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다키맨 (1983) イタダキマン | |||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장르 | SF, 판타지, 코미디, 학원물 | |
기획 | 토리우미 진조 | ||
제작 | 요시다 켄지(吉田健二) | ||
원작 | 타츠노코 프로덕션 기획실 | ||
총감독 | 사사가와 히로시 | ||
메인 캐릭터 디자인 | 아마노 요시타카 | ||
메카닉 디자인 | 오오카와라 쿠니오 | ||
음악 | 진보 마사아키(神保雅彰) 야마모토 마사유키(山本正之) | ||
애니메이션 제작 | 타츠노코 프로덕션 | ||
제작 | 후지 테레비 타츠노코 프로덕션 | ||
방영 기간 | 1983. 04. 09. ~ 09. 24. | ||
방송국 | |||
편당 러닝타임 | 30분 | ||
화수 | 20화 | ||
관련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타임보칸 시리즈 제7작. 화수는 20화로 역대 시리즈중 가장 짧은 화수를 가진다. 총감독은 사사가와 히로시. 감독은 우에다 히데히토. [1] 캐릭터 디자인 아마노 요시타카. 메카닉 디자인 오오카와라 쿠니오. 시리즈 구성 각본 사카이 아케미.
명문 학원 오샤카 학원에 학원장 오챠캬는 부처님께서 내려 주신 신비의 오샤카 퍼즐을 모으기 위해서 학원에서 삼장법사 일행의 후손으로 알려진 3명의 학생들을 불러서 전 세계 흩어진 오샤카 퍼즐을 모으도록 명령한다.
3명은 여행을 떠나 퍼즐을 모으고 있는데, 오샤카 학원에 다니기를 목표로 하는 양양, 다사이넨, 톤멘탄은, 퍼즐을 모으면 보물이 손에 들어온다는 것을 듣게되고 오샤카 학원 입학의 구실이 된다고 생각해, 후손 3인방을 방해하고 퍼즐을 그들보다 먼저 쟁취하기 위해서 일행들을 공격한다.
주인공들이 위기에 쳐할때 어느순간 나타나게된 이타다키맨이 와서 구해준다는게 기본적인 줄거리이다.
거대로봇 대신에 주인공이 거대화 하여 싸우는 독특한 구도.[2][3] 서유기에서 모티브를 따왔으며 손오공, 삼장법사, 저팔계, 사오정 등의 후손이라는 캐릭터들이 등장한다.[4]
평균 시청률 9.4%로 저조하였으며 20화로 조기종영. 게다가 19화는 프로야구 중계 때문에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당시 방송이 못 되었다는 암울한 작품이다.
매너리즘 타파를 위해서였는지 주인공이 거대화하여 싸우는 것을 비롯하여 오프닝 곡을 최초로 여성이 불렀음과 동시에[5] 이전 작들과 비교해서 매우 이질적임과 더불어 오프닝 비주얼도 80% 이상은 SD 캐릭터의 삼악이 차지하다못해 정작 주인공인 이타다키맨이 나오는 장면은 변신 전 모습 하나, 변신 후 모습 하나해서 단 두 장면밖에 없을 정도였던것, 전작의 주인공이 성인이었던 것과는 반대로 본작의 주인공인 마고타 쿠사쿠는 역대 시리즈 최연소라는 것[6], 주적이 요괴라 삼악이 주인공 일행의 경쟁자 겸 요괴의 서포터 정도로 비중이 줄어들었다는 점 등 이전 작들의 틀을 깬 부분이 상당히 많은데 이런 시도들을 과도하게 한 것이 오히려 타임보칸 시리즈답지않은 이질감만 불러일으켜 부메랑이 되어 날아온 셈. 이런 전작들과 차별적인 요소와 더불어 동시에 소년인 주인공, 오샤카 퍼즐이라는 아이템을 모으기위해 주인공과 삼악이 경쟁하는 구도, 인간형 거대로봇 없이 동물형 위주인 로봇들, 메인 로봇인 카부토제미가 타임보칸의 타임 메카부톤처럼 장수풍뎅이가 모티브인 등 초창기 시리즈를 연상시키는 요소들도 공존한다.
또한 작중에서 등장하는 로봇들인 카부토제미, 펠리귄, 왕거루[7]는 방영 당시 주력 완구로 출시되었지만 주로 주인공이 거대화하여 싸우는 탓에 전투에서 활약상이 극히 적은데, 이는 완구 판촉에 있어서 좋은 전략이 되지 못했다. 그나마 메인 로봇인 카부토제미가 나머지 둘과 달리 오프닝 영상에서 짤막하게나마 등장할 뿐만 아니라 이타다키맨이 등장할 때 가장 많이 탑승하는 동시에 클로즈업과 아래에서 올려다보는 구도를 보여주는 등 뱅크씬에 힘이 좀 더 실려있으며, 이타다키맨이 내려와 등장 대사를 외치기 전에 요괴에게 선공을 날리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 등 세 로봇들 중에는 비중이 있는 편. 돗키리빅쿠리 메카는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이타다키맨이 꾸준히 사용한다.
들리는 얘기에 의하면 당시 스텝들도 이 작품은 기억에서 지우고 싶어한다고하며, 그동안 타임보칸 시리즈 주제가 작곡에 참여했던 야마모토 마사유키도 이 작품에서는 '슬슬 지겨워지는 패턴'이라는 이유로 프로듀서로부터 퇴출당하자 격노하여 "이타다키맨은 타임보칸 시리즈에 넣지 않아도 된다."라는 발언을 했다고 한다. [8]
이 작품의 실패와 함께 스폰서인 타카토쿠 토이즈도 도산[9]하였으며 타임보칸 시리즈는 이후 한동안 만들어지지 않았다.
조기종영에 대한 자조적 개그로서, OVA 왕도복고에서 얀얀네가 탑승한 덴덴 메카[10]는 레이스가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 바나나 껍질을 밟고 미끄러져 조기 리타이어한다.
2. 등장인물
3. 주제가
오프닝 풀버전
엔딩 풀버전
4.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11]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オシャカ学園危機イッパツ!! 오샤카 학원 위기 일발!! | 사카이 아키요시 (酒井あきよし) | 사사가와 히로시 | 우에다 히데히토 | 미즈무라 쥬지 (水村十司) | 1983.04.09. |
제2화 | ドッキリ水着コンテスト! 깜짝 수영복 대회! | 츠츠이 토모미 (筒井ともみ) | 닛타 요시카타 (新田義方) | 사이조 타카시 (西城隆詞) | 1983.04.16. | |
제3화 | エッ! ヤンヤンに赤ちゃんが? 엣! 양양에게 아기가? | 엔도 카츠미 (遠藤克己) | 카가와 유타카 (香川豊) | 니노미야 하루오 (二宮常雄) | 1983.04.23. | |
제4화 | 笑って笑ってネアカになれ 웃고 또 웃으면 네아카가 될 수 있습니다. | 야마자키 하루야 (山崎晴哉) | 코지마 마사유키 (小島正幸) | 야마모토 테츠 (山本哲) | 1983.05.07. | |
제5화 | こんこん・らぶストーリー 곤곤·러브 스토리 | 츠츠이 토모미 (筒井ともみ) | 우에다 히데히토 | 츠다 요시조 (津田義三) | 스즈키 에이지 | 1983.05.14. |
제6화 | そんなことアリ?! 大作戦 그런 개미있어?! 대작전 | 사카이 아키요시 | 요시다 유키오 (吉田ユキオ) | 닛타 요시카타 | 미즈무라 쥬지 | 1983.05.21. |
제7화 | それを食ったらおしまいよ! 그걸 먹으면 끝난다고! | 코야마 타카오 | 카가와 유타카 | 정우영 (鄭雨英) | 1983.05.28. | |
제8화 | 恋ピューター花嫁作戦 사랑의 컴퓨터 신부 작전 | 토다 히로시 (戸田博史) | 츠쿠모 토이치 (九十九十一) | 닛타 요시카타 | 사이조 타카시 | 1983.06.04. |
제9화 | 見せてはダメよ! その秘密 보여줘서 안돼! 그 비밀을 | 야마자키 하루야 | 코지마 마사유키 | 야마모토 테츠 | 1983.06.18. | |
제10화 | あげられない! これだけは 줄 수 없다! 이것만은 | 나가키 후사히로 (永樹凡人) | 닛타 요시타카 | 사이조 타카시 | 1983.06.25. | |
제11화 | かんぱい! ぼっちゃん先生 건배! 도련님 선생 | 사카이 아키요시 | 사사가와 히로시 | 츠다 요시조 | 니노미야 하루오 | 1983.07.02. |
제12화 | 奇跡ウルサイユのバラ物語 기적 우르사유의 장미 이야기 | 토다 히로시 | 나가키 후사히로 | 닛타 요시카타 | 사이조 타카시 | 1983.07.09. |
제13화 | 学園ガジガジパニック! 학원 가지 가지 패닉! | 야마자키 하루야 | 코지마 마사유키 | 야마모토 테츠 | 1983.07.30. | |
제14화 | 一休山のイタダキクイズ! 이치바야마의 이타다키 퀴즈! | 사카이 아키요시 | 요시다 유키오 | 닛타 요시카타 | 사이조 타카시 | 1983.08.13. |
제15화 | 浜辺のキッスにご用心! 해변에서 키스를 조심! | 토다 히로시 | 엔도 카츠미 | 카가와 유타카 | 정우영 | 1983.08.27. |
제16화 | 竜子ちゃんも女でありんす 류코쨩도 여자입니다 | 츠츠이 토모미 | 나가키 후사히로 | 닛타 요시카타 | 사이조 타카시 | 1983.09.03. |
제17화 | 幻の天ドン山を越えて 환상의 천동산을 넘어 | 야마자키 하루야 | 코지마 마사유키 | 야마모토 테츠 | 1983.09.10. | |
제18화 | きれいな町には罠がある! 깨끗한 마을에는 함정이 있습니다! | 아사이 아유코 (安斉あゆ子) | 나가키 후사히로 | 닛타 요시카타 | 사이조 타카시 | 1983.09.17. |
제19화 | プッシュマンVSターサン 푸시맨 VS 타산 | 이시카와 료 (石川良) | 카가와 유타카 | 스즈키 에이지 | 미방영 | |
제20화 | イタダキマンよどこへ行く 이타다키맨이여, 어디로 가는가 | 츠츠이 토모미 | 츠쿠모 토이치 | 닛타 요시카타 | 사이조 타카시 | 1983.09.24. |
4월 30일, 6월 11일, 7월 16일, 7월 23일, 8월 6일, 8월 20일은 프로야구 중계를 위해 휴방을 했고, 일부 지역 방송국에서는 19화가 미방송이 되었다.
5. 기타
- 이겨라! 얏타맨(얏타맨 리메이크작) 국내 방영분에서 역대 시리즈 삼악들이 출연했을 때는 받아라맨으로 번역되었다.
[1] 디렉터 명의로 뜨지만 감독이다.[2] 거대로봇이 아예 안나오지는 않지만 주인공의 거대로봇은 주인공이 변신해서 등장할 때의 운송수단이나 가끔씩 서포트 용도로만 나오는 정도. 그나마도 얏토데타맨과 잇파츠맨처럼 인간형 로봇이 아니라 초기작들과 같은 동물형 로봇들이면서 크기도 다시 초기작들만큼으로 작아졌다. 삼악의 거대로봇도 이 시리즈의 주 적인 요괴들이 막판에 외장파츠를 입고 로봇으로 변신하는걸 안테나로 세뇌와 함께 거대화시켜 원격조종하는 것.[3] 주인공이 거대화하면서 인간형 로봇의 외장장갑 형태의 프로텍터가 몸에 붙는다.[4] 마침 비슷하게 서유기를 모티브로 삼은 '스타징가'에서도 후반부에 가면 주인공 쟝 쿠고가 거대화해서 적을 물리치는 패턴이 생긴다.[5] 본작에서 마고타 쿠사쿠와 이타다키맨의 목소리를 담당한 타나카 마유미가 불렀다. 오프닝 곡의 제목 또한 ‘이타다키 맘보’로서 얏타맨 이후로는 ‘ㅁㅁㅁ맨의 노래’로 제목을 짓던 전작들의 패턴을 깼다.[6] 게다가 평소에는 주인공 일행도 아닌 삼악과 같이 다니고있기까지하다. 그러다가 도중에 갑자기 어디론가 혼자 사라지더니 주인공 일행 측의 히로인인 호우코가 가지고다니는 오몽키라는 로봇이 위기상황에 심벌즈를 치면 변신해있는 상태로 하늘에서 메카를 타고 나타나는지라 변신장면도 거의 묘사되지 않는다. 또한 변신을 하게되면 꼬마에서 소년 정도로 몸이 성장한다. 싸우면서 쉴세없이 입을 멈추지 않을 정도로 말이 많다.[7] 세 로봇은 공통적으로 각자 변형기믹을 통해 두 가지의 동물 형태로 변형되며, 명칭 또한 변형되는 두 가지 동물의 이름의 합성어다. 카부토제미는 장수풍뎅이와 매미, 펠리귄은 펠리컨과 펭귄, 왕거루는 개와 캥거루.[8] 이러한 흑역사 취급에 관한 소문 때문인지 게임 ‘보칸입니다’와 ‘보칸과 일발! 도론보’의 오프닝에서 역대 시리즈의 주인공과 메카들이 짧게 지나가는 장면에서 이타다키맨과 카부토제미는 초대작 타임보칸의 탄페이와 준코, 타임 메카부톤과 함께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이런 취급은 오프닝 한정이며, 게임 내에서는 제대로 등장한다. 동일한 곡이 오프닝으로 쓰이는 게임 ‘보칸GoGoGo’의 오프닝에서는 동일한 장면에서 잡아내기 힘들 정도로 아주 짧게 지나간다.[9] 다만 타카토쿠의 도산이 이타다키맨의 실패 때문이라고만 할 수는 없다. 당시는 일본이 경제 불황에 돌입하던 시기였으며 닌텐도의 패미컴이 등장하며 어린이의 취미생활이 완구로부터 게임으로 옮겨가던 시기이기도 하고, 초시공 시리즈 후속타인 오거스 등의 완구가 인기가 저조하였던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있다.[10] 참고로 이 메카는 얀얀이 용의 피리를 이용해 불러내는 류코라는 소녀가 변신한 것인데, 내부 조종석에 변신 전의 가슴과 유두에 해당하는 부분이 쓸데없이 구현되어있다. 거기다가 하필 딱 중앙쪽에 좌우로 하나씩 있어 버튼이라고 생각하고 누르기 좋은 위치에 있기까지하다보니 처음 얀얀네가 탑승했을 때 중앙쪽의 버튼을 누르라고해서 해당 부분을 버튼이라고 생각하고 눌렀다가 '이야앙~' 하고 성감대를 느끼는 신음소리를 듣기도했다(...) 중반부부터는 류코 본인이 덴덴 메카로 변신하지 않는 대신 거대전에 사용할 메카를 배달해온 뒤 자신이 숨결을 불어넣어 거대화시켜 삼악과 함께 탑승하는 전개가 늘어났다.[11] 스태프롤에 연출만 표기되었을 경우는 콘티도 같이 담당한 것으로 간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