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4 09:30:29

일여


WT 태권도 품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유급자 품새 태극(太極)
태극 1장 태극 2장 태극 3장 태극 4장
태극 5장 태극 6장 태극 7장 태극 8장
성인 유급자 품새 태권
태권 1장 태권 2장 태권 3장 태권 4장
태권 5장 태권 6장 태권 7장 태권 8장
유급자 품새 팔괘(八卦)
팔괘 1장 팔괘 2장 팔괘 3장 팔괘 4장
팔괘 5장 팔괘 6장 팔괘 7장 팔괘 8장
유단자 품새
고려(高麗) 금강(金剛) 태백(太白) 평원(平原)
십진(十進) 지태(地跆) 천권(天拳) 한수(漢水)
일여(一如)
경기용 품새
비각(飛脚) 한류(韓流) 힘차리(Himchari) 야망
새별(Saebyeol) 나르샤(Nareusya) 어울림(Eoullim) 새아라(Saeara)
한솔(Hansol) 나래(Narae) 온누리(Onnuri)
파일:wt.png }}}}}}}}}


1. 개요2. 의미3. 전의 품새에 없던 동작4. 훈련 영상

1. 개요

태권도품새 중 일여에 대한 문서.

2. 의미

9단이 수련하는 품새. 품새선은 '불교 만'자(卍)이다. 제정 당시의 명칭은 '신라'였으나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다. 어원은 대승 불교의 용어 범아일여(梵我一如)에서 가져온 것이다.

태권도의 마지막 품새로 신라시대의 승려원효대사의 사상을 바탕으로 엮어졌으며 1968년 대한태권도협회에서 팔괘 품새와 유단자 전용 품새를 만들 당시에 함께 만들어졌다.

품새선 특성상 동작이 흔히 생각하는 선대칭형이 아니라 점대칭형인데, 여러 개체가 결국에는 한 점으로 융화됨을 상징하는 것으로 주로 풀이된다. 막기 동작으로 시작해서 막기로 끝나는 점도 특징이다.

3. 전의 품새에 없던 동작

준비자세는 보주먹 모아서기
  • 서기
    • 학다리 오금서기
  • 공격
    • 외산틀 옆차기
    • 두손펴 비틀어 잡아당기기
    • 뛰어 옆차기

4. 훈련 영상

분류