. 6년 뒤인 1592년에 일어난 임진왜란으로 인해 그나 그의 아들이 순탄치 않은 삶을 살았으리라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안동대학교 박물관에서 상설 전시하고 있다.
2. 발견
1998년 4월 25일,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서 안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발굴팀에 의해 무연고 묘지를 발굴하던 중 발견되었다.당시 안동시 정상동에서는 택지 개발[1]이 한창이었고, 이때 개발 구역 내에 있는 선산의 대대적인 묘지 이전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안동대학교 측도 만일의 발견에 대비해 관련 유물 조사에 나섰다.
그런데 한 문중이 조상의 묘를 찾기 위해 돌아다니던 중 한 무연고 묘지를 발견한다. 이후 고성 이씨 집안의 묘임을 확인하고 고성 이씨 문중들에게 이를 알렸다. 이윽고 묘지의 이장과 함께 발굴에 들어갔으며, 75점의 유물과 함께 이 이응태 묘 출토 편지가 발견되었다. 해당 무덤의 피장자는 이응태라는 사람으로 밝혀졌으며 그의 추정 신장은 185cm로 거구였다.
3. 내용
원문[2] | 현대 한국어[3] |
워늬 아바님ᄭᅴ 샹ᄇᆡᆨ[4] 병슐 뉴월 초ᄒᆞᄅᆞᆫ날 지븨셔 자내 샹해 날ᄃᆞ려 닐오ᄃᆡ 둘히 머리 셰도록 사다가 ᄒᆞᆷᄭᅴ 죽쟈 ᄒᆞ시더니 엇디ᄒᆞ야 나ᄅᆞᆯ 두고 자내 몬져 가시ᄂᆞᆫ 날ᄒᆞ고 ᄌᆞ식ᄒᆞ며 뉘긔 걸ᄒᆞ야 엇디ᄒᆞ야 살라 ᄒᆞ야 다 더디고 자내 몬져 가시ᄂᆞᆫ고 자내 날 향ᄒᆡ ᄆᆞᄋᆞ믈 엇디 가지며 나ᄂᆞᆫ 자내 향ᄒᆡ ᄆᆞᄋᆞ믈 엇디 가지던고 ᄆᆡ양 자내ᄃᆞ려 내 닐오ᄃᆡ ᄒᆞᆫᄃᆡ 누어셔 이보소 ᄂᆞᆷ도 우리ᄀᆞ티 서ᄅᆞ 에엿ᄲᅵ 녀겨 ᄉᆞ랑ᄒᆞ리 ᄂᆞᆷ도 우리 ᄀᆞᄐᆞᆫ가 ᄒᆞ야 자내ᄃᆞ려 니ᄅᆞ더니 엇디 그런 이ᄅᆞᆯ ᄉᆡᆼ각디 아녀 나ᄅᆞᆯ ᄇᆞ리고 몬져 가시ᄂᆞᆫ고 자내 여ᄒᆡ고 아ᄆᆞ려 내 살 셰 업ᄉᆞ니 수이 자내 ᄒᆞᆫᄃᆡ 가고져 ᄒᆞ니 날 ᄃᆞ려가소 자내 향ᄒᆡ ᄆᆞᄋᆞ믈 ᄎᆞᄉᆡᆼ 니ᄌᆞᆯ 줄리 업ᄉᆞ니 아ᄆᆞ려 셜운 ᄠᅳ디 ᄀᆞ이 업ᄉᆞ니 이 내 안ᄒᆞᆯ 어ᄃᆡ다가 두고 ᄌᆞ식 ᄃᆞ리고 자내ᄅᆞᆯ 그려 살려뇨 ᄒᆞ노이다 이 내 유무 보시고 내 ᄭᅮ메 ᄌᆞ셰 와 니ᄅᆞ소 내 ᄭᅮ메 이 보신 말 ᄌᆞ셰 듣고져 ᄒᆞ야 이리 서 년뇌 ᄌᆞ셰 보시고 날ᄃᆞ려 니ᄅᆞ소 자내 내 ᄇᆡᆫ ᄌᆞ식 나거든 보고 사롤 일 ᄒᆞ고 그리 가시ᄃᆡ ᄇᆡᆫ ᄌᆞ식 나거든 누ᄅᆞᆯ 아바 ᄒᆞ라 ᄒᆞ시ᄂᆞᆫ고 아ᄆᆞ려 ᄒᆞᆫᄃᆞᆯ 내 안 ᄀᆞᄐᆞᆯ가 이런 텬디 가슨 ᄒᆞᆫ이리 〈윗부분〉[5] 하ᄂᆞᆯ 아래 ᄯᅩ 이실가 자내ᄂᆞᆫ ᄒᆞᆫ갓 그리 가 겨실 ᄲᅮ거니와 아ᄆᆞ려 ᄒᆞᆫᄃᆞᆯ 내 안 ᄀᆞ티 셜울가 그지그지 ᄀᆞ이업서 다 몯 서 대강만 뎍뇌 이 유무 ᄌᆞ셰 보시고 내 ᄭᅮ메 ᄌᆞ셰와 뵈고 ᄌᆞ셰 니르소 나ᄂᆞᆫ ᄭᅮ믈 자내 보려 믿고 인뇌이다 몰래 뵈쇼셔 〈첫부분〉[6] 하 그지그지 업서 이만 젹뇌이다 | 원이 아버님께 올림 병술년[7] 유월 초하룻날 집에서 자네 항상 나더러 이르되 둘이 머리 세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 하시더니 어찌하여 나를 두고 자네 먼저 가시는가. 나하고 자식하고는 누구에게 구걸하여 어찌하여 살라 하고 다 던지고 자네 먼저 가시는가. 자네 날 향한 마음을 어찌 가졌으며 나는 자네 향한 마음을 어찌 가졌던가. 매양 자네더러 한데 누워서 내가 이르되 여보, 남들도 우리같이 서로 어여삐 여겨 사랑할까? 남들도 우리 같은가? 하여 자네더러 이르더니 어찌 그런 일을 생각지도 않고 나를 버리고 먼저 가시는가. 자네 여의고 아무래도 나는 살 수가 없으니 얼른 자네한테 가고자 하니 날 데려가소. 자네 향한 마음을 이 생에 잊을 줄이 없으니 어떻게 해도 서러운 뜻이 그지없으니 내 이 마음을 어디다가 두고 자식 데리고 자네를 그리며 살까 하나이다. 내 이 편지 보시고 내 꿈에 자세히 와 일러 주소. 내 꿈에 이를 보고 하실 말 자세히 듣고자 하여 이렇게 써넣네. 자세히 보시고 나더러 일러 주소. 자네 내 밴 자식이 나거든 보고 사뢸 것 있다며 그리 가시면 밴 자식이 나거든 누구를 아빠 하라 하시는가. 아무리 한들 내 마음이나 같을까. 이런 천지 같은 한이 〈윗부분〉 하늘 아래 또 있을까. 자네는 한갓 그곳에 가 계실 뿐이지만 아무리 한들 내 마음같이 서러울까. 그지그지그지없어 다 못 쓰고 대강만 적으니 이 편지 자세히 보시고 내 꿈에 자세히 와 보이시고 자세히 일러 주소. 나는 꿈에서 자네를 보리라 믿고 있나이다. 몰래 모습을 보이소서. 〈첫부분〉 하도 그지그지없어 이만 적나이다. |
- 편지에서 이응태 부인이 배고 있던 아이의 이름 '워늬(원이)'가 등장한다. 고성이씨세보 1권 참판공파 962쪽에 이응태의 무녀독남으로 '이성회(李誠會)'가 등재되어 있는데, 동일인물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원이'는 정황상 태명인 듯하다.
- 아내가 남편 이응태를 '자내(자네)'라고 부르는데, 이 시기엔 순우리말 '자네'가 상대를 동등하게 대할 뿐만 아니라 높이는 데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대 국어에서도 '자네'는 친구처럼 동등한 관계에서 쓰일 수 있지만 더 이상 상대를 높이는 표현은 아니며, 주로 아랫사람에게 쓰인다.[8][9]
- '샹해(항상, 늘)'에서 '샹'은 常이며, 'ᄎᆞᄉᆡᆼ'은 此生, 즉 '이승'을 뜻한다.
4. 매체
- 〈미투리〉라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적이 있다.
- 〈원이엄마〉라는 제목의 뮤지컬로도 만들어졌다. 네이버 뉴스 : 뮤직씨어터 '원이엄마', 대구뮤지컬페스티벌서 특별상
- 2018년 3월 10일 천상의 컬렉션에 방영되었다.
- 2020년 7월 5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이 편지를 다루었다.
- 소설가 조두진은 이 편지에서 모티브를 얻어 〈능소화: 4백년 전에 부친 편지〉를 집필했다.
- 웹툰 바리공주의 '비방' 에피소드도 이 편지와 관련이 있다. 해당 에피소드의 주인공은 멋지고 다정한 남편을 얻고 싶어 함부로 비방을 썼다가 귀신을 잘못 불러들이는 바람에 혼쭐이 난 후 다시는 비방을 함부로 쓰지 않겠다고 맹세했는데, 후일 좋은 남편을 만나 행복하게 살았지만 남편이 곧 병으로 사경을 헤매게 된다. 그래서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무당에게 비방을 한 번 더 청했는데, 그것이 바로 편지와 함께 출토된 머리카락 미투리였던 것. 즉 이 에피소드의 주인공이 바로 이응태의 아내 원이 엄마였다는 결말이다. 그러나 결국 남편 무덤에 미투리와 편지를 함께 묻은 것으로 보아 비방이 완성되기 전에 남편이 세상을 뜬 모양.
5. 외부 링크
- 향토문화전자대전: 이응태 묘 출토 복식
- 향토문화전자대전: 이응태 묘 출토 미투리
- 향토문화전자대전: 안동에서 세계인을 울린 450년 전의 사랑이야기
- 두산백과: 이응태 묘 출토 복식
- 두산백과: 이응태 묘 출토 미투리
-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 420년 전의 편지
- 네이버 지식백과: 머리카락으로 삼은 미투리, 원이 엄마 이야기
-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원이 아버지께
[1] 위치는 현재의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원과 대구지방검찰청 안동지청이 위치한 주택 지구로, 출토 지점은 현진에버빌 104동 서편이다.[2] 출처1, 출처2. 원문에는 띄어쓰기가 없지만 가독성을 위하여 띄어쓰기가 임의로 사용되었다.[3] 임세권 안동대 사학과 교수의 번역을 참고해 가독성과 원문의 느낌을 높이는 쪽으로 편집했다.[4] 해당 문구는 뒷면에 적혀 있다.[5] 시계 방향으로 90도 돌려 적혀 있다. 원문에서는 줄이 3줄 뿐이지만 본 문서에서는 가독성을 위해 5줄로 나누었다.[6] 위아래가 뒤집혀 적혔다.[7] 1586년, 선조 19년[8] 원래는 일반적인 명사였던 '계집', '놈' 등의 단어가 이제는 해당 대상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전락한 것과 같은 이치이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 순우리말보다 한자어를 더 품위 있고 높은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점차 강해지면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9] 이 묘와 편지에 관하여 KBS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에서는 아내가 남편보다 손윗사람이었다고 잘못 해석하였는데, 이는 뒷면에 있던 "샹ᄇᆡᆨ"(현대어로는 상서=올림)이라는 문구를 빼고 해석했기 때문이다. 물론 이 편지로부터 100여년 전 남편이 아내에게 쓴 안정나씨 묘 출토 편지에서도 '샹ᄇᆡᆨ'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므로 이것 하나만으로 판단하기에는 섣부른 감이 있을 수 있으나, 여하튼 당시 시대상을 고려했을 때 둘이 서로 상호 존중의 관계였다면 모를까 아내가 남편보다 우위에 있지는 않았으리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