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1:36:53

인도갈기호저

인도갈기호저(인도갈기산미치광이, 인도호저)
Indian crested porcupine
파일:인도호저.jpg
학명 Hystrix indica
Kerr, 1792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설치목(Rodentia)
호저과(Hystricidae)
호저속(Hystrix)
인도갈기호저(H. indica)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특징3. 먹이4. 천적

[clearfix]

1. 개요

아시아인도, 스리랑카, 네팔에 서식하는 호저의 일종이다.

2. 특징

야생에서 기대 수명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포획된 암컷 중에서 최대 27.1년까지 살았던 기록이 있다. 온 몸이 가시로 불리는 여러 겹의 변형된 털로 덮여 있으며, 더 길고 가는 가시가 짧고 굵은 가시 층을 덮고 있다. 가시는 갈색 또는 검은색이고 희고 검은 띠가 번갈아 나타난다. 가시는 케라틴으로 이루어져 있고 비교적 유연하다.

각 가시는 피부 밑의 근육과 연결되어 있어서 호저가 위험을 느낄 때 깃털을 들어 올릴 수 있다. 가장 긴 깃털은 목과 어깨 부위에 있고 몸 둘레에 일종의 "치마"를 형성한다. 가시털 길이는 최대 51cm까지 자랄 수 있고 대부분 15~30cm이다. 등과 엉덩이 쪽에는 작고 더 딱딱한 가시는 촘촘히 나 있다. 작은 가시털은 잠재적인 위험이 있을 때 상대방을 찌르는 데 사용한다. 꼬리 밑 부분에는 흰색으로 보이는 짧은 가시털 있고, 길고 속이 비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위협을 받을 때 가시털을 흔들어 경고음을 낼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믿고 있는 것과 달리 인도호저는 다른 모든 호저와 마찬가지로 깃털을 쏠 수 없다.

인도호저는 몸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낮아 열 보전에 도움이 되는 땅딸막한 몸을 갖고 있다. 굴을 파는 데 쓰는 긴 발톱과 함께 넓은 발을 갖고 있다. 다른 모든 호저와 마찬가지로 인도호저는 냄새에 예민한 날카로운 끌 모양의 앞니를 갖고 있다.

3. 먹이

먹이는 과일, 나무껍질, 뿌리 등이다.

4. 천적

천적은 벵골호랑이, 아시아사자, 표범[1], 인도늑대, 버마승냥이, 늪악어다.
[1] 인도표범, 스리랑카표범.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